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클라 Klarblau Feb 21. 2024

커피에 대하여

커피 생산자들은 한국인을 좋아할까

커피 환경


커피는 한국인에게 공기 같은 존재인가 보다.

차 한잔 마실래? 보다 커피 한 잔 할래? 가 더 자연스럽다.


커피 안 마시고 싶은 사람은 소외감 느낀다.


어디 밖에서 커피 말고 다른 선택권이래 봤자 (내 선호도에서는) 커피만도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난 커피를 즐기지도 않는데 웬만한 커피중독자보다 커피를 더 잘 안다는 소리를 들는 경지에 이르러 있다.


10대에는- 커피를 잠 안자야 할 때나 힘 필요할 때 마시는 정도로, 캔커피나 자판기커피 정도 먹었는데

20대에는- 아르바이트하는 곳에서 커피머신이 있어서 에스프레소, 라떼, 카푸치노를 기계에서 내려 서빙하며 커피종류를 외워야 하게 되었고, 커피에 몸이 익숙해져야 했고

30대에는- 또 아르바이트하는 곳에서 원두커피머신으로 메뉴개발도 할 정도로 커피를 좀 연구해서 에스프레소로 커피를 막 실험했고, 거의 매일 커피를 두세 잔씩은 마시게 되었고

나중에는 생두를 볶아먹는 분들과 작업실을 함께 쓰면서 커피 원산지와 종류를 구분하게 되었고, 로스팅도 이래저래 해 보기도 했고,


이제는 내가 찾아먹지 않아서 그렇지, 보면 구분할 줄은 안다. 그리고 주는대로 가리지 않고 그냥 먹는다. 난 커피를 그냥 마셔야 해서 먹는거니까 그저 볶은콩물 마신다 생각하고 입을 축인다. 종종 머릿속으로 이 커피의 로스팅이 잘됐네 신기하네 혼자 생각하면서 먹기도 하다.



이렇게 환경이라는 것은 참 중요하다. 개인이 원하지 않아도 주변이 그러하면 그렇게 되게 마련이다.

커피 없어도 인간은 살 수 있는데.

커피를 마시는 인간으로 사회화되어간다.


커피가 밥만큼 일상적인 문화에서는 원만한 사회생활을 유지하려면 커피가 싫은 사람도 어떻게든 적응해야 했기도 했다.

"커피 안 마신다."라고 말하면 뭔가 남을 배려하지 않는 언어를 쓰는 것 같고,

"커피 못 마신다."라고 말해야 좀 따가운 눈총이 덜하다.


그래. 배려와 존중의 사회에서 그냥 못 마신다고 말한다. 실제로 커피 마시면 각성이 되어서 잠을 잘 못 자는 영향이 있으니까 조금은 사실이다.


커피가 몸에 정말 안 받는 사람들은 또한 안 마시기 위해 엑스트라로 에너지를 들여야 한다.

커피 거절애 대한 이유 설명하는 노고와 시간...

그니까 웬만해선 그냥 커피 좀 마셔주고, 몸을 커피에 적응시키는 것이 편하다.


몸은 불편하고 이에 맘도 좀 불편하겠지만.

근데 이러는 게 과연 자신을 위한 선택인지는...


얼마 전, 지인이 드립백을 갖고 와서 함께 마셨다.

함께 음식을 나눠 먹는다는 행위에 더 큰 의미를 두는 나는 음식이 안 맞아도 먹을 때엔 맛있게 먹는다.

수고스럽게 가져와주셨는데, 나름 나를 위해 들고와주신 게 어디냐. 그게 먼저지.


그리고 커피의 그 오묘한 볶은 태운 향은 매력적인 건 맞다. 가끔은 땡기기도 하고, 잠 안자야 할 때에도 각성제 대신 마신다.

그리고 이 날도 그냥 하루 에너지 더 내서 살았다.



신토불이?


한국은 커피 생산지가 아니므로, 그저 소비국가이다.

커피를 이렇게 한국인이 많이 소비하는 데에는 한국인이 보리차나 숭늉 마시던 습관과 연관이 있다고도 하는데


그런데 보리는 오히려 비싸고 보리차를 구하는 것보다 커피 구하는 게 더 싸고 편하게 되었으니.

신기하고

아쉽다.



인체적 관점:

커피가 우리 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데,

과학적 연구결과 같은 건 배제하고라도 커피가 우리 한국인 인체에 딱히 자연스러운 식재료는 아니라는 생각을 한다. 수천 년 이 땅에 살아온 선조들이 이 땅과 맞춰온 몸에, 몇 십 년 전부터의 새로운 식재료는 지금 한국인이 적응 중이고, 우리 몸에 맞으려면 그래도 한두 세대는 더 지나야 하지 않을까?


뭐 그렇게 생각하면 더 이상 단일민족도 아니요, 지구촌시대인 만큼 그런 걸 생각한다는 건 너무 구시대적 생각인 것이긴 하지만.


지리적 관점:

그 먼 나라에서 한국까지 운송해 오는 비용과 자원소모를 감수하고라도 꼭 필요한가? 없어도 잘 살았던 시절을 생각하면 더더욱 필수음식은 아니다.

이 땅에서 함께 자라는 인간과 식물이 같은 햇빛을 받고 같은 흙을 밟고 자라는 식물을 먹는 것이 가장 조화로운 순환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그냥 우리 조상이 해 오던 대로 먹고사는 게 제일 현명한 것 같다.

우리 땅 우리 음식 우리 물건 우리 재료를 쓰는 게 이익인 것 같다.



생산자에게 인건비는 제대로 주고 사먹는건지


커피는 이제 또한 기업적 생산품이 되어버림으로써, 공정무역 문제의 1순위 아이템인데, 대부분 우리는 그저 싼 커피를 찾아 먹고 있는 실정에서 내가 한 잔 마시는 커피소비로 생산자의 인권부터 유통상의 지구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딱히 좋은 영향은 별로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아니, 내가 커피 한 잔 아무데서나(?) 마시면 그 한 컵에서 커피생산자들이 커피빈을 따는 모습이 그려지면서, 그들의 삶과 내 삶이 오버랩되면서,

내가 그들의 시간과 노동에 대해 정당한 대가를 안 주고 사는 것 같아서 별로다.


이렇게 그냥 덥썩 받아먹을 때마다 미안하다.



Fair trade?

그래도 내가 내 돈 주고 커피를 먹어야 할 때이면 최대한 공정무역 커피라도 찾는다.


공정무역이라고 100% 신뢰할 것은 아니라지만, 적어도 한 부분이라도 나아간 방향의 제품이라면 그쪽에 소비하겠다. 내가 커피를 자주 먹는 사람이라면 확실히 좀 알아보고 찾아먹겠는데,

그저 간간히 아무거나 먹어야 하는 경우라서 그건 좀 어렵다.


요즘은 꼭 공정무역 말고도  친환경 커피라던지 하는 다른 방향의 커피생산 움직임이 있다.



소통의 방식, 나를 표현하는 방식 - 소비


소비자는 구매를 통해 그 생산품을 지지한다. 투표는 정치에서만 이루어지는 아니라 소비의 방식으로 우리 일상에 모두 깔려있다. 심지어 공기도 물도 우리는 소비하는 시대가 되어버렸다.  맑은 공기 있는 곳에 살거나 공기청정기 사는 것, 생수를 사먹느냐 수돗물을 먹고 수도요금내느냐를 결정하여 물을 소비하는도 그 시스템을 만드는 행위에 투표하는 것이다.


자기 의사를 이렇게 쉽게 표현할 수 있다니, 이 얼마나 경이로운 세상인가!


타인과 지구 다른 존재와 공존하면서, 소비를 통하여 또한 소통한다는 생각을 하며 물건 하나 살 때에도 그 구매가 세상에 어떤 신호를 보내는지에 대한 인식을 한다. 그런데 우리 일상을 이루는 수많은 소비물품들이 타인의 노동력을 착취하고, 지구자원을 과다소모하여 생산되는 것이 많으니

뭐 하나 살 때에도 정신차리고 사지 않으면 나도 모르게 나는 나와 남을 괴롭히는데에 투표를 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더욱 소비에 신중하게 되는데,

현재 내 일상을 이루는 수많은 것들 중, 대부분은 그저 어렸을 때부터 내게 있었던 것들, 사회가 그걸 써야 한다고 해서 들여온 것들이고

내가 기꺼이 내 의지적으로 내 생활에 들여놓게 되는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중 하나가 커피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다양성에 대하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