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D Jan 06. 2019

알아두면 쓸모 있는 평가 용어 사전

assessment of, for, as Learning

평가 용어 바로 알기





evaluation  vs  assessment


 ‘평가’에 대한 대표적인 영어 표현으로 evaluation과 assessment가 혼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학 사전에서는 Assessment를 ‘사정(査定), 총평(總評)’ 등으로 번역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평가’라고 부른다. Assessment에 대한 정의가 세계적으로 통일된 바는 없지만 미국 듀크 대학과 카네기멜론 대학 교육학부에서 내린 정의는 아래와 같다.



평가(assessment)란 학습자의 학습과 발달을 돕기 위해 시행된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은 시험을 통한 ‘evaluation’이 과잉인 곳이었다.
따라서 총괄평가보다 형성평가를, 결과보다는 과정을, 가치판단보다는 진단을, 고부담보다는 저부담을 지향하는 평가, 즉 ‘assessment’로 나아가야 한다.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학습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의 구분

                                                                                                                                                                                                                                                                                                

◎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assessment of learning)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학생의 수행과정과 그 결과에 대해 최종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실시되는 평가로서 교사 중심의 총괄평가가 이에 해당한다.




◎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① 피드백을 통한 학습 촉진

학습을 위한 평가는 학생들에게 학습과제를 성공적으로 학습했느냐 못했느냐 실패하였다면 무엇을 어떻게 더 학습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시기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을 강화하고 촉진하는 기능을 하는 평가를 의미한다.


② 교수전략 개선

학습을 위한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교수전략(설명방식, 수업방법, 교재의 구성 등)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  학습으로서의 평가


①  평가와 학습을 통합


학습으로서의 평가는 학생 스스로 자신의 과제 수행을 평가하고 여기서 나온 평가 정보를 활용하여 자신의 학습을 진단하고 개선해 나가는 데 초점을 두는 평가를 의미한다. 즉 평가 과정에서도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평가와 학습이 통합된 형태이다.  


②  자기 평가와 동료평가 방식을 주로 활용


학습으로서의 평가는 평가를 학습 과정의 하나로 인식하기 때문에 학생 스스로의 자기 평가와 동료평가 방식을 주로 활용하게 된다.


③  자기 주도적 학습을 돕기 위한 평가


학습으로서의 평가는 학생 스스로 자신의 수행 결과를 평가하여 자신의 학습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스스로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습득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평가 활동이다.                                   




피드백


피드백은 학습자와 소통하는 정보로 정의된다(Hattie & Timperley, 2007).

교사는 학습자에게 전달할 정보를 선별하고 적절한 전달 방식과 유형 등을 선택하여 피드백을 제시하고 자신이 제시한 피드백의 효과를 기대한다. 하지만 학습자는 교사의 기대와 달리 피드백에 담긴 정보를 자신의 정보처리체계에 자동적으로 통합하지 않으며(Harks et al., 2013) 오히려 적극적인 해석을 통해 그 의미를 자신의 인지체계에 의식적으로 통합한다(Higgins, Hartley & Skelton, 2002).




※ 참고 자료

For, As, Of  Learning 의 비교


이제는 As가 대세다


이제 형성적 기능이 강조된 평가다



매거진의 이전글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는 교수-학습의 연계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