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름이 돋는다, 나는 오늘도 출근하였고, 아직 퇴근 전이므로...
천명관의 〈퇴근〉이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계간 문학동네〉 20주년 기념호인 2014년 겨울호에서였다. 기념호였으므로 김훈을 비롯해 성석제, 은희경, 김연수, 손보미 등의 쟁쟁한 작가들의 단편 소설들이 꽤나 많이 실려 있었다. 하지만 그 기념호에 실린 여러 글들 중 단연 압권은 두말할 나위 없이 (내게는) 천명관의 〈퇴근〉이었다. 한 번이라도 회사원이라는 호칭으로 일해본 자라면 이 소설 읽고나면, 이 소설을 다시는 잊을 수가 없을 것이다.
“... 담요는 국가운영부에서 지급하는 바우처에 기대 살아가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들은 아무데도 소속되어 있지 않았고 아무 소득이 없었으며 태반은 일정한 주거지도 없는 노숙자들이었다. 그들을 담요 혹은 블랭킷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추위를 피하기 위해 늘 넝마 같은 담요를 두르고 다니기 때문이었다.” (p.10)
소설 〈퇴근〉의 시간적 배경은 특정되어 있지 않다. 단지 소설 속의 사회는 구십 퍼센트가 넘는 실업률로 피폐화되어 버렸다. 그저 현재 일을 가지고 있는 회사원이라는 사실만으로 특권 계층이 되어버리는 사회이다. 그리고 회사원이 아닌 이들은 이제 담요를 둘러쓰고 돌아다니며 나라에서 제공하는 바우처로 연명을 하는 노숙자 신세로 전락하였다. 주인공인 남자 또한 이러한 담요의 일원이고, 아들과 함께 바우처를 받기 위한 대열에 서서 조정관의 노골적인 모멸을 견뎌야 한다.
”안경을 쓴 젊은 조정관이 자판을 두드리며 으스스하게 웃었다. 주변에 서 있던 담요들은 자신을 조롱하는 끔찍한 농담에도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눈치만 살폈다. 자칫 조정관의 비위를 잘못 건드려 바우처를 못받게 된다면 앞으로 한 달간은 끔찍한 지옥이 될 게 뻔하기 때문이었다.“ (p.12)
물론 옥상옥이니 구십 퍼센트 노숙자 위의 십 퍼센트 회사원 위에는 슈퍼리치라 불리는 극소수의 이들이 있다. 이들은 담요들에게 건네지는 약품의 수요를 조절함으로써 담요들의 목숨값을 산정하는 게임을 할 정도로 비인간적이다. 슈퍼리치, 회사원, 담요라는 피라미드의 어느 계층에 속해 있든 모두가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인간적인 속성을 (스스로) 몰수당하였다. 소설의 공간적 배경이 바로 그런 사회이다.
“슈퍼리치들은 더 이상 상품을 만들지 않았다. 대신 돈을 굴려 돈을 버는 자본소득에만 열을 올렸다. 공장도 기계도, 골치 아픈 노동자도 까다로운 소비자도 필요 없었다. 돈을 굴리는 일은 소수의 전문가만 있으면 가능한 일이어서 고용도 문제가 아니었다. 자본은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아메바처럼 스스로 증식을 거듭해 괴물처럼 점점 더 몸집을 불려나갔다. 반면에 한때는 성실한 노동자였고 순진한 소비자였던 이들은 이제 짜봐야 똥밖에 안 나오는 쓸모없는 담요로 전락하고 말았다.” (p.28)
소설 속의 남자는 인도 출신의 아내에게서 아들을 얻었지만 그 아들은 병이 있다. 아내는 먹고 살기 위하여 남자와 아이를 버렸으나 이미 죽었다. 남자는 받은 바우처로 아들에게 줄 약품을 구입하려고 굶는다. 하지만 약품의 가격은 슈퍼리치의 농간으로 배가 뛰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남자는 오래 전 회사원이었지만 자신들을 버리고 사라진 아버지를 만난다. 자신의 아들과 함께 최후의 만찬을 위해 들른 회사원들이 이용하는 식당에서였다.
『―도대체 뭐가 오해라는 거예요?
―난 사실 집을 난간 적이 한 번도 없어.
아버지의 목소리엔 어딘가 안타까움이 서려 있었다.
―그게 무슨 소리예요? 아버지 삼십 년 동안 한 번도 집에 들어오신 적이 없잖아요.
남자가 계속 몰아붙이자 아버지는 마침내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 듯 버럭 소리를 질렀다.
―난 집을 나간 게 아니라······!
그의 노기 서린 목소리엔 짙은 슬픔이 배어 있었다. 어느새 눈시울도 붉어졌고 주름 잡힌 눈꺼풀이 파르르 떨렸다. 그는 울음을 참기 위해 앙다문 이 사이로 남은 말을 힘겹게 뱉어냈다...』 (pp.76~78)
소설 〈퇴근〉의 백미는 위에 옮겨 놓은 부자 지간의 대화 뒤에 등장하는 남자의 아버지의 한 마디에 있다. 독자는 바로 그 한 마디를 듣기 위하여, 그리고 전율하기 위하여 이 짧은 소설을 읽은 것이다. 소설 〈퇴근〉의 이 한 마디야말로 능동적으로 일을 하는 인간에서 수동적인 노동의 인간으로 옮겨간 현대 사회의 회사원(노동자)을 극명하게 특징 짓는다. 이미 알고 있는 결말인데도 다시금 소름이 돋는다. 나는 오늘도 출근하였고, 아직 퇴근 전이므로...
천명관 / 퇴근 / ㈜아시아 / 105쪽 / 2015
ps. 단편소설 〈퇴근〉은 K-Fiction Series 중 ’K-픽션 한국 젊은 소설‘의 여덟 번째 책으로 출간되었다. 흥미로운 국내 작가들을 단편 소설을 대상으로 한 기획이었고, 우리의 소설을 세계와 공유하고자 한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글과 영어 두 개의 언어로 소설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