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원가 김정두 Sep 13. 2023

불화(不和)의 시작, 성묘

벌초는 정말 효도일까?

 유교사상에 큰 영향을 받은 우리나라는 조상 제사를 비롯해 묘를 잘 가꾸고 관리하는 일은 ‘효행’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추석 전 가족 구성원이 한 곳에 모여 묘 주변에 난 잡초과 잡목을 제거하며 묘를 깨끗하게 한다. 깨끗하게 정리가 될 즈음 큰 어른이 도착하여 한 마디를 건넨다.


“우리 집안은 말이야. 누구 조상으로 몇 대손이고 무슨 파이기에 “

“우리가 묘를 잘 가꿔야 조상님이 도와주는 거야. “

”묘를 일 년에 두 번은 다듬어줘야 할 텐데.. 쯧쯧 “

“누가 안 보이네? 아무리 바빠도 그렇지 일 년에 한 번을 까먹나? “

“근본이 있어야지. “


 싸늘하다. 대화를 듣다 보면 본능적으로 느낀다. 가족 구성원들 간 불화의 시작을 알리는 종소리가 울리고 있음을. 우리 조상 묘를 다듬는 건 효행이며 후손의 책무라는 점에서 명분은 확실하다. 그런데 그건 언제까지나 ‘내 생각‘에 불과하다.


 어느 구성원이든 간에 누군가 한 명은 차라리 돈을 주고 벌초를 맡기자는 제안을 하게 된다.


“아니, 잘 생각해 봐요. 우리가 4명이 모여서 지방에서 여까지 올라오는데 기름값, 식비에 예초기까지 들고 오면 그게 그 돈이라고요. 게다가 벌이라도 쏘여봐요. “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조상 묘를 어떻게 남에게 맡길 생각을 하고 있어? “

“그래서 얼만데?”

“1기당 15-20만원 정도래요. “

“미쳤네. 그 가격에 맡긴다고? “

“우리가 여기까지 온 걸 생각해 보라고요.”


 대화는 무한 루프에 빠져 끝나지 않는다. 그들은 묘 이장도 알아보고 화장터, 수목장 심지어 기독교나 천주교가 가진 문화가 부러워진다.

내 키를 훌쩍 넘긴 풀
잡목이 점령한 묘

 위의 사진 속 현장은 정말 양호한 편이다. 아까시나무가 점령하거나 칡이 뒤덮거나 미국 자리공 같은 강력한 친구들이 한 곳에 모이면 답도 없다. 주변에 대나무까지 있다면 포크레인으로 다 파버리고 싶은 심정일 것이다.

보이는가? 미국 자리공의 자태가

 사실 잔디 식재를 아무리 잘해도 손톱만 한 틈이 생기면 잡초 침입을 막을 수 없을뿐더러 일조량과 강수량이 부족한 조건이면 입혀놓은 떼(잔디)는 금세 전멸하거나 외부 침입으로 이게 작년에 조성한 묘가 맞나 싶을 정도 달라진다.


 경험과 경력이 모든 것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내 경험에 따르면 벌초는 몸과 마음을 망가뜨리고 가족 간 불화를 알리는 신호탄이다. 물론 모두가 화합하는 경우도 있다. 다만 극소수에 불과할 뿐.

저처럼 기쁜 마음으로 간다면야 뭐..


추신.

여러분은 다가올 추석이 기다려지시나요?


매거진의 이전글 흥미로운 농약 이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