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 킹 메이커에서 스티븐(라이언 고슬링)은 정말 왕을 만드는 사람이다. 영화에서 그는 유능하고, 잘 생기고, 일 처리가 확실한 민주당 경선 후보 모리스의 캠프 홍보관이다. 영화 초반 그는 자신이 상관으로 모시는 모리스가 도덕적으로나 정책적으로나 대통령감으로 손색이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그 소신을 지켜낸다. 하지만 그가 공화당 사무장의 스카웃 제안으로 은밀한 만남을 하게 되고, 그의 인생에 예쁘고, 똑똑한 여자 인턴 몰리라는 여자가 등장하면서 그의 탄탄대로가 한순간에 무너지기 시작한다. 처음에 영화를 보면서 나는 그가 사무장에게 곧바로 상대편 진영 때문에 생기는 오해를 만들었기 때문에 그의 인생이 무지는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의 치명적 단점은 사람을 너무 잘 믿는다는 것이었다. 자신의 상관이 너무도 청렴하고 올곧은 사람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더 언급하면 스포가 되니 여기까지만 하겠다. 이 글이 이해가 안간다면 영화를 보고오라. 이 영화의 장점은 인물들의 캐릭터가 모두 입체적이라는 것이다. 입체적이라는 것은 언제든지 인물들이 입장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고, 그에 따라 내용상 반전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당연한 거지만 시나리오가 참 탄탄하다. 이 영화가 주는 메시지가 뭘까 생각해보니가 이거라고 결정내렸다. "정치인들은 거기서 거기다. 당이 무엇이고, 이념이 어떻고, 군사적 입장이 어떻든 간에 정치를 하는 사람들의 속내는 다 거기서 거기니 너무 큰 기대를 하지 말라. 정치판에서 살아남으려면 참된 인간이 되기 보다는 정치인이 되어야 한다." 영화에서 나오는 대사 중에 "너는 톰 더피를 만나는 자리에 나갔다는 것은 네가 선택한 거야. 네가 그 선택을 한 이유는 호기심이었겠지. 네가 잘 난 것 같고, 거물이라도 된 것 같았겠지." 난 이 대사에서 선택이라는 단어에 초점을 맞췄다. 모든 인생의 길조와 흉조 모두 내 잘못은 하나도 없고, 우연이 몰고간 결과인 것 같겠지만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내가 과거엔 한 선택 때문에 고생한다는 것. 그래서 이 영화는 선택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 같다. 이 선택이라는 키워드는 스티븐이 마지막에 어떤 선택을 하는지 집중하게 한다. 난 라이언 고슬링이라는 배우를 좋아하지 않았었다. 라이언 고슬링 정말 팬이 많이 있는 거 나도 알지만 너무도 단순하게 외모가 너무 가벼워 보였고, 내 개인적 취향으로 얼굴이 너무 날렵한 사람을 좋아하지 않았다. '어, 쟤 뭐야, 완전 편견덩어리잖아!'라고 한다면 인정한다. 내가 한 배우를 너무나도 주관적인 기준 때문에 평가절하하고 있었다. 이 영화를 보니, 진짜 라이언 고슬링 연기 잘한다. 그리고 심지어 분명 2시간 전까지 나는 나의 외모는 생각지 않고, 그의 외모를 까고 있었는데, 이제 그의 얼굴이 잘생겼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이 영화에서 그는 충분히 매력적이고, 인간적이고, 섹시하기까지 하다. 스포인 것 같지만 난 마지막에 스티븐이 자신의 소신을 버리고, 더러운 길을 가는 이유가 뭘까 생각해보니, 그는 갈 때까지 간 그의 인생에서 그가 어떤 선택을 해야 진짜 이득일까 고민했던 결과였던 것 같다. 그의 선택에 잘 했다고 박수 쳐줄 수는 없지만 그의 선택의 당위성은 이해가 간다. 그의 선택을 보니, 그는 진정 머리좋은 놈이었다. 감정의 노예가 되느냐, 실리를 따지느냐. 솔직히 그 상황에 내가 있었다면 어떤 선택을 했을지 감이 오지 않는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은 어떨 것 같은가. 아, 이 영화 감독이 조지 클루니던데, 조지 클루니가 영화를 이렇게 잘 만든 게 있는 줄은 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