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과감한 투자족을 위한 ‘거치식 펀드’

사회초년생 월급으로 살아남기 20

집필과정 중에 만난 한 상담자가 떨어지는 금리에 더 이상은 안 되겠 다며 거치식 펀드에 거액을 투자하여 고수익을 얻은 친구 사례를 얘기하 며 부럽다고 말한 적이 있었습니다.


 ‘한방’을 노리고 거치식 펀드에 가입 한 상담자의 친구는 과연 옳은 선택을 한 것일까요?


 적립식 펀드는 투자 시점을 크게 고민할 필요가 없지만 거치식 펀드 의 경우에는 투자 시점이 수익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자칫 고점에 투 자한다면 수익 없이 원금 손실에 수수료만 지불하며 큰 피해를 볼 수 있 습니다. 이 말은 적립식 펀드와는 달리 신중을 과해 투자에 임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거치식에 적립식 전략을 대입할 순 없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코스트에버리징은 거치식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됩니 다. 만약 내가 1 ,000만 원을 투자한다고 했을 때 투자 시점을 달리하고 금액을 나누어서 투자하는 것도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전략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한 번에 모두 투자하기 보단 분할매수를 한다면 투자 리 스크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김군과 이군의 펀드 운용"



이군은 3,000만 원을 한 번에 거치식으로 투자했고, 김군은 500만 원 씩 총 6개월간 나눠 3,000만 원을 투자했습니다. 한편 신군은 500만 원 씩 투자 하되 원하는 기준가격(1,700원)에 맞춰 3,000만 원을 투자했습니다.


세 사람 모두 기준가가 1,800원일 때 전량 환매를 했습니다. 이 경우 총 투자금액은 3,000만 원으로 모두 동일하지만 수익률은 -10%에서 3.2%까지 천차만별이 됩니다. 거치식 펀드는 투자자 스스로 경제지식이 많아야 하고 적립식보단 시간이나 노력도 많이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초 년생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수익을 노리는 사람이라 면 충분히 도전해볼 법한 펀드이기도 하지요. 사회초년생은 운용할 수 있는 자금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엄청난 수익 을 단번에 얻기란 쉽지 않습니다. 초년생 투자의 ‘진짜 목적’은 금융감각 과 투자마인드를 기르는 것에 있습니다. 


급여의 10% 가량으로 먼저 본 인의 투자성향을 파악하면서 수비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하고, 점차 금융지식을 쌓고 자산을 증대시켜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때문에 본인이 어떤 스타일이든지 되도록 위험성을 최대한 줄이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고, 차츰 공격적으로 바꿔가는 것이 좋습니다. 너무 성급하게 돈을 불리려고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초년생임에도 재테크와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이칼럼을 보고있단 것부터 이미 절반은 먹고 들어가는 거니까요!


작가의 이전글 끈기 강한 타입을 위한 ‘적립식 펀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