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지용 (無用之用): 쓸모없음의 쓸모 있음
어렸을 때부터 다리를 절고 다닌다고 놀림의 대상이었고, 남의 눈에도 보이지 않는 듯한 투명인간으로 친하게 지내는 친구도 별로 없이 혼자 그들의 주변에 있던 소위 요즘 말하는 ‘왕따’였다. 나는 내가 나와 마주해야 했던 수많은 시간을 스스로 위로도 하고 즐겁게 생활하기 위해 늘 명랑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로 혼자의 시간을 채워나갔다. 공기놀이도 혼자 오른손과 왼손 간의 대결을 하며 놀기도 하고, 줄넘기도 혼자 첫판과 두 번째 판으로 자신과의 대결을 했다. 스스로와의 경쟁에 익숙해진 나는 지금까지도 다른 사람들과 경쟁하는 것보다는 나에게 흥미로운 일에 집중하고 내가 정하는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밤을 꼬박 새워서라도 나와 싸워 결국 이루어내고 마는 성취감에서 오는 희열로 시간을 채워가고 있다.
중학생 때 처음으로 접한 영어라는 새로운 외국어는 관심과 흥미로움을 능가하는 두려움으로 다가왔었다. 그래서 영어가 늘 부담이었고 공부하기 싫어하던 어느 날 갑자기 이런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누구이며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살아갈까 하는 궁금함이 생겼다. 그래서 나는 세계에 있는 모든 나라에서 각각의 나라마다 한 명씩의 친구를 갖고 싶다는 꿈을 꾸게 되었다. 세계각국의 사람들과 편지로 친구를 맺는 펜팔 주선 기관에서 가장 읽기 쉽게 예쁘고 또박또박 쓴 편지를 골라 전 세계의 친구를 만들겠다는 꿈을 향해 첫걸음을 떼었다.
처음에는 편지에 많이 쓰이는 한국어 문장과 그 옆에 영어로 번역이 되어 있는 펜팔의 기초책을 사서 편지를 쓰기 시작했다. 내가 편지에 쓰고 싶은 한국말을 생각하고 기초책을 뒤적여 그 말과 가장 유사한 문장을 찾아서 편지지에 그리듯이 옮겨 적는 방법으로 짜깁기를 해서 첫 편지를 보냈다. 얼마가 지나서 진짜 낯선 외국 우표가 붙여지고 영어로 내 이름과 주소가 쓰인 첫 편지를 받았다. 나도 타보지 못한 비행기를 타고 먼 나라에서 날아온 편지가 신기하게 보였다. 열어보니 다 영어였다. 이번에는 그 편지에 쓰인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느라 사전을 뒤지며 밤을 지새우곤 했다. 그렇게 나의 꿈은 미국과 남미, 유럽, 아프리카로 넓혀져 나름 그들의 생각과 문화를 배우며 우정을 나누게 되었다. 편지가 오는 나라마다 그 나라의 지리적 위치와 문화에 관한 서적을 읽으며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을 머릿속에 그려보곤 했다.
그 후 대학을 졸업하고 특수교사와 사회복지사들의 국제 모임에 참가하기 위해 처음으로 뉴욕의 유엔본부를 방문하게 되었다. 세계 60여 국에서 참가한 사람들은 정말로 얼굴도 의복도 피부색도 머리모양도 너무나 다양했다. 그동안 꿈에서만 그려보고 편지를 통해 상상 속에 존재하던 모습이 실제로 눈앞에 보이는 것에 너무도 가슴이 벅찼다. 다들 웃고 떠드는 사이에 금세 이미 다 알고 지내던 친구처럼 가깝게 느껴졌다. 남편이 예쁜 여자의 부모님께 결혼 지참금을 내고 두 번째 부인으로 들이려고 해서 속상하다고 고민을 털어놓은 이슬람 문화의 이집트 아줌마, 까만 얼굴에 부족의 상징이 흉터처럼 새겨져 있는 나이지리아의 떠벌이 해피 바이러스 청년, 지금은 법적으로 인종차별이 금지되었지만 본인은 인종계급 중에 백인다음인 칼러 계급이라고 자신을 자랑스럽게 소개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범생이 아저씨, 그 외에도 각국에서 온 친구들을 직접 만나고 이야기하니 어디나 사람 사는 모습은 같다는 말이 진리로 느껴졌었다.
장애 때문에 늘 왕따로 살면서 학교를 가기 싫어하기도 했다. 엄마는 내가 공부보다 펜팔로 매일 편지만 쓸 때에도 공부하라고 잔소리를 하지 않으셨다. 밥만 열심히 챙겨주셨다. 그리고 학창 시절을 생각하면서 가장 감사한 선생님은 나의 방황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고등학교 3학년 때 수학담당 담임 선생님이다. 내가 수업시간에 졸아도, 거의 매일 지각을 해도 별말씀을 하지 않으셨다. 그냥 수업 중에 내가 잠에서 깨어나 정신이 들어있을 때 질문을 하셨고 그 답에 대한 칭찬만을 해주셨었다. 아마 그때 주변의 어른들이 나를 너무 틀에 넣으려고 했다면 나는 나를 이겨내는 방법을 생각해 낼 틈이 없었을 것이다. 혼자 생각할 시간이 많았기에 나름대로 이겨나가는 방법을 터득한 나는 드디어 방황을 끝내고 획일적인 집단 사고방식에 쉽게 따르기보다는 좀 다른 방법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눈을 얻게 되었다.
늘 친구가 필요했던 나는 사람의 중심을 보게 되었고 그 사람에 대한 관심이 문화와 역사를 찾아보며 많은 시간을 채우곤 했다. 그런 나만의 활동에서 나는 스스로 즐거움과 성취감을 찾을 수가 있었다. 그래서 지금은 다양한 인종의 제자들이 섞여 있는 대학에서 누구에게나 스스럼없이 다가갈 수 있는 교수가 되어있는 것이었다. 어느 순간 돌아보니 내 삶이 무용지용의 예가 된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