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메모대왕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메모대왕 Mar 26. 2019

자기 관리와 브레인 타입

4개의 뇌, 포스트잇 장소별 사용법

개인 - 가정 - 직장, 이 3가지의 분리의 필요성을 언급하기 전에 우리의 생각 체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의 생각을 담당하는 인간의 뇌는 4개의 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스개 소리일수도 있지만 하나의 뇌 속에는 관점의 따라 구분할 수 있는 4개의 영역이 있습니다. 이 4개의 뇌는 다음과 같습니다.


1st Brain - 제1의 뇌: 생각 판단의 뇌
2nd Brain - 제2의 뇌: 저장 분류의 뇌
3rd Brain - 제3의 뇌: 초감각 공유의 뇌
4th Brain - 제4의 뇌: 객관적 시선 3인칭 시점의 뇌


1st Brain - 제1의 뇌는 가장 중요한 뇌입니다. 제2의 뇌, 제3의 뇌, 제4의 뇌를 강화하여 결국은 제1의 뇌를 튼튼하게 하는 것입니다. 제1의 뇌가 강화되어야 통찰력이 생깁니다.


2nd Brain - 제2의 뇌는  우리의 뇌 속에 정보를 수집, 저장, 분류하는 뇌입니다. 다양한 클라우드 Tool을 이용하여 제2의 뇌로 제1의 뇌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으며 좀 더 효율적으로 정보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3rd Brain - 제3의 뇌는 우리의 생각과 의견을 SNS나 회의 등을 통해 타인과 공유하면서 타인의 뇌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나’만 생각하면 하나인 뇌이지만 공론장에서 타인과 소통을 하면 수십 수백개의 뇌가 ‘나’를 도와주는 것입니다. Austen Kleon의 Show Your Work도 이와 같은 개념이 적용된 책입니다. 책을 참고하시거나 아래 동영상 링크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u.be/0NUuidxfink


4th Brain - 제4의 뇌는 ‘나’를 좀 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뇌입니다. 나로부터 떨어진 3인칭 시점에서 ‘나’를 바라보며 자가 성찰을 하는 것입니다. 객관적으로 자신을 본다는 것은 솔직히 어렵습니다. 다만, 골목식당의 백종원 대표의 '자기 안에 갇혀 있다.'는 말처럼 이를 뼈져리게 느끼는 계기가 생겨야 합니다.

https://programs.sbs.co.kr/enter/street/clip/51451/22000316829?type=ucc&cooper=nhn





이 4개의 뇌는 앞에서 언급한 AEIOU(Activities, Environments, Interaction, Objects, Users)속에서 작동하며, 그 속에서 자연스럽게 시간과 공간 범주의 분리를 요구하게 됩니다.



그 대표적 시공간이 개인 Personal - 집 Home - 직장 Work 이 되는 것입니다.

자기 관리, 시간 관리, 할 일 관리를 할 때 생각의 순서를 '퍼스널-홈-워크'로 하므로서 좀 더 체계화된 생각 정리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분들의 개인적인 숙제, 즉 퍼스널 홈워크 Personal Homework를 해결하는 시작점이 되는 것입니다.


중요한 건 개인화된 생각의 순환 고리를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는 프레임 Frame을 만드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자기 관리 성공 비결 4가지, AEIOU, 4개의 뇌, Personal Home Work는 클라우드와 노트 Tool의 폴더 또는 노트북 이름이 될수도 있으며, 여러분들의 생각을 확장할 수 있는 프레임이 될 수 도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실행할 수 있는 TIP을 하나 드리겠습니다.

Post-it으로 생각정리를 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장소별로 색상을 구분하여 Post-it에 메모를 하시고, 조용한 공간에서 장소별로 수집된 메모를 정리하시면 본인이 현재 어디에서 어떤 고민과 할 일이 집중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덧) 사용한 Post-it은 버리지 마시고 A4용지나 큰 노트에 잘 정리해 두세요. 엄청난 자산이 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키노트랑 친해지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