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지막 네오 Oct 25. 2022

다른 존재에 대한 두려움

늑대인간 - 러브, 데스 + 로봇 시즌1(2019)

√ 스포일러가 엄청납니다. 원치 않는 분은 읽지 않으시길 추천합니다.


☞ 러브, 데스 + 로봇(Love, Death + Robot) 시즌1 중에서
늑대인간(Shape-Shifters)
☞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애니메이션 / 18부작 옴니버스
☞ 2019.03.15. 넷플릭스 방영 / 절대 성인용
☞ 작품 관련 이미지 출처 : 넷플릭스


데커와 소비에스키는 미군에 속해있는 늑대인간이다.

그들은 초인적인 힘과 감각을 가졌다. 그 힘을 이용해 작전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다른 사병들은 그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어느 날, 소비에스키에게 작전 수행에 참가하라는 명령이 떨어진다. 데커와 떨어지게 된 소비에스키는 작전 중 사망한다.

데커는 현장으로 달려가 조사한다. 그리고는 탈레반의 소행이 아니라 또 다른 늑대인간들이 저지른 짓이라는 것을 알아챈다. 현장에서 놈들의 냄새를 기억한 데커는 소비에스키를 죽인 늑대인간들을 찾아내 원수를 갚는다.




이 작품 또한 그래픽이 거의 실사를 방불케 하는 수준이다.

늑대로 변신하는 장면과 늑대인간끼리 싸우는 장면은 애니메이션만의 특징을 잘 살렸다.


내용은 전형적인 미국 군사작전을 다룬 영화 스토리에 늑대인간 캐릭터를 가져다 덮었다.


늑대인간인 데커와 소비에스키는 영화 <퍼스트 어벤져(2011)>의 히어로 ‘캡틴 아메리카’처럼 초인적인 힘을 가진 군인이다.

캡틴 아메리카가 과학의 힘을 빌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초인이라면, 이들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괴인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수많은 작품에서 모습을 보인 늑대인간의 전형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늑대의 형태로 변신한다.

보통 늑대보다 덩지가 훨씬 크고 엄청난 힘과 빠른 스피드, 초감각, 빠른 재생력, 날카로운 이빨과 울버린(엑스맨의 히어로)도 울고 갈만한 발톱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늑대인간이라는 칭호는 영어로는 Werewolf라고 하며, were-가 원래 사람(남자)이란 뜻이기 때문에 ‘늑대인간’ 또는 ‘늑대 남자’라는 뜻이 된다. [참고 : 나무위키]


유럽의 고전 민담으로 전해져 온 원조는 보름달이 뜨는 밤이면 인간에서 늑대로 변해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로 묘사되었다. 늑대인간에 관련된 전설이나 설화는 워낙 다양해서 이를 인용한 작품마다 조금씩 다른 특성의 늑대인간도 많다.


영화적 소재로 ‘딱’이기 때문에 관련된 영화도 무척이나 많다.

늑대인간을 다룬 대표작으로 국내 개봉 당시 엄청난 흥행을 했던 영화 <나자리노(1974)>가 있다. 들으면 바로 ‘아하!’ 할 정도로 OST로도 유명한 작품이다.


그 외 늑대인간의 고전으로 자리 잡은 <늑대인간의 저주(1961)>, <울프맨(1941)>, <늑대인간의 습격(1981)>, <늑대인간(1988)>, <늑대의 혈족(1984)>, <파리의 늑대인간(1997)> 등이 있고, 2000년대 이후의 작품으로는 <도그 솔저스(2002)>, <늑대인간의 후예(2018)>, <굿 매너스(2018)> 등이 있으며, 시리즈로는 <언더월드>, <하울링>, <진저 스냅>, <트와일라잇>이 있다. 국내 작품으로는 송중기와 박보영이 주연한 <늑대소년(2012)>이 있다. 많은 작품이 인간과 늑대인간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내적 갈등을 다루고 있다. [참고 : 나무위키]


다시 <늑대인간>으로 돌아와서 보면,

다른 군인들이 늑대인간인 데커와 소비에스키를 적대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데커는 소비에스키의 원수를 갚은 뒤 군인의 신분을 버리고 야생으로 돌아가는 것을 선택한다.

그의 행동이 스스로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이 아닌 늑대로서의 정체성을 실행했기 때문이다.


인간은 정체를 알 수 없는 존재에 대한 본능적인 두려움이 있다. 또한 그런 존재는 다른 존재다.

많은 슈퍼히어로물에서도 자주 나오는 설정인데, 인간은 ‘다른 존재’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다. 때문에 많은 슈퍼히어로들이 신분을 숨기기 위해 가면을 쓰고 돌아다닌다.


이런 설정이 영화나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현실에서 벌어지고 있는 차별에 대한 경고다.


‘차별’은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것에서 기인한다.

사람들은 이념, 피부색, 종교, 문화, 성별, 빈부, 노소 등 여러 가지로 다르다.

이 ‘다름’을 받아들이는 것은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쉽지 않다. 그래서 ‘차별’로 인해 각종 사회문제를 비롯해 심지어 전쟁까지 벌어지고 있다.

사회가 다변화될수록 차별의 문제는 상처가 벌어지면 드러나는 뼈처럼 심해질 것이다.

이는 개선해 가야 할 인류의 또 하나의 숙제다.


세상 모든 인간은 동등하다. 아니, 동등해야 한다. 더 나아가서 모든 생명은 존중되어야 한다. 그게 ‘차별’에 맞서는 나의 생각이다. 끝.



매거진의 이전글 안전이 보장된 나의 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