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까지 평창 조직위원회를 통해 나온 경제효과 논리는 2011년 7월 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행한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가 뿌리다.
올림픽에서 나오는 무형의 것을 숫자로 추산하는 게 가능한지 따져볼 때다. 아예 올림픽이 당장의 경제 효과가 없음을 인정하고 국가 차원의 가치 활동으로 봐야 하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든다. 관련 주장은 여러 체육 전문가들과 몇몇 경제학자들이 수차례 제기했지만 결정권자들이 듣지 않았다.
정치는 ‘포스트 평창’이라는 말이 붙을 정도로 평창에서 촘촘히 챙겨갔다. 하지만 경제는 당장 아무것도 손에 넣은 게 없다. 확실한 문제점 하나는 짚을 수 있다. 화장실 들어갈 때와 나올 때 다르듯이 그때는 ‘강원도 행사’라고 선 그었다가 지금은 ‘국가 행사’라고 말 바꾸며 중앙 정부에 손 벌리는 이들이다.
염동열 권성동 의원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평창동계올림픽 시설에도 정부 예산이나 체육진흥기금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을 2016년에 발의했다. 이 개정안은 현재 국회 상임위 법안소위에 머물고 있다.
■정부 입맛에 따라 늘었다 줄었다~ ‘고무줄’ 평창동계올림픽 경제효과(이투데이)
정부가 평창 동계올림픽이 끝나자마자 올림픽 개최로 13조7000억 원의 경제적 효과가 예상된다는 자료를 냈다. 2011년 7월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보고서를 인용해 21조1000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던 중 사실상 7조 원가량이 줄어든 셈이다. 당시 정부가 평창올림픽을 경제올림픽으로 포장하기 위해 입맛에 맞는 자료만 썼다는 지적이 나온다.
■막 내린 평창동계올림픽…경제적 효과는 지금부터(연합뉴스TV)
청와대는 대회 기간 1조4000억원의 소비지출 증가를 통해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을 0.2% 포인트 증가시켰다고 추정했다. 내외국인의 경기장 방문과 관광수입으로 5000억원, 대회 경비로 9000억원의 소비 증가가 이뤄졌다. 관광활성화와 국가 이미지 제고 등 간접 효과도 상당했다.
■평창올림픽과 강원경제, 17일간 4천억대 홍보효과(강원일보)
26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세계 주요 20개국의 성인 1만 20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한 해동안 관광 목적지로서의 경쟁력 등을 조사한 결과, 강원도의 인지도는 2016년 대비 3.8%포인트 상승한 14.2%로 기록됐다. 강원도 인지도 상승 폭이 2014년 0.9%포인트, 2015년 0.4%포인트, 2016년 0%였던 데 비하면 급상승했다. 세계 인지도를 1%포인트 높이는 데 필요한 비용이 1000억원임을 감안하면 4000억원대에 가까운 홍보효과다.
■‘평창의 경제학’ 올림픽 특수는 있었나(뉴스웨이)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동계올림픽 기간 동안 코스피는 1.82% 증가했다. 하지만 국내 10대 증권사가 추천한 18개 평창 수혜주 가운데 코스피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인 것은 삼성전자, 하나투어, LG디스플레이 뿐이었다. 이노션과 마니커를 포함해도 주가가 오른 것은 5종목뿐이다.
■'빚'에 시달렸던 인천…평창은 다를까?(머니투데이)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건설비용은 1조원에 육박한다. 그러나 아직 사후 활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곳도 있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과 하키센터, 정선 알파인 경기장은 관리주체가 정해지지 않았다. 한국산업전략연구원이 강원도의 의뢰로 작성한 용역보고서를 보면 이들 경기장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경우 연간 수십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만 하더라도 연간 운영비가 32억5400만원으로 추정됐다. 운영수익은 연간 10억원이다. 매년 22억5400만원의 적자가 나는 구조다. 강릉 하키센터는 연간 21억4300만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인천은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 후 재정위기를 겪었다. 인천은 경기장을 짓기 위해 1조970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했다. 원금 상환 시기는 2029년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