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은 단테의 『신곡(神曲」에 견주어 『인곡(人曲)』이라고도 한다. 14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성취 중 하나라고 일컬어지기도 하는 『데카메론』의 배경은 페스트, 즉 흑사병이다. 피렌체를 휩쓴 흑사병을 피해 젊은 여성 일곱과 젊은 남성 셋이 한 성당에 모였고, 열흘 간 각자 한 사람씩 이야기를 한다(중간에 수난일인 금요일과 휴식을 위해 쉰 토요일을 뺀 나머지 기간이니 열이틀 동안이라고 해서 더 정확하려나?).그 이야기들은 모두 보카치오가 창작해낸 이야기는 아니라고 한다. 많은 이야기들이 당시에 떠돌던 이야기였고, 이것을 잘 버무린 게 보카치오의 솜씨라는 것이다.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지고 인상 깊은 인물들은 다름 아닌 성직자들이다. 아직은 신이 사람의 세계를 압도하던 시기였고, 이제 인간'만'의 가치를 알아가기 시작하던 때였다. 보카치오는 타락한 성직자들을 자주 등장시키며 그들에 대한 혐오를 나타내고, 비판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와 더불어 거의 모든 이야기에 걸쳐 중심을 이루는 것은 여성이다. 머리말에서 여성들이 읽어 즐거움과 충고를 얻을 것을 권유하고 있을 만큼 여성들을 이 책의 독자층으로 삼고 있었다. 그리고 억눌린 욕망을 발산하는 여성들을 그림으로써 새로운 시대상을 보여주고 있다. 바로 르네상스’였던 것이다.
물론 보카치오가 중세의 모든 질곡에서 해방된 세계를 그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아직까지 그는, 그리고 이 이야기 속 인물들은 신성의 세계에 살고 있었다. 기독교라는 종교를 버리지도 않았고, 그 세계가 강조하는 가치를 부정하지 않았다. 대신 앞뒤가 다른 상류층의 위선을 폭로했고, 부패와 타락을 비판했다. 그러면서도 인간의 욕망을 받아들일 것을 강조했다.
다만 이 100편에 이야기들이 거의 비슷한 흐름을 가지고 있고, 문화적으로도 이해가 힘든 부분들이 있어 모두한 번에 읽기에는 지루한 감이 없지 않다. 당시의 시대상을 읽고, 인간의 욕망이 유구하다는 것을 깨우치는 데‘는 더할 나위 없는 ‘자료'이지만, 이것을 현대인이 즐거이 읽는 소설로 받아들이기에는 조금은 꺼려지는 것이다.
“숙녀 여러분, 이제는 지나간 무서운 흑사병의 추억은 그 실상을 직접 보고 들은 모든 이에게 너무나도 깊은 슬픔을 남겼습니다.”
- 왜 ‘숙녀 여러분'이라 했을까? 머리말에서 보카치오는 10명의 남녀가 흑사병이 창궐했을 때 병을 피해 한성당에 모여 10일 동안 나눈 100편의 이야기가 “혹여 우울증에 사로잡힌 여성들이 읽는다면 즐거움과 좋은 충고를 얻으실 것이고, 피할 일과 따라야 할 일이 무엇인지 배우실 수 있을 겁니다. 그렇게 하다 보면 괴로운 마음도 덜어지겠지요."라며 이 이야기들이 여성들을 겨냥한 것이란 걸 분명히 하고 있다. 실제로도 이야기가 여성의 관점에서 본 것들이 많기도 하다.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가 태어나신 지 1348년이 되었을 때, 무서운 흑사병이 이탈리아 제일의 도시 피렌체를 덮쳤습니다. 이 전염병에는 인간의 어떠한 지혜나 예방책도 소용이 없었습니다. 시내에 산더미같이 쌓인 오물을 치우고, 환자를 도시 밖으로 내보내는 등 병이 퍼지는 것을 막을 온갖 방법이 동원됐지요. 신앙심 깊은 이들은 갖가지 기도문을 되풀이 외워서 병을 쫓으려고 해 보았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 오히려 그해 초봄, 흑사병이 무서운 전염성을 띠며 처참한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낫는 자는 극히 드물었고, 일단 흑사병의 증상인 반점이 나타난 사람은 사흘 이내에 열이나 별다른 발작 없이 그냥 죽어 갔습니다."
- 보카치오는 흑사병으로 사회가 해체되는 모습까지 기록한다. 그것을 '야박한 마음'이라고 표현하기는 했지만, 서로 왕래를 꺼리고, 이웃은 물론 친척끼리도 서로 찾지 않고, 형이 아우를 버리고, 아내가 남편을 버리고, 심지어 부모가 아이를 꺼리는 일이 겨우 '야박하다'라는 말로 표현될 성질의 것은 아니었다.
- 그는 그해 3월부터 7월 사이, 단 몇 달 만에 피렌체에서 10만 명 이상의 환자가 죽어 나갔다고 쓰고 있다. 그리고 이 재앙에 인간도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상복으로 몸을 감싼 일곱 명의 젊은 부인"
- 이를 통해 이들이 이미 남편이나 일가족의 일부가 흑사병으로 목숨을 잃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