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NA Sep 23. 2020

세포 연구의 연대기

남궁석, 《세포: 생명의 마이크로 코스모스 탐사기》

과학 교양서적은 대체로 현재 과학 지식의 수준과 상황만이 아니라 그 지식의 역사를 이야기한다그건 어떤 지식이란 배경이 있고그 배경을 토대로 했을 때에만 현재 지식 수준에 다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현재 어떤 것을 (확실히알고 있다는 것은 그 지식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와 현재를 이해하고그 지식이 앞으로 어디로 갈 것인지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물학혹은 생명과학도 마찬가지다그 두껍디 두꺼운 일반생물학 책을 다 이해하는 것은 물론 중요하다하지만 그건 결코 쉽지 않은 일이며그 내용을 일부나마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내용에 이르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물론 그렇게 일반생물학을 가르치는 학교는(고등학교는 물론이고 대학교도없다운이 좋아 관련 강의가 있다면 좋겠지만그건 그러고 싶다고 늘 가능한 일이 아니다그렇다면 다른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세포생명의 마이크로 코스모스 탐사기에서 남궁석 박사는 이 책의 대상으로 세 부류로 나눈다고 했다(그 세 부류는 어디선가 읽은 것과 정확히 일치하는데잘 기억은 나지 않는다). 분명히 그중 세 번째(전문적인 생물학 연구자)에 해당할 나는 이 책을 공부하듯 밑줄을 치며참고 문헌을 짧게나마 찾아가며내 생각을 요약해가며읽었다(그렇다고 오래 걸린 건 아니지만). 교과서의 한 줄의 명료한내지는 거의 분명한 사실로 기록되기까지의 과정을 어느 정도 알기에평범한 과학자의 기여와 함께 관련 연구의 돌파구를 찾아내 성과를 낸 뛰어난 연구자들의 번뜩이는 혜안을 감탄하며 읽었다남궁석 박사는 여기의 내용이 대학교 1학년 수준이라고 했지만여러 부분에서 그걸 뛰어넘는 부분이 없지 않다하지만 논리적으로 이해하지 못할 부분은 없고또 설사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더라도 그렇게 부끄러워할 필요도 없다전문 과학자라고 여기의 내용을 다 이해하는 것은 아니니.

 

로버트 훅의 세포 관찰과 안톤 판 레이우엔훅의 미생물 관찰에서 시작된 세포 연구가 21세기 시스템 생물학의 세포 아틀라스 프로젝트와 합성생물학의 인조생명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현대’ 생물학의 역사를 꼼꼼히 정리학고 있다책 전체를 관통하는 기조는 물리학이나 화학의 발전보다 (시작이 뒤늦지는 않았지만뒤늦었던 생물학의 특성에 관한 것이다어떤 개념이나 이론이 생물학의 발달을 선도한 것이 아니라 도구나 방법의 발달이 구비되어야만 그에 걸맞는 성과나 나타났다는 것이다이를테면 신경계만 하더라도 요제프 폰 게를라흐는 망상체설(reticular theory)’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을 뉴런 이론(neuron theory)’를 주장했는데거의 비슷한 것을 보았음에도 서로 다른 이론을 내세웠다누가 옳은지는 현미경과 염색 기술이 발달하면서 밝혀졌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에서 가장 인상 깊은 내용들은 생물학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들이 이용되는 장면들이다전혀 생각지 못했던 것을 이용하여 새로운 내용을 발견하는 장면들은 그렇게 흔한 것은 아니지만 전율이 인다그래서 15장 <살아 있는 세포의 영상화>와 같이 생물학의 연구도구로서 현미경과 영상 기술이 발달에 대한 내용이야말로 다른 생물학 교양도서에서는 별로 찾아볼 수 없는 내용이 아닌가 싶다솔직하게 얘기하자면그런 기술을 고안하는 이들이또 그런 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발견을 해나가는 이들이 부럽고또 어떤 면에서는 으쓱해진다.

 

한 챕터한 챕터가 그 시기에그 분야에서 결정적이고기가 막힌 연구를 소개하고 있기에 자체로 꽉 찬 느낌이고그것들이 모인 책 한 권을 읽은 느낌은 포식한 기분이다





작가의 이전글 물리학의 교황, 엔리코 페르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