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ee Daehyun Apr 27. 2016

과학-먹이사슬,그물,피라미드,평형

0. 동기유발

- 칠판에 풀->메뚜기->개구리->뱀->매 라고 쓴다.

- 먹이사슬 게임

: 두 팀으로 나눈다

: 구별하기 쉽게 남녀로 나눈다. 남학생은 뒷공간이, 여학생은 앞공간이 자기들 본부다.

: 모두 처음은 풀부터 시작한다. 풀풀풀 하면서 본부에서 나와 자유롭게 다닌다. 다니다 상대편을 만나면 가위바위보를 한다. 이기든 지든 한 번 승부를 하면 무조건 본부에 왔다가 다시 나갈 수 있다.

: 이긴 사람은 메뚜기가 된다. 진 사람은 그대로 풀이다.

: 같은 레벨끼리는 가위바위보, 아래 레벨은 그냥 잡을 수 있다. 잡으면 한 단계 상승, 잡히면 본부로 들어갔다 다시 나온다. 잡히지 않기위해 도망.

: 매끼리는 가위바위보해서 지면 뱀이 되기로 아이들과 이야기해서 정함


0. 학습문제 제시

- 생태계 안에는 생태계를 구성하는 것 두 가지가 있지요. 뭐지?

: 생물과 비생물적 환경요인

- 오늘은 생태계 내에서 생물끼리의 관계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판서)

1. 먹이사슬 알기

- 아까 놀이에서 썼던 '풀->메뚜기->개구리->뱀->매' 쓰고, 먹이사슬의 개념 안내

- 직접 먹이사슬의 예 써보기

: 진딧물->, 도토리-> 를 제시해 주고 뒤를 완성해 보라 한다.


2. 먹이그물 알기

- 교과서에 제시된 그림을 칠판에 그린다.

- 풀->메뚜기->개구리->뱀->매 의 먹이사슬을 화살표를 그어 표시하고, 아이들이 완성한 먹이사슬 두 가지도 화살표로 표시한다.

- 그림에서 나올 수 있는 먹이사글을 모두 표시하고, 먹이그물의 개념을 정리한다.

- 먹이그물로 되어 유리한 점 알기

: 게임에서 마지막에 풀, 메뚜기, 개구리, 뱀, 매였던 아이들을 하나씩 불러내어 어깨를 잡고 한줄로 세운다. 어깨에 올린 손은 곧 화살표라는 것에 공감한다.

: 가정을 하나 해보자. 이 생물들은 다른 생물은 먹지 못하고, 이 먹이사슬의 생물들만 먹을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 개구리가 사라진다면? 개구리를 앉힌다.

: 아이들은 쉽게 다음을 예상한다.

: 하지만 실제 생태계는 개구리가 없어도 토끼나 다람쥐, 쥐 등 뱀이 먹을 수 있는 동물은 많다. 그래서 생물이 쉽게 멸종하지 않는다. 유리한 점을 정리한다.


3. 생태 피라미드 알기

- 생산자를 소비자가 먹고 그 소비자를 다른 소비자가 먹고 그 소비자를 또 다른 소비자가 먹는다. 소비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 1차 소비자, 2차 소비자, 3차 소비자

- 1차 소비자는 대부분의 곤충이나 초식동물이 되겠지. 2차 소비자는 육식 동물이라 할 수 있겠다. 제일 위에 위치한 소비자는

: 최종소비자

- 이것들 중에 개체수가 제일 많은 게 뭘까?

: 생산자

- 위로 갈수록 개체수나 양이 적어져서 그 모양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피라미드 모양이 되는데, 이를 생태피라미드(먹이피라미드)라고 해.


4. 생태계의 평형 알기

- 안정된 생태계는 이런 피라미드 모양을 이루고 있어.

- 1차 소비자가 줄어들면?

: 피라미드의 1차소비자 부분을 작게 줄인다.

: 2차 소비자도 줄어들고, 2차가 줄어들면 3차도 줄어든다. 생산자는 늘어나고 1차도 다시 늘어나고 2차, 3차도 다시 늘어나 균형을 찾게 된다...


0. 질문받기








매거진의 이전글 국어활동-마음을담은글쓰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