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관순 Oct 01. 2023

겨울의 서막, 김장의 추억

18-2

   11월은 가려진 달이다. 앞뒤로 개성이 강한 두 달 사이에 낀 달이 되어 쓸쓸한 이미지를 내지만, 11월만큼 주부들 마음이 바빠지는 때도 없다. 겨울을 앞두고 김장과 수능이라는 넘어야 할 두 개의 큰 허들이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세태가 달라져 주부의 절반이 김장을 하지 않는다 해도, 11월이 되면 집집의 걱정은 누가 뭐래도 김장이 아닐까 싶다. 지금도 나이가 든 사람들은 12월 이전에 김장 김치 맛을 봐야 겨울나기가 정서적으로 편하다는 말을 한다. 집집마다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이 김장 풍속이다. 어머니가 할머니로부터 전수받은 김장법이 아내로 대물림되고 다시 며느리가 대를 이어가면서 우리 집만의 김장 풍경을 만들기 때문이다.      

  

언젠가부터 김장과 수능이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기준이 되었다. 해마다 수능고사를 치르는 아침만 되면 수은주가 뚝 떨어지고, 멀쩡했던 날이 김장 날만 되면 찬바람이 쌩쌩 부는, 기막힌 날씨 조화를 경험하며 한 시대를 살았다. 지금은 지구 온난화로 날씨의 변덕이 예전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김장하는 날은 딸 며느리 다 모여 장날처럼 북적여야 제맛이고, 손을 호호 불며 수능 고사장 앞을 떠나지 못하는 학부모들을 봐야 본격적인 겨울나기의 시작임을 체감한다.       

   고생은 해도 김장을 마치면 몸이 그렇게 개운할 수가 없다. 어머니가 그러셨고, 아내가 그랬다. “김장했으니까. 추위가 오든 걱정 없다”라며 어느 부자 부럽지 않게 푸근해하시던 어머니... 내가 학교를 다니던 때만 해도 가을 대사로 월동준비가 빠지지 않았다. 김장김치 200 포기는 기본이고, 연탄 300장은 들여놔야 심리적으로 편안하다고 했다.  겨울나기는 동물만 준비하는 것이 아니다. 그 시절엔 사람에게도 겨울나기만큼 힘들고 신경 쓰이는 일이 없었으니까. 요즘은 김장이란 말이 무색할 만큼 20 포기 많아야 50 포기이지만, 200 포기 김장을 하려면 그 준비가 며칠 전부터 만만치 않았다. 배추 씻어 절여놓는 것도 일이지만 양념 준비하는 일이 더 힘들었다. 김장은 사실 준비 과정이 전부라고 할 만큼 김장 속에 들어갈 재료들을 만드는 일에 많은 시간과 공을 들여야 한다. 마늘 까서 찧어놓고, 생강 씻어 다지고, 쪽파 씻어 썰고, 무 쓸어 채 만들고 어디 그뿐인가. 찹쌀 풀까지 쑤어야 한다.   

    

   김장처럼 여럿이 모여 힘든 일을 할 때는 우스갯소리가 양념으로 곁들여져야 제격이다. 논에서 모내기를 하는 남자들 같이, 김장하는 여자들도 실없는 농담 사이로 고단함을 풀었다. 어느 해 추운 날, 우리 집 김장을 돕겠다고 오셨던 누님이 배추 속을 넣으면서 하신 이야기가 떠올랐다. 독학으로 춤 공부를 끝낸 여자가 있었단다. 주말에 김장도 담가놨겠다 홀가분한 마음으로 그동안 배운 춤 솜씨를 실전에 써 보려고 용기를 내어 카바레에 갔다. 그런데 분위기와 느낌이 춤을 배울 때와는 달라도 너무 달랐다. 난생처음 낯선 남자 파트너에 안겨 춤을 추다 보니 가슴이 벌렁벌렁거려 자꾸 스텝이 꼬였다. 신경을 쓸수록 몸은 더 뻣뻣해졌다. 남자가 부드러운 음성으로 귀에 대고 속삭였다. 

“많이 긴장하셨나 봐요?” 

“네, 40 포기했어요.” 

  당황한 나머지 엉겁결에 동문서답을 하고 말았다. 그 말에 우리 집 여자들이 뒤집어졌다. 그러자 이번에는 올케가 아들 이야기라며 말꼬리를 이었다. 수능을 한 달 앞두고 재수생인 아들 방에 들어갔더니 책상 위에 이런 글을 써 붙여 놓았다는 것이다. “ ‘포기’란 배추를 셀 때나 쓰는 말이다!” 그래서 또 한 번 입마다 빵빵 폭소가 터졌다. 예전에 비하면 지금의 김장은 수고라고 할 것도 없으나 아내에겐 여전히 가을철 대사다. 겨우내 가족 식탁을 든든하게 지켜낼 우리 집 만능 찬이 거기서 나오기 때문이다. 우리 집 김장 날에 등장하는 음식으로 보쌈이 빠지지 않았다. 김장 때마다 어머니는 늘 바로 삶은 고기를 내놓았다. 양념 듬뿍한 겉절이로 수육을 말아 입안에 넣고 씹을 때의 그 고소하고 환한 맛…. 그리 멀지도 않은 시절, 푸근했던 그 세월이 눈앞에 하늘거린다.      

  김이 무럭무럭 나는 음식 앞에 가족들이 둘러앉아 추억을 만들 때는 저승의 할머니 어머니도 이야기 속으로 찾아와 쉽게 3대가 어울리는 자리로 만들어졌다. 추석에 좋지 않은 일로 감정이 상해 돌아갔던 시누이와 올케 사이에도 자연스레 화해 무드가 찾아든다. 올케가 큼직하게 보쌈을 싸 시누이 입에 넣어주며 “미안해. 내가 사과할게.” “언니, 그런 소리 마. 난 다 잊었어!” 그 한 마디에 우린 천성이 가족이라며 서로를 확인하는, 그런 날이 김장 날이다. 지금도 고향에서는 품앗이 김장을 통해 농사철에 생긴 앙금을 씻어낼 것이다. 


  올해는 공교롭게 김장하기 전날, 자연유치원에 다니는 손자 손녀가 배추 한 포기씩을 받아 들고 집에 왔다. 그중 4분의 1쪽을 절여 가면 유치원에서 선생님과 원생 어린이들이 함께 담근다는 김장 학습 안내문도 보내왔다. 손자녀들이 자기들 배추라며 곁눈질하면서 속을 넣었다. 그 바람에 저녁에는 어른들이 담근 김치와 아이들이 만든 김치가 밥상에 함께 올라와 가족들의 입맛을 즐겁게 했다. 김장은 아내에겐 긴 겨울의 시작이지만, 아이들에겐 또 다른 추억의 시작인 셈이다. (*)

이전 01화  그리움의 꽃 하얀 찔레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