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진수 Sep 02. 2021

공평한 육아와 가사노동 가능할까

[리뷰] <박강아름 결혼하다>

육아나 가사노동을 부부가 공평하게 하는 건 가능할까? 다큐멘터리 <박강아름 결혼하다>(감독 박강아름)를 처음 보고 생긴 이 질문에 대한 나의 답은 'NO'다. 다큐멘터리는 프랑스에 사는 박강아름 감독과 남편 정성만 씨의 이야기다. 일단 둘은 많이 부딪히고 싸운다. 경제권은 가진 사람과 육아와 가사노동을 전담한 사람이 다퉜다. 경제권을 가진 이는 박강아름 감독이고 육아와 가사노동을 하는 사람은 성만 씨였다.



박강 감독과 성만 씨는 프랑스에 산다. 박강 감독은 영화를 공부했다. 성만은 한 진보 정당에서 활동하며 남은 시간엔 식당 요리사로 일했다. 둘은 결혼을 했고 박강 감독은 성만 씨에게 프랑스로 떠나자고 제안했다. 박강 감독은 프랑스에서 영화 공부를 한다는 뚜렷한 목표가 있었다. 반면 성만 씨는 구체적인 계획이 없었다. 박강 감독은 성만에게 “당신은 (프랑스에서) 요리를 공부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한 명은 목표가 있었고 한 명은 없었다. 이 차이는 컸다. 성만은 프랑스에서 요리를 공부하지 못했다. 박강 감독과 달리 프랑스어를 잘 못했던 성만은 가사노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주부 우울증'에 걸렸다. 그런 성만을 위해 박강 감독은 집에서 할 수 있는 식당을 열었다. 이름은 '외길 식당'. 성만이 요리를 하고 하루에 한 테이블만 받았다. 사람들이 꽤 찾아오고 성만도 재미를 느꼈지만 얼마 안 가 중단했다. 적자였기 때문이다.


둘 사이에서 아기가 태어났다. 이름은 보리. 보리에게 밥을 먹이고 돌보는 일은 거의 성만의 몫이었다. 박강 감독은 대학원에서 영화 공부에 매진했다. 어린이집 추첨에서 떨어져서 성만이 다니는 어학원 병설유치원에 보리를 맡겨야 했다. 거리가 왕복 두 시간이었다. 그러면서 부부는 싸우는 날이 늘었다. 박강 감독은 그때쯤 하나의 생각을 떠올렸다. 도대체 결혼이라는 건 뭘까.


다시 생각해보았다. 육아나 가사노동을 부부가 공평하게 하는 건 가능할까? 다큐를 보고 생각한 건 이상과 현실은 꽤 다르다는 점이었다. 일단 아이를 돌보려면 시간이 넉넉해야 한다. 그러면 당연히 시간이 많은 사람이 책임지게 된다. 부부 둘의 시간의 불균형이 온다면 공평한 육아와 가사는 꿈꾸기 힘들 거다.


럼 그 몫 국가가 좀 더 나서 준다면? 국립어린이집이 늘어나고 돌봄 교사가 넉넉하다면? 아님 또 다른 방법을 찾는다면? 임산부에 대한 지원이 꽤 잘 정비된 프랑스에조차 개인 일을 병행하면서 육아와 가사노동을 한다는 건 어려워 보인다. 그러니까 부부가 서로 공평하게 하려고 노력한다 하더라도.


육아와 가사노동 앞에 이 부부는 서툴지만 이 다큐는 꽤나 유쾌하다. 싸우다가도 화해하고 이야기하고 함께 장을 보고. 그렇게 부부가 되어간다. 박강 감독이 ‘결혼이 뭘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건 다큐멘터리 후반부다. 다큐멘터리에서는 결혼이 뭔지는 답을 내리지 않는다. 대신 86분 동안 펼쳐지는 박강 감독과 성만의 일상을 통해 결혼이 무엇인지 관객에게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적어도 나는 싸우긴 해도 솔직한 부부의 모습이 좋았다. 한 평생 나와 다르게 살아온 사람끼리 서로 같이 사는 일이니 얼마나 예측이 불가하고 안 맞는 일도 많을까. 그래서 이 모든 과정은 해피엔드로 끝날 것이라고 믿고 있다. 부부라면 어쩔 수 없이 겪어야 하는 걸 아름-성만 부부도 겪고 있는 셈. 박강 감독은 다큐멘터리 끝자락의 한 장면을 통해 결혼이라는 건 ‘이런 것’이라며 따뜻한 손길을 건네준다. 아마 가벼운 미소가 번질 거다.

매거진의 이전글 각자도생이 된 야쿠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