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계원 Oct 02. 2020

방구석 미술관

이번 추석 연휴에는 코로나 때문(덕분?)에 결혼하고 제일 한가로운 연휴를 보내게 되었다. 그래서 추석 연휴 기간에 매일 한 권씩 책을 읽고 있다. 멀리 가지는 못하지만 집에서 <방구석 미술관>이라는 책을 통해서 명화 감상을 했다. 10년 전쯤 파리에 갔을 때 오르세 미술관에서 직접 본 작품들도 있었다. 책을 통해서 작품 해설을 읽으면서 그림을 보니까, 직접 보아도 몰랐던 많은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그림을 보는 눈이 직관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아는 만큼 보이는 것도 사실인 것 같다. 책에서 내 마음에 인상 깊었던 작품 몇 가지를 같이 소개하고자 한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833956



1. 죽음 앞에 절규한 에드바르트 뭉크

: 사실은 평균 수명을 높인 장수의 아이콘?


뭉크의 그림을 볼 때마다 그의 공포가 전해져 오는 것 같아 무서웠다. 특히 <절규>는 해골 같이 생긴 사람이 핏빛 석양이 지는 배경으로 뭉그러져 가는 형상으로 나타나 보는 것이 괴로웠다. 그런데 뭉크의 살아온 배경을 보면 그의 그림이 이해가 간다. 어릴 때 어머니와 누나가 병으로 죽고 본인도 병약하여 매일매일 한 발짝씩 다가오는 죽음의 공포를 무섭게 느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삶은 아이러니하게도 그는 당시 평균 수명보다도 훨씬 긴 80세가 넘어서 장수하다가 죽었다고 한다.


내 친척 할아버지 한 분도 비슷한 분이 계셨다. 어릴 때 생모가 일찍 돌아가시고 본인도 병약하여 평생을 죽음의 공포를 느끼며 사셨다. 내가 처음 뵈었을 때가 60대셨는데 그때도 뵐 때마다 내년에는 본인이 이 세상에 없을지 모른다는 말씀을 하셨다. 10년 넘게 매년 그 이야기를 들었다. 어느 순간 더 이상 그 이야기를 하시지 않게 되셨고, 80세가 넘게 장수하시다가 돌아가셨다. 나를 볼 때마다 죽는 순간이 무섭다고 말씀하셨다. 막상 돌아가실 때는 집에서 일상생활하시다가 하루 만에 조용히 가셨다. 그렇게 가실 것을 평생을 죽음의 공포에 떠신 생각을 하면 애처롭기도 하다. 살아 계실 때 좀 더 힘을 내어 밝게 사셨으면 본인이랑 가족들에게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뭉크, 절규(189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875834&cid=42645&categoryId=42645


2. 미술계 여성 혁명가 프리다 칼로

: 알고 보니 원조  막장드라마의 주인공?


예술가들 중에는 본인의 고통이 예술로 형상화되어 나타나는 사람들이 있다. 멕시코의 여류화가 프리다 칼로도 본인의 고통을 그림으로 그렸다. 그녀의 그림을 보고 있으면 짙은 눈썹만큼 강한 그녀의 의지도 보이지만, 피투성이가 된 그녀의 고통도 같이 느낄 수 있다. 사람이 자신의 운명을 마음대로 할 수는 없지만, 신이 있다면 가혹하게도 그녀에게 너무 큰 고통을 주었다는 생각이 든다. 어릴 때 소아마비부터 시작해 젊은 학창 시절의 뼈가 다 부러질 정도의 큰 교통사고와 자기 여동생과 바람피운 남편에 유산까지 인간이 겪을 수 있는 모진 고통들은 차례로 다 경험했던 것 같다. 신은 고통의 대가로 미술적 재능이라는 신의 선물을 주었던 것 같다. 그런데 프리다 칼로가 선택할 수 있었다면 고통도 선물도 다 받고 싶지 않았을 것 같다.


프리다 칼로, 두명의 프리다(193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7787&cid=59014&categoryId=59014


3. 전 세계가 사랑한 영혼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

: 사실은 악마에게 영혼을 빼앗겼다고?


고흐의 그림을 어릴 때는 좋아하지 않았다. 그림의 붓터치가 거칠고 색이 너무 강렬하다고 생각해서 이 화가의 그림이 왜 이렇게 유명한지가 잘 이해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대학 다닐 때쯤 고흐의 <밤의 카페 테라스>라는 그림이 인쇄된 담요를 하나 가지게 되었다. 담요의 포근함 때문이었는지 그림 속의 노란색이 주는 포근함 때문이었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담요를 계속 덮다 보니까 그림도 점점 좋아졌다.


고호, 밤의 카페 테라스(1888)


고흐의 그림에는 강렬함과 몽환적인 느낌이 공존하는 것 같다. 그가 압생트라는 녹색 술에 중독되어 정신 이상 증세를 보여서 그런지 그림 자체가 정상적이지는 않다. 옛날에 프로방스를 가족과 같이 여행한 적이 있었다. 내 눈에 보였던 환한 햇살에 반짝이는 풍경의 아름다운 프로방스가 행복했던 기억으로 남아 있다. 고통스러웠던 고호의 눈에는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점이 새삼 마음 아프게 느껴졌다.


고흐, 자화상(1887)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087&cid=58860&categoryId=58860


4. 자연의 삶을 동경했던 폴 고갱

: 알고 보니 원조 퇴사 학교 선배?


고흐와 같이 언급되는 화가는 고갱이다. 두 사람은 잠시 같이 지낸 적도 있지만, 고갱은 고흐의 미친 짓에 떠나 버린다. 그런데 고흐처럼 미친 것은 아니지만, 고갱도 평범한 삶을 산 것은 아닌 것 같다.


고갱은 파리에서 주식 중개인으로 10년 가까이 일하였고, 결혼해서 아이도 다섯이나 있었다고 한다. 어느 날 갑자기 직장을 관두고 머나먼 이국의 섬인 타이티로 떠나서 원시적인 강렬한 그림을 그리다가 죽었다고 알려져 있다. 나도 그렇게 알았기 때문에 고갱이 예술에 미쳐서 충동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방구석 미술관> 책을 읽다 보니까, 그게 아니었다. 고갱은 1살 때부터 외가가 있는 페루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10대 때는 선원으로 전 세계 바다를 수년간 떠 돌기도 했다. 원시적 자연의 경험이 그의 어린 시절부터 뿌리 깊이 박혀 있었다. 파리에서 주식 중개인으로 산 세월이 어떻게 보면 그의 인생에서 더 특이한 세월이었던 것 같다. 증권회사도 본인이 관두려고 했던 것도 아니고, 주식시장이 안 좋아져서 직장을 더 이상 다니지 못하게 된 것이다. 회사를 퇴사하고도 그림을 그려서라도 가족을 부양하려고 몇 년을 힘들게 노력했지만 잘 안 된 것 같다. 결국 부인이 아이들을 데리고 덴마크 친정집으로 가 버렸다. 고갱은 여기저기 떠돌다가 결국 타이티까지 가게 된 것 같다.


황당하기도 하고 뜬금없다고 생각했던 사람들의 행동의 이면에 보면 사실은 뿌리 깊은 곳에 그 단초들이 숨어 있었던 것 같다.

고갱, 자화상(1893)
고갱, Arearea(Joyfulness)-1892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68993&cid=58862&categoryId=58876


5. 사과 하나로 파리를 접수한 폴 세잔

: 알고 보면 그 속사정은 맨땅에 헤딩맨?


유명한 그림 중에는 왜 유명한지를 이해하기가 어려운 그림들이 있다. 고전주의 화가들의 그림을 보면 그림만 보아도 잘 그렸다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인상파 이후의 그림을 보면 해석을 보지 않고는 도저히 잘 그린 그림이라는 것을 이해하기가 어려운 그림들이 많아지는 것 같다.


모리스 드니라는 화가는 '이브의 사과, 뉴턴의 사과, 그리고 세잔의 사과'가 인류를 바꾼 3대 사과하고 언급하지만 사실 수긍하기가 어렵다. 세잔의 사과 그림은 아무리 보아도 잘 그린 그림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것 같다. 물론 예술사적으로는 형태가 아닌 본질을 보았고, 피카소로 이어지는 입체주의 탄생의 밑그림이 되었다고 하지만 이 또한 잘 이해하기가 어렵다.


세잔, 사과(1889~1890년)


몇 년 전에 취미로 그림을 잠깐 배운 적이 있었다. 유화를 배울 때 내가 맨 처음 그린 그림이 사과 그림이었다. 잘 그린 그림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초록색과 붉은색이 대비되는 단순한 사과 그림이 내 마음에 쏙 들었다. 그림이라는 것이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고, 상대적인 느낌이라는 것이 이해되는 순간이었다.


내가 맨 처음 그린 사과 그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74203&cid=46720&categoryId=46851


글 : 이계원(공유경제연구소 대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