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영어대왕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메모대왕 Jul 02. 2020

잔소리

멘토를 파는 시대

학원은 잔소리로 시작하여 잔소리로 끝난다. 

시대가 바뀌어 잔소리를 시원하게 하는 건 쉽지 않지만, 

영어 학원의 특성상 다음과 같은 잔소리가 캠퍼스에 울려 퍼진다.


'왜 늦었니?' 

'왜 과제 안 했니?'

'왜 단어 안 외웠니?'

'자세가 이게 뭐니? 똑바로 좀 앉자.'

'떠들지 마라.'

'옆사람 쳐다보지 마라.'

'다리 떨지 마라.'

'교실에 얼른 들어가라.'


쓸데없는 훈계는 하지 말라고 강사들에게 지시했지만,

한 학생으로 인해 반 분위기가 어그러지는 순간은 꽤 많다.


'관계' 안에서 '잔소리'는 그 관계를 탄탄하게 하기도 하고 아예 끊어버리기도 한다.

반 분위기를 헤치는 것은 서로에게 좋지 않아 문제가 있는 학생은 원장실로 즉시 보내라고 했다.


'왜 왔니?'

'과제를 안 해서요.'

'왜 안 했는데?'

'...'

'기회를 주는 거야. 말해봐.'

'... '


가을과 겨울은 잔소리가 가장 많이 필요한 시기라 공식적인 잔소리를 위해서 '진로/진학 상담' 이란 제목을 달아 학생과 상담을 하며 본격적으로 잔소리를 한다. 그나마 이때는 학생들이 그래도 좀 듣는 편이다. 다들 먹고살 걱정은 하는 것 같다.


가끔씩 잔소리를 돈을 주고 듣는 학생들이 있는데, 일주일에 2시간 정도 멘토링 학원을 다니는 학생들이다. 공부법을 중심으로 2시간 동안 학습 상담과 점검을 해주는 학원인데, 잔소리도 '멘토'라는 단어를 붙이면 팔 수 있다니 참 놀라운 세상이다. 물론 나도 비슷한 것을 하고 있다 보니 내가 더 할 말은 아닌 것 같다.


부모님의 잔소리는 거부하면서

멘토를 뒤집어쓴 이들에게는 돈을 주면서 잔소리를 들으려고 하니

씁쓸하다.


부모님의 말씀과 학원의 말은 크게 다르지 않다.

부모가 너의 멘토다.


끝.



매거진의 이전글 매일 맞는 아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