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지숙 Nov 28. 2020

치열한 법정

내가 하지 않으면, 누구도 하지 않을 일이라서


  순전히 예일 로스쿨에 대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책읽기였다. 460 페이지의 긴 서사 가운데 극적인 장면은 몇 없었지만, 하나의 커다란 법률 프로젝트가 어떻게 시작되고 마무리 되어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를 남길 수 있는지 간접 체험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예일 대학의 한국인 교수 헤럴드 고는 아이티 난민에게도 자신을 대변하고 보호해줄 변호인이 필요하다는 명제를 법적으로 인정받고자 3천 시간이 넘는 시간을 투입했다. 그를 따르는 예일대 학생들과 뜻을 함께 해준 변호인만 100여명이었고, 이 사건이 마무리된 이후에도 그는 몇 년을 더 이 문제 매달려야 했다.      


 변호인이 법정 문을 박차고 들어가 누군가의 억울함을 드라마틱하게 증명하고, 그에 대한 획기적인 보상을 약속받는 시나리오를 기대했다면 이 이야기가 조금 시시하게 느껴질 것이다. <치열한 법정>이란 제목과 달리 실제 법정에서 이뤄지는 공방은 0.001%도 다뤄지지 않는다. 그보다 훨씬 더 많은 분량은 나와 일면식도 없는 이국의 난민을 위한 문제에 한 개인이 얼마나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쓸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설명하는 데 쓰였다. 한 명의 교수, 한 명의 학생, 한 명의 변호인, 또 한 명의 판사, 한 명의 행정가, 한명의 정치인, 그리고 국방부의 간부와 한 나라의 대통령까지 포함해서 말이다.      


 하나의 판결이 현실의 삶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의 의지가 개입되는지를 곱씹어보게되는 책이다. 난민의 생명과 인권을 보호하는 이례적인 판결이 나왔을 때 백악관은 48시간 이내 이에 호응해 관타나모 난민들을 석방했다. “정치판에서는, 먼저 나서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과 법원의 판결을 따르겠다고 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문제”임을 이야기한다. 이 판결은 영구적인 구속력을 갖지 못하고 또다시 난민들은 별다른 보호 조치를 받지 못한 채 본국으로 송환되는 일이 반복되는데, 그럼에도 이와 비슷한 사건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망명 신청을 처리하는데 정부가 훨씬 더 조심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법원과 언론의 감시 아래 입국허가 비율은 3% 미만에서 85%까지 상승했다는 이야기도 등장한다.      


  졸업 후 진로와 눈앞의 부당함을 바로잡는 일 사이에서 고민하는 학생들의 모습은 그대로 고 교수에게서도 나타난다. 그 역시 한 가정의 가장으로 자신이 법무부를 상대로 벌린 일의 대가를 생각하며 담보대출이 연장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야 하는 한 개인이었다. 재판부와 행정부는 서로의 눈치를 보며 신경전을 이어가고, 그 뒤엔 정치와 국제적인 역학 구도가 산처럼 자리 잡고 있었다. 그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이 판결이 세상에 나오게 된 건 “그들이 그 일을 하지 않으면 아무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는 고 교수의 지극히 현실적인 공감 능력 덕분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다음 주에 또 갈 곳으로 여름휴가를 간다는 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