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D Jan 13. 2019

성취기준-수업-평가의 현장적 일관성

과정 중심 평가를 준비하는 교사의 필요충분조건③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이 서로 가르치며 배우는 관계 속에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선순환 관계가 존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바라보기

정교육과정 총론에서 바라보기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Ⅱ.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마. 교과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의 일관성을 강화한다.


교육 목표를 달성하고 교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가 일관되게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선순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으로 교육 내용을 구조화하였으며 이를 성취기준으로 진술하였다. 교과의 성취기준은 교과를 통해 학생들이 배워야 할 지식과 기능 및 태도의 총체로서 학년(군) 별 학습으로 기대되는 결과를 의미한다. 


수업에서는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학생의 다양한 특성과 요구를 파악하여 내용을 재구성하고, 학생들이 특정 맥락에서 습득한 내용을 새로운 상황에서 적용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평가에서는 학생들이 수행을 통해 지식을 적용하고,  형성평가 및 총괄평가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여 자신의 학습을 지속적으로 성찰하고 향상해 나가야 한다.




위의 그림은 교육부에서 설명하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 모습이다. 가장 상위에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 있고, 그 성취기준에 따라 수업을 하고, 평가를 한 다음, 평가 결과를 수업에 되돌려 수업의 질을 개선하는 데 사용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에서 만나는 교육은 교육과정-수업-평가가 따로따로 존재하지도 않고,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 상위에 존재하지도 않는다.





교육과정-수업-평가의 현장적 일관성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이란 모든 학생의 학습 경험의 성장을 우선에 두고 의도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 내용, 교수학습, 평가를 일관성 있게 일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수업과 평가가 더 이상 분리되지 않도록 수업 중에 형성평가 활동, 수행평가 활동을 접목하는 것이다. 이때 교사는 교육과정 설계자 및 수업 디자이너로서 자기 주도성을 갖게 되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학습한 내용을 삶에 접목시켜 주도적으로 성장해 간다. 



교육과정-수업-평가의 현장적 일관성

 

위의 그림은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나타나는 일관성의 모습이다. 


수업 영역의 원이 가장 크고 그 원이 교육과정과 평가를 둘러싸고 있다. 그 이유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지침에 포함된 내용보다 더 많은 것을 가르칠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그런데 교육과정 영역의 원은 수업 영역의 원 내부에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즉, 수업은 교육과정보다 광범위하지만 교육과정의 어떤 한 부분도 수업에서 배제되는 부분이 없다. 


끝으로 평가 영역의 원은 교육과정 영역의 원 안에 포함되어 있다. 모든 원 중에서 가장 작은 원이다. 왜냐하면 평가할 때는 대체로 교육과정에 있는 모든 내용을 평가 대상으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주목할 것은 평가나 평가 목적이 교육과정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검사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수업 영역의 원 안에 여전히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학생들에게 평가받는 학습 내용을 공부할 수 있는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관해 고민한다면 이것은 중요하다. 


서로 가르치며 배우는 (교수-학습) 관계로 함께 생활하는 과정에서 교육과정이나 성취기준을 뛰어넘는 다양한 배움이 이뤄진다. 수업을 통해 학생만 배우는가? 아니다. 교사도 배우고 성장한다. 그런 과정에서 교육과정을 보는 눈, 수업을 대하는 태도, 학생을  이해하는 능력이 질적으로 도약한다.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선순환 관계는 주체의 문제를 떠나서는 상상할 수 없는 영역이다.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이 서로 가르치며 배우는 관계 속에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선순환 관계가 존재한다.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을 구현할 때 교사의 교육과정 철학이 없이 성취기준에 대한 지나친 맹신으로 기계적으로 적용할 때 자칫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 스스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 및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을 위한 자신의 교육 철학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일제식 평가 폐지 → 과정 중심 평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