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블랙홀 May 12. 2023

교사들의 위기(1)

결혼 상대자의 직업선호도 1, 2위를 달리던 교직에 대한 호응도가 달라지고 있단다.   

  

기존의 교사들은 그나마 기득권을 갖고 있지만 새로 임용고시를 합격해서 발령을 받으려는 교사들에겐 참으로 맥이 빠지는 상황이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면서 교사 선발인원은 이미 감소하고 있으나 전국 교대·사대 입학 정원은 그대로다. 이 때문에 ‘임용 적체’ 현상이 발생하면서, 교사 임용시험 경쟁률은 치솟고 있다고 한다.      

2023학년도 공립 중등·비교과·특수(중등) 교사 임용시험 경쟁률은 전국 평균 7.9대 1을 기록했다.     

2022학년도에는 7.0대 1이었지만, 선발 예정인원이 1300명 이상 줄어들면서 경쟁률이 상승했다.     


문제는 경쟁률이 치솟고 있음에도, 임용시험에 합격하더라도 발령받지 못하고 장기간 대기가 일반화되고 있다.

가장 황금지역이라는 서울 지역 초등교사 임용시험 합격자는 발령까지 평균 15.6개월에서 2년 6개월이나 기다린 사람도 있다고 한다. ㅎㄷㄷ     


합격 후 3년이 지나도 발령을 받지 못하면 합격이 무효 처리된다는 규정이 있어 임용대기자는 속이 타들어간다.    

 

예전, 대학을 나오면 성적순으로 자동발령이 되던 시대에서, 어느 순간 임용고시가 생겨 시에 합격하지 못하면 기간제(계약직)로 전전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었는데 지금은 그 자리마저 치열해졌다.  

   

임용고시에 합격하고도 발령을 받지 못하니 임용대기자들이 기간제(약직)로 쏟아져 나오다 보니 평소에 기간제로도 근무하던 교사들의 입지마저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기간제 교사는 자격증은 있지만 임용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이들이나, 퇴직한 교원이 주로 지원해 왔다. 교원 자격증이 있다면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교육대학교나 초등교육과를 졸업하고 임용시험에 합격했지만 정식 발령이 나지 않은 '임용 대기자'가 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단다.

기간제 교사는 방학과 연가, 보너스와 성과급이 있는 1년짜리가 가장 인기가 많은데 최근 예비 교사들의 지원이 늘면서 경쟁률도 높아지는 모습이다.     


교사들의 임용 적체 현상은 사실 어제오늘 일은 아니었다.

출산인구가 줄어들고 학력아동이 줄어드니 그에 따른 반사현상이다.     

한 학급에 70명까지 있었던 과밀학급에서 교사들은 열악한 환경에 비명을 질러댔고, 학급인원이 감소될수록 교사들은 질 좋은 교육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질 좋은 교육에서 이젠 자리의 입지마저 흔들고 있으니 말이다.

     

학령인구가 줄면서 각 시도교육청도 신규 채용 규모를 줄이고 있지만, 교사수급에 비해 학생 수가 워낙 빠르게 줄고 있기 때문에 이런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서울대에 합격하는 것만큼 어렵다는 서울교대를 입학하면 발령은 신경 쓰지 않았는데... 지금은 서울교대를 졸업하고도 발령을 받지 못하는 이가 대기 수준이라니 참으로 격세지감을 느낀다.     


대도시에 몰리는 인구가 늘어날수록 지방도시는 인구감소로 더 어려운 상황이라지만, 대도시로 몰리는 인구는 대부분 일자리를 찾아가는 사람들로 문제는 결혼을 하고, 실제 출산을 하는 사람이 줄어드는 게 더 문제이다.


능력이 있으면 비혼주의자들이 많아졌고, 결혼을 했다 해도 출산을 미루고 반려동물을 기르는 이가 더 많아졌으니.

    

정부의 지원부족?

일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어려워?

육아휴직이 눈치 보여?     


내가 보기엔 위 사항들을 충족시킨다 해도 사실 출산율이 늘어날 것 같지 않다.

     

내 주변에도 외벌이로 집에서 먹고 놀면서 한 아이 기르기도 어렵다고 죽어가는 소리를 하는 이들을 볼 수 있다.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은 국가에서 지원은 해준다 해도 친구를 사귀려면 사교육을 받지 않을 수 없단다. 동네에서는 또래 친구들을 찾아볼 수가 없는 이유란다.ㅠ     

집에서 하는 학습지는 기본인 데다 미술학원에도 보내고, 기죽지 말라고 태권도나 검도 도장에도 보내야 하고, 거기에 영어학원은 필수란다.    

 

차량운행도 하지도 않고 일주일에 두 번 밖에 하지 않는 영어학원을 다니느라 어버이날 용돈마저 줄인다고 했을 때 은근히 부아가 났다. 일주 2희 영어학원비가 한 달에 50만 원이라나 뭐라나.

   

요즘 젊은 부모 대부분 이렇게 아이를 키우는 추세라 하니, 정부지원만으로는 출산장려를 어느 정도 충족할 수 있을까? 싶다.


기하급수적으로 체감되는 교사적체에 대한 현상은 국가정책과 일반국민들의 출산율에 사회문제까지 연계되어 있으니 그 실마리는 쉽게 해결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어 우려스럽기만 한 게 현실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