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D Jan 18. 2019

학습을 위한 평가(AFL)를 위한 전략

과평을 준비하는 교사를 위한 적용 전략①

학습을 위한 평가(Assesment for Learning)의 전략

 


교실혁신을 위한 첫걸음은 학생평가의 변화에서 시작일까?

학생평가 변화를 위한 키워드는 역량기반평가, 과정 중심 평가, 그리고 절대평가로 요약할 수 있다. 다르게 지칭된 평가 용어들을 풀어 설명하면, ‘학생의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학업성취 결과를 측정하기보다 성취기준에 도달하는 과정을 점검하는 형성적 기능을 강조하고, 성취기준의 도달 정도를 확인하는 준거 참조 평가(절대평가)를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형성적 기능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통한 피드백을 극대화하여 학습 전략은 물론 동기, 자기 성찰의 기회로 연결함으로써 교육적 의미를 더욱 부각한다.


교육평가의 기능 (Worthen & Sanders, 1987)을 좀 더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교육평가의 기능 (Worthen & Sanders, 1987)

  • 형성적 기능(개발, 수정 보완, 대안 탐색)
  새로운 교육과정이나 수업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육과정, 프로그램, 지도 방법, 학교 시설, 학교 운영 등을 수정, 보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의 기능을 교육평가의 형성적 기능(formative function)이라 한다.

  •총괄적 기능(선발, 자격인정, 책무 확인)
  형성평가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 수업 방법, 교육시설, 교육환경, 교육정책 등과 같은 교육 여건들이 최적 상태임을 확인한 후에 교육의 최종 성과를 평가하거나 자격인정, 선발, 혹은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한 당사자의 책무를 밝힐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의 기능을 총괄적 기능(summative function; 總括的 機能)이라 한다.

  •정략적 기능(홍보, 주의 환기, 동기 촉진) 
  단순히 학생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거나 지역사회 및 학부형에게 학교 교육의 방향과 초점의 변화 또는 학교에서 특별히 기획하고 있는 행사나 활동을 홍보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가 지니고 있는 기능을 교육평가의 심리적∙사회적∙정치적 기능이라고 하고 간단히 줄여서 정략적 기능(strategical function; 政略的 機能)이라 한다.




확대된 형성평가의 개념

             


기존의 전통적 형성평가에서는 쪽지 시험, 5분 테스트, 퀴즈, 완전학습을 위한 시험 등과 같이 시험 또는 검사지에 의한 평가가 형성평가의 범주에 포함되었다.


이에 비해 학습을 위한 평가에서는 기존의 다양한 시험 이외에 학생의 교수-학습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는 모든 활동은 학습을 위한 평가의 범주에 포함된다.


교사의 관찰, 교실에서의 질문과 토론, 숙제 및 시험 결과와 같은 학생이 작업한 과제의 분석도 학습을 위한 평가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이다.


학습을 위한 평가에서는 학생과의 대화, 연습문제 풀이, 질의하고 응답하기, 프로젝트 작업하기, 숙제 제출하기, 관찰하기 등과 같은 행동을 통해서도 교수-학습을 돕는 정보를 구하고, 분석하고, 교수-학습 관련 의사결정에 활용한다.


이러한 학습을 위한 평가 활동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매일마다, 매분마다 일어나는 일이다.


따라서 학습을 위한 평가에서는 1주일에 한번, 한 달에 한번 정도의 잦은 시험만으로 형성평가를 실천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평가의 빈도와 범주가 확대된다.


또한 학생과의 대화, 연습문제 풀이, 질의하고 응답하기, 프로젝트 작업하기, 숙제 제출하기, 관찰하기 등과 같은 활동은 평가 활동이기도 하지만 교수-학습 활동이기도 하므로, 학습을 위한 평가에서는 교수-학습과 평가의 구분이 흐려지게 된다.


이처럼 1990년대 말에 형성평가의 역할을 강조한 학습을 위한 평가는 전통적 형성평가의 실천성을 강조하는 한편 형성평가의 범주를 확대하였다. 확대된 형성평가의 개념에 의하면, 대다수의 교사들이 생각하듯이 교실에서의 평가는 교수-학습과 괴리되어 일련의 수업이 실시된 후에 추가되는 시험이 아니라, 교수-학습을 위한 것이며 교수-학습과 통합되는 것이다.


이후 일부 평가 학자들은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AfL)'라고 칭하였다. 


즉 형성평가는 학생이 어떻게 학습하는가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교사와 학생에게 제공하여 학습에 유용한 변화가 일어나도록 사용하는 것이므로 '학습을 위한 평가'이지만, 총합 평가는 일련의 학습이 종료된 후 학습의 성과에 대하여 평가를 내리는 것이므로, '학습의 평가'라는 것이다.



학습을 위한 평가(Assesment For Learning)의 차원


학습을 위한 평가(AFL)에 대한 여러 문헌을 검토하고 종합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참여자와 핵심 과정의 차원으로 이루어진다. 

학습을 위한 평가의 차원가주체와 수업과정을 고려한 형성평가의 실천 전략


우선 평가의 참여자는 교사만이 아니라 학습 동료와 학습자가 포함된다. 특히 학습자와 동료를 참여자에 포함시킨 것은 사회적 구성주의의 학습이론(비고츠키)에 입각한 것이다. 


학습을 위한 평가에서는 학생이 주도적인 학습자이며 평가 주체가 되는 것이다. 또한 평가의 세 핵심 과정은 현재 학습자가 있는 곳 즉 학습자의 현재 성취 수준, 학습자가 지향해야 할 곳 즉 성취기준 또는 학습 목표, 그리고 이 두 개 사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평가는 학습자가 지향해야 할 곳 즉 학습 목표를 인지하고 현재 학습자가 있는 곳 즉 성취 수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파악하여 이 두 곳 사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 피드백 및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판단과 지원을 하는 것이다. 또한 평가의 세 가지 핵심과정에 대한 고찰을 학습을 위한 평가 교육과정에 명시된 성취기준, 교수학습 그리고 연계를 도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는 매일 그리고 순간에 일어나는 것이며 바로 이러한 특징은 학습을 위한 평가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이다. 기존의 전통적 형성평가 및 총괄평가와 구분되는 점이다. 또한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학습을 위한 평가는 교수-학습과 매우 긴밀하게 밀착되어 서로 간의 구분이 확연하지 않다. 평가가 교수-학습에 직접 연계되어 있으며 평가의 결과를 학생의 학습을 제 때에 향상하기 위해 곧바로 교수-학습을 조절하는 데 활용하는 것이다.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를 위한 핵심 전략




1) 학습 의도 또는 학습목표를 명시하고 이해시키고 이를 학생들과 공유한다. 

교육과정의 철학 및 성취기준을 명확하게 하고 이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학생과 동료 및 교사가 공유하는 것은 학습을 위한 평가의 출발이다. 이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에 공유된 이해가 없이는 교수-학습과 평가 모두 제대로 되기가 어렵다.

 

2) 학습의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질문, 교실 토론, 과제 및 활동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학습을 위한 평가는 단순히 지필검사만이 아니라 교사의 관찰, 교실에서의 질문과 토론, 숙제 및 검사 결과와 같은 학생 작업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학생의 학습에 대한 증거를 수집한다. 이처럼 교수-학습에 밀착된 증거 수집 역시 학습을 위한 평가가 교수-학습과 서로 구분되기 어려울 정도로 밀착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3) 학습자의 현재 성취 수준과 학습목표 사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피드백을 제공한다.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교사는 학습자의 현재 학습 정도에 대한 적당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때로는 동료의 동료 평가를 통해서, 그리고 학습자 자신의 자기 평가를 통해서 학습에 대한 피드백을 하도록 한다. 학습을 위한 평가에서 동료 평가 및 학습자 자신의 자기 평가를 포함하는 것은 역시 사회적 구성주의의 학습이론에 입각하여 서로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및 동료의 눈으로 본 평가를 가치 있게 보고 자기 평가를 통해 향후 자기 주도 학습능력을 키우고자 함에 있다. 


4) 동료 평가를 활용하는 등 학생들로 하여금 서로 학습의 자원이 되도록 한다. 

역시 사회적 구성주의의 학습이론에 입각하여 동료 간의 상호 학습 및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을 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동료평가를 활용한다. 


5) 자기 평가를 활용하는 등 학습자 자신이 자기 자신의 학습에 대한 주체가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형성평가의 기본원리나 실천전략은 비교적 안정적이어서 교사와 학생들이 수업실제에서 다양한 형성평가 기법을 결정하는 기본방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수업실제에서 적용하기로 결정한 형성평가 기법은 교사의 선호도에 따라서 다소 다르게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모든 학생에게 동일한 형성평가 기법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보다는 학생의 수준별로 다르게 적용되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가 교실수업에서 얼마나 다양한 형성평가 기법을 활용하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형성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이 얼마나 능동적으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상 학습을 위한 평가는 학생이 어떻게 학습을 하는가에 대한 정보고 교사에게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에게도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에게 자기 자신의 학습을 어떻게 향상할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도록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생이 자신의 학습과정에 직접 관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교사가 교수 방법을 조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구체적인 피드백과 정보에 근거하여 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과제의 난이도를 계열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

김명숙(2015).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평가의 연계: 학습을 위한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강승호, 김명숙, 김정환 외 2명(2012). 현대교육평가의 이해. 교육과학사




매거진의 이전글 성취기준-수업-평가의 현장적 일관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