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징전 Jul 16. 2020

얼마 버는데?

얼마 버는 데에게 지고 싶지 않은 마음

"걔 얼마 버는데?"

새로운 사람을 소개할 때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이다.


"대기업 다니는 내 동창이야"라고 소개하면,

"대기업 다니면 연봉이 높겠네, 얼마 버는데?"라고 물어보고,


"소개팅해서 만난 사람이야"라고 얘기하면,

"직업은? 얼마 버는데?"라고 궁금해한다.


그 사람이 어떻게 성장했는지, 어떤 철학을 가지고 있는지, 꿈이 뭔지에 대한 정보는 '버는 액수'로 대체되어 버린다. 물론 연봉은 한 사람이 가지는 노력의 결과물이긴 하지만, 그 결과물이 늘 우선되는 현실이 안타깝다.

난 어릴 때 부유한 가정에서 자랐고, 풍요로운 환경에서 부족함을 모르고 자랐다. 그러다가 초등학교 고학년 사춘기가 올까 말까 할 때 즈음, 집안 경제사정이 급격히 힘들어지면서 한순간에 내가 자라는 환경이 변하는 것을 겪었다. 그 시절 가정주부이던 엄마는 일을 시작했고, 나는 이제 다른 사람 도움 없이 내 할 일은 내가 알아서 해야 했다. 중학교 입학하고는 교복을 입기 시작하자, 당시 친구들 사이에서는 유일하게 멋 부리는 것이 운동화였었던 기억이 난다. 어느 날은 쇼윈도에 전시된 신상 필라 브랜드의 검정 운동화가 계속 떠올라서 갖고 싶다고 기도했는데 차마 부모님께 사달라고 조르지 못했다. 집안 사정이 뻔히 보이는데 철없이 굴고 싶지 않았다.

'난 커서 뭘 해야 하지?'

궁핍함은 내가 나의 진로를 늘 고민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그때도 다짐했다.

돈보단 명예가 중요한 일을 할 거라고.

당시 상황에 굴복해서 돈에 아가는 인생을 살고 싶지 않았다.

그리고 난 '공부밖에'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었고,  그 다짐을 잊지 않으려 했다. 그래서 우리 집에서는 박사학위까지 따면서 가방 끈이 가장 길다. 그리고 공부의 먼 여정의 결과로 교수가 되었다.


교수라고 하면 다들 많이 벌거라고 생각한다.

교수가 되기까지 석사, 박사까지 투자된 시간과 비용, 그리고 박사 졸업 후에는 교통비랑 커피값 정도 충당되는 강사생활을 또 버티면 그다음 교수가 될 수 있는 조건이 완성되고, 그 조건이 완성되어도 교수가 되기까지 쉽지 않다. 그런데 지방대학의 인문대 조교수인 나의 첫 월급은 세금을 제외하고 200만 원 남짓이었다. 대한민국에서는 평균 40대 중반에 교수로 임용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는 통계가 있다. 나이 40 중반까지 겨우 입에 풀칠할 정도로 버티다가 받는 첫 월급이 200만 원이라는 현실이 슬프기까지 하다. 난 돈에 따라가지 않으려고 했는데 내 노력의 결과물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잔혹한 금액이라서 나 자신에게 실망감이 들었다.  교수생활도 연차가 올라가면 물론 연봉도 올라가고, 퇴직 후 안정적인 연금이 있으니 억울할 거 없다고 하지만 난 내 주위에서 나에게 '얼마 버는데?'라고 물을 때마다 초라하다고 느꼈다. 대학 동기 중에 금융계로 빠진 친구들은  30대 후반이 되니 소위 억대 연봉자들이 되어서 적금도 넣고 부모에게 손 벌리지 않아도 되는데 난 빚 좋은 개살구 마냥 부모의 도움 없이는 아이들 양육비도 감당하지 못했다. 내가 이 자리까지 올 때 쏟아부은 노력의 과정이나 내가 앞으로 가진 비전은 나의 연봉으로 다 묻혀버렸다. 그럼에도 난 내 직업에 만족했던 이유는 직업을 통해 느끼는 보람이 있었기 때문이다. 가르치는 일이 천직이라고 느꼈고, 나를 따르는 제자들이 있어서 행복했다. 이것은 돈의 가치와 비교할 수 없는 무형적 가치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런 보람도 잊어버릴 만큼 고달팠다. 시댁의 생활비 지원은 며느리라는 한 인간의 존엄성까지 훼손시키는 느낌이었다. 돈의 지배를 받게 된다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세월이 갈수록 더 무서웠다.  결국 난 얼마 벌지 못하는 사람이라서 오는 대가라고 느껴지면서 무능한 남편이 원망스러웠다. 결국 나도 내 딸이 결혼할 때 딸의 배우자에게 '얼마 버는데?'라고 묻게 되지 않을까? 그렇게 뻔한 사람이 되어갈까 싫었다.


얼마 전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러 은행에 갔다. 난 당연히 주택이라는 담보가 있으면 대출이 원활히 될 거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대출상담직원이 '연소득은 어느 정도 되세요?'라고 물었고, 대출상환능력을 위해서는 소득금액 증명이 중요하다고 했다. 은행에서도 '얼마 버는데?'가 가장 중요한 나의 가치 평가의 기준이 되었다. 세상은 온통 '얼마 버는데?'라는 질문으로 가득 차 있는 거 같다.


난 부득이한 사정으로 교수를 그만두고, 아니 정확히 말하면 재계약이 안되면서 해고가 된 상황이다. 그나마 내가 명예롭다고 지키던 지위마저 다시 내려놓고 나니 차라리 진작에 '얼마 버는 사람'처럼 구체적인 연봉금액의 꿈을 가지고 살걸 그랬나 후회되기도 했다. 하지만 아직도 난 어릴 적 집안 형편이 힘들어서 부모님께 피자 먹고 싶다는 말도 미안해서 하지 못했던 시절이 생각난다. 그때도 돈이 없다고 돈과 타협하지 않았던 나였는데 지금은 그때에 비하면  당장 야식으로 피자를 시켜먹을 수 있는 형편이라는 것에 감사하다. 그래서 '얼마 버는데'에게 지고 싶지 않다.


내가 지금까지 해 왔고, 잘할 수 있는 일은 '글쓰기'이다. 인생 이모작을 꿈꾸는 나에게 글쓰기는 새로운 삶의 씨앗 같다. 내가 작가 공부를 시작했다고 했을 때, 친정엄마가 처음으로 나에게 한 질문은,

'그거 하면 돈 얼마 버는데?'였다.

난 그냥 내가 얼마를 벌든 간에 불혹의 나이임에도 다시 도전하는 그 마음에 대한 지지와 칭찬이 듣고 싶었는데 너무 속상했다. 경제적으로 힘든 경험이 있는 엄마에게 당연한 것일 수 있고 나도 내 딸에게 그럴지도 모른다. 하지만 꼭 그 얘기를 묻고 싶다면, 차라리 나에게 '얼마 버는데?'라는 말보다는 '얼마 벌 거야?'라고 물어봐주면 좋겠다. 그 이유는 난 아직 꿈이 있으니까 나의 미래가치를 평가해 달라고 얘기하고 싶기 때문이다.


나도 현실에서 '돈'이 가지는 힘에 대한 경험을 한 터라, 얼마 버는 데가 얼마나 무서운 아이인지 알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도 돈을 아가는 삶을 살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내 자존감 정도는 지킬 수 있는 돈은 벌어야겠다. 내 딸에게는 미래 배우자를 선택할 때 이런 조언을 해 주고 싶다.

'얼마 벌고 있는지도 중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부모가 얼마 가지고 있는지는 더더욱 중요하지 않고, 네 배우자가 앞으로 얼마 벌 수 있는 사람인지 따져보라고'

'얼마 버는데'에게 너의 고귀함을 뺏기지 말라고 얘기하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아줌마에게도 친구가 있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