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미국 돈 - 주화 2

미국 들여다보기 - 9

  미국 주화 1센트는 페니, 5센트는 니클, 10센트는 다임, 25센트는 쿼터라고 한다. 그러면 주화에도 그렇게 적혀있는 것일까? 그런 것도 있고 안 그런 것도 있다. 1센트 페니는 <ONE CENT>라고 적혀있고 penny라는 말은 없다. 니클도 <FIVE CENTS>라고 적혀있고 nickel이라고 적혀있지는 않다. 이 니클을 오래전에는 하프 다임(half dime)이라고도 했다. 10센트 다임의 절반이니까. 다임은 주화에 그렇게 적혀있다. <ONE DIME>. 쿼터는 1달러의 4분의 1(quarter)이니까 주화에도 <QUARTER DOLLAR>라고 적혀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만나는 이 네 가지 주화 말고도 50센트짜리 와 1달러짜리 주화가 있다.


  50센트짜리 주화. 1달러의 절반 가치라서 이름이 하프 달러(half dollar). 직경 30.61mm, 두께 2.15mm, 무게 11.340g. 은회색. 주화의 테두리는 오돌토돌. 주화에 <HALF DOLLAR>라고 적혀있다. 주화 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무겁다. 실생활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50센트가 필요하면 쿼터 2개를 사용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1달러짜리 주화. 직경 26.49mm. 두께 2.00mm. 무게 8.1g. 하프 달러보다 작고 쿼터보다 크다. 은회색과 금색의 두 가지 색깔이 있다. 이것도 실생활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은회색 1달러 주화에는 수잔 앤터니(Susan B. Anthony)라는 여성이 새겨져 있는데, 1800년대에 활동한 여성 참정권, 노예제 폐지 운동가였다. 이 주화는 다른 주화와 달리 테두리 안쪽에 직선 띠를 새겨두어서 마치 각이 진 주화 같은 느낌을 준다. 다른 특징이 하나 더 있다. 테두리는 오돌토돌한데, 그 테두리를 옆에서 들여다보면 구리색 띠가 들어있다. <ONE DOLLAR>라고 적혀있다. 


  금색 1달러 주화는 다시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역대 대통령 초상들을 담은 것(Presidential $1 Coin)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 원주민을 담은 것(Native American $1 Coin)이다. 미국 원주민을 담은 1달러 주화에 제일 먼저 등장한 사람은 새커저위아(Sacagawea, 우리에게는 ‘새커거위아’ 또는 ‘사카가위아’등으로 알려짐)라는 여성이다. 이 사람은 1800년대 초반 미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이 되는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에서 탐험대의 안내와 통역을 담당했던 사람이다. 이 금색 1달러짜리 주화의 테두리는 다른 주화와 매우 다르다. 테두리가 민짜인데 거기에는 주화 발행연도와 글자가 새겨져 있다. 테두리에 글자가 새겨진 주화는 이것뿐이다. 이 주화에는 <ONE DOLLAR>라고 적힌 것도 있고 그냥 <$1>이라고 적힌 것도 있다.


keyword
작가의 이전글 미국 돈 - 주화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