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의 구성과 생성은 학문탐구 활동의 핵심적 존재 이유이다. 교육과정 이론은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구성하기 위한 원리, 즉 학습 경험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한 원칙이다. 교육과정 이론은 교육과정 개발의 책임자들에게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 준다. 또한 교육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교육자들에게도 의미 있는 지침을 제공한다. 그러나 교육과정 이론이 무엇인지 이야기하기 쉽지는 않다.
교육과정에 대한 공식적인 연구는 20세기 초 시작된 것으로, 비교적 어린 학문이다. 그러면서 교육과정의 실제는 시대의 먼지로 뒤덮여 있다. 여러 사람들이 국가, 지역, 학교 프로그램의 구성에 서로 다른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점을 볼 때 교육과정 이론과 이론화는 아직 형성적인 단계에 있는 듯하다. 교육과정 이론 및 이론화와 다른 형태의 저술을 구별 지어줄 만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산뜻한 준거를 갖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본 장에서는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여러 논의를 토대로 하여, 보다 완전한 교육과정 이론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필자조차 장에서 마련해 본 교육과정 이론의 준거 및 질문들에 대해서도 모두 답하지 못한다.
현대 사회에서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요구는 점차 커지고 있다. 교육과정학자들은 이 어려움을 어떻게 타개할 수 있을 것인가? 교육과정학자들은 이상적 희망을 버리지 말고, 보다 더 정교한 방법론을 동원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새로운 이론을 생성하고 미성숙한 것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이 학문 발달의 과정에 계속해서 가담하고자 해야 할 것이다. 아직 어린 학문이라는 말은 앞으로 할 일이 몹시 많다는 이야기이다.
강선보(2002). 코메니우스의 교육과정론. 교육사 교육철학, 27(-), 1-17.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 교육부.
김두정(2013). 학교 교육과정 이론의 다양성과 한국적 선택. 교육과정연구, 31(2), 1-24.
김은영(2023). 개념기반으로 설계된 교육과정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재건(2005). Tyler 와 Bruner 의 교육과정 이론의 관계 재분석. 교육연구, 2005(1), 1-21.
김재춘. (2002). 국가 교육과정 연구, 개발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제 7 차 교육과정 연구, 개발 체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0(3), 77-97.
김충기(1999). 진로발달 접근을 통한 진로 계획에 관한 연구. 진로교육연구, 10(1), 135-182.
박정애(2011). 탈주체의 문화중심에서의 미술교육의 가치체계. 미술교육연구논총, 30, 55-72.
신현석(2017). 한국 교육행정학의 정체성: 이론 탐색의 의의와 지향성. 교육행정학연구, 35(1), 195-232.
오인탁(2001). 파이데이아 –고대 그리스의 교육사상-. 학지사.
윤병희(2002). 교육과정학의 학문적 이론 수립의 현황과 발전좌표.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7), 169-206.
윤승희(1989). 교육과정 이론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고찰 (외국의 이론 분류체계 분석을 중심으로). [KEDI] 한국교육, 0-0.
이성호(2004).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학지사.
이철주(2010). 소크라테스의 ‘다이모니온(Daimonion)’에 관한 도덕교육적 해석. 윤리교육연구, 22, 1-24.
조무남(2013). 플라토닉 러브: 불멸을 향한 그 영혼의 비밀. 이담.
조재식(2006). 랄프 타일러와 교육과정 연구 : 역사와 비평. 김영천(편). After Tyler : 교육과정 이론화 1970년-2000년(pp.71-104). 서울: 문음사.
조태윤(2019). 헤르바르트 일반교육학의 교육과정적 함의. 통합교육과정연구, 13(1), 123-146.
한광택(2022). 팬데믹과 얼굴: 아감벤의 정치철학의 맹점과 한계. 비평과이론, 27(2), 175-199.
한혜정(2005). 자아 성찰과 교수 방법으로서의 ‘자서전적 방법’(Autobiographical Method). 교육과정연구, 23(2), 117-132.
허 숙(2002). 교육과정학 탐구의 성찰-역사와 전망. 교육과정연구, 20(3), 1-22.
허영주(2011). 복잡계이론의 교육학적 의미: 교육연구의 보완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적용 가능성. 한국교육학연구, 17(1), 5-31.
홍후조(2021). 알기 쉬운 교육과정. 학지사.
홍후조, 조호제, 김자영, 민부자, 임유나, 임재일, 최은아(2023). 교실로 ON 유형별 최신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제. 피와이메이트.
Bruner, J. S.(2005). 브루너 교육의 과정(이홍우 역). 배영사(1960).
Dewey, John(1992).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Fox, S.(1985). The vitality of theory in Schwab's conception of the practical. Curriculum Inquiry, 15(1), 63-89.
Klein, M. F.(1992). A perspective on the gap between curriculum theory and practice. Theory into practice, 31(3), 191-197.
Marsh, C. J., & Willis, G.(2007). Curriculum :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McNeil, J. D.(2006). Contemporary curriculum in thought and action.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Morshead, R. W.(1995). Patterns of Educational Practice: Theories of Curriculum. Pierian Press,
Null, W.(2011). Curriculum : From theory to practice. Lanham, Marylan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Ornstein, A. C., & Hunkins, F. P.(2006). Curriculum : Foundations, principles, and issues. Boston, MA: Pearson Education, Inc.
Pinar, W. F.(2004). What is curriculum theory?. Mahwah, NJ: Lawrwnce Erlbaum Associates, Inc
Scott, D.(2001). Curriculum Theory.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 Behavioral Sciences.
Steiner, R.(2017). 발도르프 아동교육(이정희 역). 씽크스마트. (1907)
Stern, J. H., Lauriault, N. & Ferraro, K. F.(2022).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 : 개념적 이해와 전이를 위한 전략과 도구(임유나, 한진호, 안서헌, 이광우 역). 박영story. (2017)
Querido, R. M.(2017). 발도르프 공부법 강의(김훈태 역). 유유.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