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D Jan 06. 2019

과정 중심 평가, 교사의 우려가 팽배하다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반재천(2018)의 연구에 따르면 실제로 전국의 초·중학교 교사들은 과정 중심 평가의 도입에는 찬성하지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궁금해하고 있다.





초·중학교 교사들의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도입 찬성 여부


 ‘적극 찬성한다’와 ‘대체로 찬성한다’를 합치면 68% 이상이 도입에 찬성하였다. 또한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를 우선적으로 도입하기에 적절한 학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을 때. 초·중학교 교사 공통적으로 1학년부터 도입을 선택한 비율이 높았고, 중학교의 경우 전 학년 동시 도입을 선호하는 비율도 41% 이상 되었다. 


도입 교과 우선순위는 초등학교 교사의 응답에 따르면, 전 학년 공통으로 국어, 수학의 순서로, 중학교 교사들은 체육, 국어의 순서로 우선 도입하기에 좋은 교과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중학교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우선 도입하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교과는 국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도입 영역, 즉 수행평가와 지필평가 중 어떤 평가 영역에 도입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하였을 때, 초·중학교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수행평가만 도입하는 것을 가장 많이 선호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초·중학교 교사들이 교사별 과정 중심 학생평가 도입을 찬성하는 비율이 68% 이상으로 나타났으나, 도입의 시기 및 방식에 대해서 학년별‧교과별 순차적 도입, 수행평가에서만 도입 등의 의견이 있어, 학교급별, 학교 상황별로 다양한 도입 방식을 채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도입의 자유 의견


긍정적 측면

초·중학교 교사들은 공통적으로 수업-평가의 연계가 강화된다는 점

개별 학생의 수준에 맞는 평가를 시행하기가 용이

평가 결과에 따라 개별 학생의 능력, 발달 과정, 부족한 점을 파악하고 지도하기 용이

학생의 배움과 성장을 촉진하는 평가로 전환될 것이라는 점 등


부정적인 측면

교사의 업무 과중 및 시간 소요로 인해 전반적인 교육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

평가의 공정성‧객관성 확보가 어려워 평가에 대한 불신 증가 가능성

교사 간 역량 및 성실성 차이에 따라 학생에게 제공되는 수업‧평가의 질에서 편차 심화 가능성 등 



이를 종합해 보면, 초·중학교 교사들은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를 도입하기에 어려운 점 및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원인은 시간적‧물리적인 교육환경(업무 과다, 시간 부족, 학생 수 과다), 평가의 공정성‧객관성 확보 방안 부재, 사회적 문제(평가에 대한 불신, 학부모와 학생의 혼란과 논란, 민원 증가)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를 안정적으로 도입하고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체계적으로 고려하여,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 제도를 마련하고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일이 필요해 보인다. 특히 교사별 과정 중심 학생평가를 학교현장에 도입하기 위해서 중요한 점은 교사들이 인식하는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간적‧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 개선, 학생·학부모가 교사의 전문성을 신뢰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각도의 지원 방안 등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도입에 대한 우려


초·중학교 교사 80% 이상이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 문제(예: 특정 교사의 수행평가가 너무 쉬워 해당 학급의 학생들의 A등급 비율이 일괄적으로 높은 경우)에 대해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교사별 과정 중심 학생평가를 도입할 경우에 평가의 질 관리, 평가의 과정과 결과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어떠한 절차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조사한 결과,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계획안에 대해 동 학년, 동 교과 검토 및 협의회를 거쳐 결정한다는 의견에 초·중학교 교사 80% 이상이 동의하였다. 


따라서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를 도입할 경우, 평가의 질 관리, 평가의 과정과 결과의 공정성‧객관성 확보를 위한 절차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율성·전문성을 존중하면서도 평가의 공정성·신뢰성을 확보하고, 교사 공동체를 기반으로 책임을 분담할 수 있는 운영 단계별 필요한 절차를 고려한 모형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절차적 모형의 수립은 평가 관련 문제나 민원 발생을 대비하는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초·중학교 교사들(72% 이상)이 교사별 과정 중심 학생평가 도입 시 전문성 부족에 따른 다양한 평가 방법 적용의 어려움을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특히 교육경력이 11∼20년 된 성숙 단계의 중견 교사 군에서 평가 전문성에 대해 비교적 크게 걱정하고 있어 성숙한 교사일수록 교사별 과정 중심 학생평가를 실행할 때에 요구되는 교사의 역량을 잘 알고 있고, 때문에 이에 대해 준비해야 한다는 걱정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설문조사에서 많은 교사들이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를 도입할 때의 어려움으로 ‘개별적인 평가 계획 및 실시, 평가의 내용 및 방법을 결정하는 등의 어려움’을 꼽은 것과 교사별 과정 중심 학생평가 도입의 부정적인 측면 중의 하나로 ‘교사 간 역량 및 성실성 차이에 따라 학생에게 제공되는 수업 및 평가의 질에 있어서 편차가 심화될 수 있다’라는 자유 의견이 상당수 있었던 것에 비추어 볼 때,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에서 교사의 평가권 강화의 열쇠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인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생의 평가는 등수를 입력하기보다는 성취기준의 도달도를 평가기준(상·중·하)으로 제시하고 과목별로 간략하게 서술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즉, 학생 한 명 한 명에 대한 평가이지 학생들을 서로 비교하기 위한 평가가 아니다. 
전인적 성장과 발달을 위한 평가로서 모든 학생이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신념을 전제로 한 평가로서 학생의 현재 상황보다는 앞으로의 발달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한 진단을 중시한다. 


교사는 과정 중심 평가를 운영하기 위해 자신의 교수·학습과 평가에 대한 타당성(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도달하기에 적합한 수업 내용과 교수법, 학생들이 수업을 통해 배워 아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을 드러낼 수 있는 평가 과제의 개발 등)을 발휘할 있도록 전문성을 함양해야 한다.



학생들을 성장시킬 수 있는 평가.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실효적인 수업 상황에서의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참고 문헌>

반재천. 김선. 박정. 김희경(2018).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pp. 19-40). Vol. 21, No. 3, pp. 105~13. 교육과정 평가 연구


매거진의 이전글 평가 패러다임은 이미 바뀌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