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SPO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ritic Jan 09. 2016

정명훈과 서울시향, 그리고 또 다른 서울시향

연주를 들으면서는 온갖 생각이 떠오르고, 하고 싶은 말이 참 많았는데 공연장을 나오니 벌써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그래서  그중 몇 가지만 적어본다.


1.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솔리스트 최예은

음향 상태로 둘 째라면(물론 뒤에서) 서러운 세종문화회관에서 이런 소리를 울릴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못했다. 명료하고 아름다웠으며, 또한 자신만의 소리였다. 활을 키는 손과 팔은 또 얼마나 아름답게 움직이던지. 끝나고 기다려서  사인받았다. CD가 매진이라 리플릿에 받은 게 죄송할 따름.


2. 크리스토프 에센바흐

생긴 것도 그렇고 두상(이라고 쓰고 민머리라고 읽는다)도 그렇고 <위플래쉬>의 플레쳐 교수(J. K. 시몬스 분)와 판박이다.  뒷모습은  더욱더 그러해서 연주 내내 플레쳐 교수가 지휘하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난 또 내가 지금 카네기 홀에 있는 줄 알았지.


3. 브루크너 교향곡 9번

우리나라에서, 좀 더 넓게는 아시아에서 이만한 브루크너를 들려줄 수 있는 교향악단이 몇이나 될까? 지역적으로 한정하지 않더라도, 혹은 다른 연주와 비교하지 않더라도 오늘 연주는 정말 대단했다.(세종문화회관의 음향 상태를 고려한다면 더더욱)

개인적으로 정명훈 감독을 떠나보내는 송가로서, 그리고 서울시향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울림으로서 더 할 나위 없는 곡, 그리고 연주였다.


4. 정명훈과 서울시향

12월의 마지막 날을 며칠 앞두고 정명훈 전 감독의 재계약 불발과 출국 소식이 전해졌을 때, 많은 사람이 걱정했고 또 걱정할  수밖에 없었다. 기자(라고 쓰고 기레기라고 읽는)라는 분들의 기사는 사실 보도가 아니라 폄하, 비난, 아니꼬움으로 가득했고, 이러한 기사로 도배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뉴스 댓글란은 미끼를 문 물고기로 가득했다.(이 사태를 보며 네이버와 다음을 위시한 포털 사이트에서 뉴스 서비스를 중단하든 뉴스 댓글란을 없애든 둘 중 하나는 꼭 필요하다고 느꼈다. 물론 절대로 그럴 리 없기 때문에 하는 소리다)

혹자는 서울시향을 가라앉는 배에 비유하기도 했고, 또 다른 누군가는 풍랑을 만난 배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런 시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정명훈 전 감독은 키를 버리고 도망간 선장이었다.

그러나 오늘 연주를 들은 사람은 알 수 있을 테다. 서울시향이라는 집단 혹은 단체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그들의 음악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오히려 보란 듯이 더 아름다운 소리를 내고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5. 또 다른 서울시향

어찌 되었든 서울시향에 새로운 지휘자, 새로운 예술감독이 필요하다. 오늘 연주를 통해 서울시향은 자신들에게 에센바흐 같은 훌륭한 지휘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아니, 좀 더 적확히 말한다면 서울시향 스스로가 에센바흐 같은 훌륭한 지휘자가 아니라면 어울리지 않는, 훌륭한 오케스트라가 되었다는 것을 증명해 냈다. 그리고 아마 그것은 온전히 정명훈과 서울시향 스스로가 노력한 결과일 것이다.

누가 정명훈 전 감독의 뒤를 이을지, 세계 지휘자 시장에서 누가 적 없이 이 돌아가고 있는지 나는 전혀 모른다. 다만 지난해 7월 서울시향과 함께 봄의 제전을 지휘했던 알렉상드르 블로슈가 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매거진의 이전글 정명훈 사태와 예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