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yo Dong Kim Sep 17. 2017

전통주 국가대표 대회 참가 후기


국가대표 전통주 소믈리에 대회를 준비하면서 배운점


#예선을 준비하면서
전통주 관련 책(아름다운 우리술, 전통주, 한국전통민속주)을 읽으면서 처음에는 무슨말인지 몰라서 고전했던 기억이 있었다. 처음에는 누룩과 밑술,덧술에 대해서 이해가 되지 않아서 여러번 인터넷에서 찾아보고 여러번 책을 읽다보니 하나 둘 전에 보지 않던 부분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이전에 몰랐던 전통주의 새로운면을 이해 하게 된 기회였습니다.  

공부하면서 흥미로웠던 부분은 술을 빚는 횟수에 따른 분류에 단양주와 이양주, 삼양주에 따라 술의 맛과 향의 변화가 되는부분과 같은 재료로 어떤식(죽,백설기,물송편,개떡,구멍떡,인절미 등)으로 빚느냐에 따라 술의 맛과 향이 달라진 사실에 전통주에 대해 흥미롭고 재미 있는 부분을 알게 됬습니다.


# 예선을 통과하고 테이스팅을 연습하면서
평소에 우리술이라고 마셔본 술이라고는 제사때 나오는 청주와 추석이나 설날때 큰아빠가 사오시는 한산 소곡주만 마셔왔는데 이번 기회에 청하,백화수복,예담,천년약속,백세주,매취순,화요,안동소주,이강주,문배주등과 전국8도의 유명한 막걸리 30종을 비교 테이스팅을 몇칠동안 와인처럼 테이스팅 노트를 쓰다보니 평소에 무심코 마셨던 전통주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만큼 향이 절제되고 복합적인 향을 가진 증류주와 청주에 놀랐고 막걸리는 거기서라는 생각에 대한 편견을 깨버린 기회의 시간 이였다

.

#결승을 치르면서
마리아주와 전통주 매칭에 대한 문제를 풀면서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는데 음식과 전통주에 매칭에 대해서는 일상 생활속에서 늘 생각하고 관심있는 자세로 도전하는 그런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돌발퀴즈 문제를 풀면서 느꼈던점은 우리 나라의 전통주의 명맥를 이어가시는분들의 사진을 보고 알지 못하는 저의 모습을 보고 죄송스러운 감정이 들었습니다. 우리 전통주가 이만큼 맛과 향을 낼수 있게 명인정신으로 우리술을 만들어주시는 분의 성함과 우리술을 알고 있는것은 전통주를 배우는 입장에서 기본이 되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 하루였습니다


저자 - 김교동

certification

 - WSET advence (Level 3)

-  korean tradional liqueur sommelier

- Australia + course Level2


Competition career

- Court of Master sommelier finalist, advisor

- The national Korean tranditional liqueur team second champion

작가의 이전글 이탈리아 뽀글이 와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