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NA Jun 25. 2021

눈을 뜬 이들, 눈을 감은 이들

주제 사라마구, 《눈뜬 자들의 도시》


제목만으로도 《눈먼 자들의 도시》의 후속작이라는 걸 알 수 있다. 눈이 멀었던 이들이 눈을 뜨는 장면에서 끝난 《눈먼 자들의 도시》에 이어 《눈뜬 자들의 도시》는 그렇게 눈이 뜨여진 이들의 이야기다. 아니 좀 더 분명하게 하자면 눈을 떴지만 애써 눈을 감는 자들의 이야기다.


그 사건 이후 4년 후의 어느 날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지방 선거 투표일. 수도에서는 70퍼센트가 넘는 백지 투표가 나온다. 일주일 후 다시 치러진 선거에서는 백지 투표가 이전보다 더 많아진 80퍼센트에 이른다(왜 시민들이 백지 투표를 했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설명이 없다. 정부에 대한 공공연한 반대라는 일반적인 해석을 할 수 있는 단서도, 소설에서는 하나도 제공되지 않는다. 그냥 그들이 그렇게 투표를 했다는 것이고, 그게 어쩌면 ‘눈뜬 자들’의 행동이라는 것인지도 모른다). 백색 실명의 사태에서 무능하기 그지없던(사실 무능이 문제라기보다는 잔인함과 무책임이 더 문제였다고 생각하지만) 정부는 일제히 몰래 수도를 빠져나가고 도시를 봉쇄한다. 그들은 정부의 기능이 사라진 도시가 혼란에 빠지고, 백지 투표라는 전염병에 감염된 시민들이 항복을 선언하고 제발 좀 돌아와 달라고 애원할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도시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아니 오히려 더 평화로웠다. 시민들을 두고 내뺀 정부가 오히려 혼란에 빠진다.


여기에 이르러서야 소설의 절반에 이르기까지 4년 전의 백색 실명 사태에 대해 아무런 언급도 없던 소설은, 이 소설이 그 이야기의 연속이라는 것을 밝히기 시작한다. 그들은 의도적으로 침묵하고 있었던 것이다.


“내가 아는 한 협정 같은 건 없었고, 하물며 국가적 협정은 들어본 적도 없습니다. 나는 사 년 전에도 성인이었는데, 우리 모두 몇 주 동안 눈이 멀었다는 사실에 관하여 한 마디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양피지에 국민이 서명을 했다는 기억은 없단 말입니다.”

“우리가 겪었던 무시무시한 시련은 우리의 정신 건강을 위해 끔찍한 악몽으로 치부하는 게 좋다고 우리 모두 생각했소. 현실이라기보다는 꿈에서 보았던 일이라고 생각하자는 거지.”


그 치욕스런 기억은 그냥 잊혀질 수 있는 게 아니었음에도 모두가, 특히 그 사태에 조금이라도 책임을 졌어야 하는 이들은 절대 언급하지 않는 금기였던 것이다. 마치 잠시도 눈이 멀었었다는 것을 인정하면 안 되는 것처럼. 하지만


“내가 한 말은 우리가 사 년 전에 눈이 멀었다는 것이고, 지금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어쩌면 지금도 눈이 먼 것인지도 모른다는 겁니다.”


그들은 희생양을 찾아야 했다. 그들에게 날아온 편지 한 통. 거기에는 사 년 전에 눈이 멀지 않았던 여인이 있었음을 밝힌다.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한 무리를 이끌었던 바로 그 안과의사의 아내였고, 맨 처음 눈이 먼 자가 쓴 편지였다. 그 사실과 백지 투표가 관련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은 정신이 제대로 박힌 이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지만, 눈을 감은 자들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그냥 조금이라도 이상한 자가 있다면 그가 용의자이고, 범인인 것이다.


몰래 잠입한 경찰 세 명. 그러나 그들도 그 여인에게서 아무런 혐의를 찾지 못한다. 오히려 감화되고 만다. 그렇지만 결론은 정해져 있었고, 안과의사 아내를 포함한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그녀와 함께 살아남은 이들의 사진이 공개되고, 도시를 혼란에 빠뜨린 주동자로 지목된다. 도시는 하나도 혼란스럽지 않음에도. 혼란스러운 것은 혼란스럽지 않은 도시, 이성적인 시민들에 당황한 장관들 밖에 없었음에도.


결과는 비극이다. 《눈먼 자들의 도시》이 비극 속에서 희망을 찾아가는 구조였다면, 《눈뜬 자들의 도시》는 그 희망으로 살아남은 이들이 비극으로 끝나는 구조다. 주제 사라마구가 《눈먼 자들의 도시》를 쓰면서 《눈뜬 자들의 도시》의 이야기까지 구상했는지는 모르겠다. 나는 그러지는 않았을 거라 생각하는데, 《눈먼 자들의 도시》의 세계와 《눈뜬 자들의 도시》의 세계가 아주 다르기 때문이다. 어쩌면 그 4년 동안 그의 세계관이 변했을지도 모르는 일이고, 혹은 《눈먼 자들의 도시》가 그 다음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이럴 수 밖에 없다고 여겼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소설은 많은 사람이 원치 않았을 방식으로 끝난다. 세상이 사람들이 원하는 방식대로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하나 특이한 점은, 《눈먼 자들의 도시》나 《눈뜬 자들의 도시》에서 단 한 사람의 이름도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모두 직업이나 특징으로만 불려진다. 주인공이라고 다를 것도 없다. 그러나 단 하나의 이름이 등장하는데 그건 개다. 《눈먼 자들의 도시》에서 의사 아내의 눈물을 핥아주던 개. 이름은 콘스탄테. 스페인어로 ‘항구적인’, ‘불변의 것’으로 해석된다고 한다(주제 사라마구는 포르투갈 작가지만 별로 다르지는 않을 것 같다).

작가의 이전글 인간의 본성은 이토록 허약하고 이기적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