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가 거스름돈이 되기까지
길에서 노숙자가 “Any change!”또는 “Any change, please.”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때가 있다.
여기서 change는 ‘변화’, ‘교환’이라는 뜻이 아니라 ‘잔돈’이라고 번역된다.
‘혹시 잔돈이 있으면 제게 주세요’라는 말이고.
여기의 change가 왜 ‘잔돈’ 또는 '거스름돈'으로 번역되는지 추측을 해보았다.
change.
일단 ‘거스름돈’이라고 번역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번역은 미국 사람들의 거스름돈을 내주는 방법에 기초한다.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미국도 화폐는 우리처럼 10진법을 쓴다는 것을 말해둔다.
즉 1센트가 100개 모이면 1달러가 되고 그다음부터는 10달러, 100달러, 1,000달러 하는 식으로 나아간다.
이제 예를 들어본다. 가게에 가서 7달러 56센트짜리 물건을 사고 10달러 지폐로 지불한 경우를 생각해보자. 우리가 종업원이라면 <10달러 - 7달러 56센트 = 2달러 44센트>라는 답이 즉각 나오니까 돈통에서 2달러 44센트를 꺼내서 거스름돈으로 건네줄 것이다. 산수로 해결한다.
그런데 미국식 계산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종업원은 10달러를 받은 후 손님이 가져온 7달러 57센트짜리 물건을 앞에 놓고 이렇게 계산한다.
7달러 57센트짜리 물건 옆에 1센트 동전 3개를 얹으면서 “60센트.”라고 말한다. 7달러 57센트짜리 물건에 3센트를 더했으니 종업원과 손님 사이에는 물건과 현금을 합해서 7달러 ‘60센트’의 가치가 놓여있는 것이다.
그리고 10센트 동전 4개를 얹으면서 “8달러.”라고 말한다.
이제 종업원과 손님 사이에 있는 물건과 현금의 합계가 ‘8달러’이다.
마지막으로 1달러 지폐 두 장을 얹으면서 “10달러.”라고 말한다.
종업원과 손님 사이에 있는 물건과 현금의 합계가 ‘10달러’가 되었다.
이제 손님은 7달러 57센트짜리 물건과 현금 2달러 44센트를 집는다. 이렇게 해서 손님은 10달러짜리 지폐를 주고 물건과 현금을 합해서 10달러를 받은 것이다.
즉 등가(等價)의 거래를 한 것이다.
10달러 지폐 = 물건 + 거스름돈.
즉 우리가 거스름돈이라고 말하는 그것은 손님이 준 돈에 대응해서, 물건에 더해진 돈이다.
그렇게 해서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은 동일한 가치를 교환(change)한 것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물건 외에 건네진 돈 2달러 44센트가 왜 change인지 이해가 된다.
2달러 44센트는 우리말로 하면 거스름돈이니까 change의 번역도 ‘거스름돈’이 된다.
그리고 이 ‘거스름돈(change)’은 상대적으로 금액이 적으니까 ‘잔돈’이 되는 것이고.
물론 이 얘기는 무슨 학문적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에서 살면서 혹시 이래서 거스름돈을 change라고 하는 게 아닐까 하고 혼자 생각해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