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에서 디자인 학교를 졸업 후 삼성, 니콜로디엄, 시티뱅크 등에서 많은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현재는 스마트홈 분야의 스타트업에서 프로덕트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는 뉴욕 10년 차 디자이너 라이언님께 일하는 법에 대해서 여쭈어봤습니다. 살벌한 뉴욕 한복판에서 한 회사의 디자인팀을 이끌고 있는 라이언님의 생생한 꿀팁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미국에서는 비주얼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UI 디자이너, Product 디자이너 등 여러 가지 롤이 존재하지만 롤 간의 경계는 점점 사라지고 있는 중이다(회사마다 물론 아주 다르지만). Job이 많아진 만큼 디자이너의 퍼포먼스에 대한 기대치도 많이 높아져 있고 한 가지만 할 수 있는 디자이너보다는 전체 프로세스에 기여할 수 있는 디자이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쉽게 얘기하면 점점 많은 회사들이 프로덕트 디자이너를 찾고 있다.
프로세스 자체는 어디를 가도 비슷할 것이다. 데이터 또는 UX리서치 결과를 보고 가설을 세운 뒤 아이데이션과 와이어프레임 과정을 거쳐 디자인하고 개발하고 또 검증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Iteration프로세스. '이런 가설은 대체 왜 나온 거야?'처럼 근본적인 질문도 던질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질문을 잘 던지기 위해서는 생각을 논리적으로 글로 풀어내는 과정이 도움이 된다. 해결하려는 문제, 현 상황,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 유저관점에서 잘 써 내려가는 능력이 있으면 문제를 효과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고 팀원들과 소통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보통 프로덕트에 관해서 생각해야 할 질문들은 아래와 같다.
1. Objective
2. Problem
3. Assumption
4. Question to be answered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현재 회사는 저돌적으로 모르는 게 있으면 바로 물어보고 분위기가 있다. 문제가 생기거나 프로젝트 진행이 막히는 경우 소극적으로 기다리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물어보고 솔루션을 찾기 위해서 빠른 액션을 취하는 편이다. 물론 스타트업이기 때문에 이런 문화가 형성되어있을 수도 있다. 의사결정도 기본적으로 토론과 설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편이고, 의사결정권자라고 해서 무조건 결정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팀원들과 설득과정을 거쳐서 결정이 도출되는 편이다.
좋은 프로덕트가 나오기 위해서는 협업문화가 잘 갖춰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좋은 협업문화가 정착하려면 팀원 간의 존중이 꼭 필요하다. 서로의 분야에 대해 존중하고 믿고 일을 맡길 수 있어야한다. 개인적으로는 어떤 회사에서 일하느냐 보다 어떤 사람들이랑 일하느냐가 훨씬 더 중요한 것 같다. 한국에서는 협업문화가 수직적인 관계 때문에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다. 기껏 구성원들이 열심히 리서치해서 인사이트 뽑아놓으면 윗선에서 한마디 걸치거나 방향을 수정하니 좋은 프로덕트가 나오기 힘들다. 미국이라고 무조건 수평적인 것은 아니지만, 보통은 상사가 하는 말에 동의하지 않으면 반박할 수 있고, 충분히 논리적이라면 설득이 가능하다.
누구한테 조언을 할만큼 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자기 디자인에 대해서 articulate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자기 디자인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공격이 들어왔을 때도 논리적으로 반박을 할 수 있고 내 디자인으로 설득이 가능하다. 의외로 이 부분을 잘 못 하는 디자이너들이 꽤 많다. 아까 말했듯이 글쓰기와 디자인은 생각을 표현해낸다는 점에서 닮은 점이 많은 것 같다. 디자인을 시작하기 전, 유저시나리오도 좋고 유저 스토리도 좋으니 생각을 글로 많이 표현해보는 연습을 하면 도움이 될 듯하다.
두 번째로는 좀 더 여유를 가지고 디자인하면 좋겠다. 물론 이 말이 씨도 안 먹히는 회사도 많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스크린을 계속 보고 있다고 좋은 디자인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툴을 잡고 씨름할 시간에 한 발 뒤로 물러서서 생각을 더 해보기를 권한다. 오히려 디자인에 대한 논리를 더 세울 수 있고 다른 관점으로 바라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 회에는 라이언님이 미국에서 직장생활을 하면서 겪은 취업, 이직 등에 대한 꿀팁으로 찾아오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