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msnghwn Sep 13. 2017

말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하여

영화 <아이캔스피크>

간혹 그런 영화들이 있다. 기대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톤과 주제로 관객을 당황시키고, 끝내는 진한 여운을 남기는. 나에게는 장준환 감독의 <지구를 지켜라> 같은 영화가 그런 영화였다. <지구를 지켜라>는 영화 마지막의 그 마지막까지도 관객의 기대를 철저히 깨부쉈다. 재밌는 점은 영화의 소문만 들은 사람과, 직접 관람한 사람간에 상당히 다른 평가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관객이 예상한 바와는 전혀 다른 이야기가 펼쳐질 때, 영화가 보여주는 감정의 폭은 훨씬 깊어진다. 그것이 웃음이든 감동이든 공포든 상관없다. 중요한 것은 원래 관객이 영화에 대해 가지고 있던 세계관이 무너져 내릴 때, 영화에 대한 인상은 얼마든지 재평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영화에 대한 첫인상이 영화를 감상하는데 꽤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

<아이캔스피크>는 그 첫인상에 의해 영화에 대한 평가가 상당히 갈릴 수 있는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초기 <아이캔스피크>의 홍보는 원칙주의 공무원과 신고정신이 투철한 도깨비 할매 사이의 신경전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따로 추가 예고편이나 관련 기사를 찾아보지 않은 나로서는 <아이캔스피크>는 이전의 <나는 공무원이다>와 같이 코미디를 기반으로, 사회 풍자와 약간의 감동코드가 가미된 영화로 생각했다. 영화의 중반부까지는 나의 예상이 맞았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나 영화가 중반부를 넘어가면서부터는 영화는 다른 전개양상을 보였고, 나는 충격에 빠졌다. 그것은 장르의 변형으로까지 볼 수 있을 만큼의 급격한 반전이었다. (반전이 너무나 큰 나머지 앞부분의 스토리는 사실상 맥거핀으로까지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든다.) 영화가 초반에 흩뿌렸던 많은 이야기들(공무원 해이, 재개발 문제 등)에 비해 영화의 결말이 결국 하나의 이야기로 귀결되는 점은 완성도 면에서는 분명 아쉬운 점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후반부의 반전은 그 아쉬운 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만큼의 골이 깊은 내용을 품고 있었다.

그래서 나는 이 영화를 보려는 생각이 있다면 아무런 사전정보 없이 가서 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영화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은, 전체적인 완성도를 어느 정도 포기하면서까지 이뤄낸 장르적 변형에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영화는 <지구를 지켜라>와 비슷한 양상을 띠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사전정보를 가지고 본 관객과 그렇지 않은 관객 사이의 극명한 평가 차이 말이다.       



*이 뒤로는 영화에 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스포를 원하시지 않는 분은 읽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영화를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이 영화가 후반부에 이르러 영화의 톤 자체를 바꾸게 되는 결정적인 소재는 바로 '위안부'다. 어쩌면 영화의 중반부까지 '위안부' 소재에 대해 조금의 예상조차 하지 못했던 이유는 바로 옥분(나문희 배우분) 할머니의 밝은 얼굴과 성격탓이지 않을까 싶다. 영화 내내 따뜻하면서도, 유쾌한 할머니의 행동과 표정에 암울한 우리나라의 역사가 숨겨져 있으리라고는 도무지 상상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것은 어쩌면 편견일 것이다. 암울하고 힘든 역사를 겪은 그녀에 대한 이야기는 당연히 슬픈 스토리로만 가득할 것이라는 편견. 슬픔은 생각보다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해맑게 웃고 있는 누군가의 얼굴에 얼마만큼의 눈물이 차올라 있을지는, 그 사람 본인이 아니라면 누구도 알 수 없다. 영화 속 시장 상인들도, 공무원들도 옥분 할머니 가슴에 차 있던 눈물에 대해서는 조금도 알지 못한 것을 보면.

그렇기에 '말할 수 있다'라는 영화의 제목은 상당히 많은 의미를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아마도 그동안 감추고 살아왔던 '위안부'에 대한 이야기를 파렴치한 일본에 당당히 말할 수 있다는 뜻이 가장 먼저 떠오를 것이다. 하지만 옥분이라는 한 여성 개인이 짊어졌던 고통의 무게를 생각해보면, 영화의 제목은 '개인의 고통, 눈물에 대해 이제는 토로할 수 있다'는 뜻으로도 받아들일 수 있다. 아픈 역사 이후로 몇 십년, 과연 그녀의 고통을 그녀가 용기 내 말을 하지 않았다면 우리가 알아차릴 수 있었을까. 자신할 수 없다.

영화 후반의 이야기와는 별개로 영화에는 유독 밥을 먹거나 혹은 테이블에 앉아 대화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옥분이 그녀의 아픈 과거를 말해야겠다고 결심한 것에는 친구 정심의 병세 악화가 결정적이었겠지만, 문득 그것 뿐은 아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가 바랐던 공동체는 무엇일까.

아니 <아이캔스피크>가 최종적으로 그리려 했던 공동체는 무엇일까. 영화를 보고 나온 다른 분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다.




*영화 이미지 출처 -Daum영화

매거진의 이전글 말하자면 사랑 같은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