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44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보편적 신 vs 민족적 신

살며 생각하며

by 송면규 칼럼니스트 Jul 23. 2024

"보편적 신""민족적 신"은 종교학과 신학에서 종종 논의되는 개념으로, 각기 다른 범위와 성격을 가지는 신의 개념을 설명한다.


먼저, "보편적 "은 특정한 민족이나 문화에 국한되지 않고, 전 인류가 공통적으로 믿거나 추구하는 신을 의미한다.


이러한 신은 보통 초월적이고, 전지전능하며,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한다고 여겨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종교에서 볼 수 있다.


1. 기독교의 하나님

- 기독교에서는 하나님을 유일하고 전지전능하며, 전 세계 모든 인간을 창조하고 다스리는 존재로 믿는다.


2. 이슬람교의 알라

- 이슬람교에서도 알라를 유일신으로 믿으며, 알라가 전 우주를 창조하고 모든 인간을 다스린다고 가르친다.


3. 힌두교의 브라만

- 힌두교에서도 브라만은 우주 만물을 초월하는 궁극적 실제로 여겨지며, 이는 특정한 민족이나 문화에 국한되지 않는 보편적 개념이다.


"민족적 신"특정한 민족, 문화, 또는 지역에 속한 신을 의미한다. 이러한 신들은 그 민족의 역사, 문화, 그리고 전통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보통 그 민족의 보호자이자 수호자로 여겨진다.


예로는 다음과 같은 신들이 있다.


1.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

- 제우스는 그리스 신화의 최고신으로, 그리스 민족과 그 문화에 깊이 뿌리박고 있다.


2. 노르드 신화의 오딘

- 오딘은 노르드 신화에서 최고신으로, 북유럽 민족의 신앙과 전통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일본 신화의 아마테라스

- 아마테라스는 일본 신화에서 태양의 여신으로, 일본 민족과 문화의 중심에 있는 신이다


차이점을 요약해 보면,

- 범위 : 보편적 신은 전 인류를 대상으로 하지만, 민족적 신은 특정 민족이나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 성격 : 보편적 신은 초월적이고 전지전능한 존재로 여겨지는 반면, 민족적 신은 특정 민족의 문화와 역사에 뿌리박은 존재이다.


-  예시 :  보편적 신의 예로는 기독교의 하나님, 이슬람교의 알라 등이 있으며, 민족적 신의 예로는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 일본 신화의 아마테라스 등이 있다.


이 두 개념은 종교와 신화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각의 종교적, 문화적 배경을 통해 신의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했는지를 보여준다.

작가의 이전글 "박정희 vs 리콴유" 결단과 리더십 그리고 용인술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