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문장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별보기 Feb 06. 2016

사랑의 실체에 대한 단상

글쓰기는 어쩌면 외로움의 흔적들

내가 사랑했던 남자들은 나이기도 했지만 결정적인 순간엔 항상 내가 아니었다. 난 그런 조짐을 느끼고나면 그와 나 사이에 선을 긋기 시작했다. 그러면 우리는 더욱 멀어지고, 나중엔 운명같았던 인연마저 옅어졌다. 그런 일은 몇 번 반복되었다.

우정도 비슷했다. 어떤 부분은 지극히 나인 것 같다가도 어떤 부분에서는 건널 수 없는 강이 우리 앞에 펼쳐져있는 것만 같았다. 그런 만남 이후에는 알 수 없는 피곤이 몰려와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되곤 했다.

이런 일들이 몇 번 반복되자 나는 인간의 본질적인 고독에 대한 힌트를 얻었다. 그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일지도 몰랐다. 연인이나 친구, 가족은 그 감정을 잠시 덮어줄 수 있는 존재인지는 몰라도, 그것을 완전히 혹은 영원히 사라지게 만들 수는 없었다. 그것은 어쩌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인간은 내가 여럿이기를 바라는 숙명같은걸 타고난 것만 같다. 파고 들어가면 그 본질은 누군가로부터 사랑받고 싶어하는 마음일 것이다. 생물학적으로 보면 그것이 생존과 번식에 유리하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렇게 우리는 유전자가 조작하는 방식에 따라 또다른 나를 찾고, 또다른 나를 기대하고, 결국엔 또 실망하기를 반복한다.


그렇다면 사랑이나 우정이라는 감정은 대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가. 이 역시 유전자의 조작방식에 따른 일종의 착각에 불과할 뿐인건가. 하지만 그 어긋남으로부터 오는 상처들을 감당하는 것은 오롯이 내 몫이었다.


나는 상처받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나를 나누고자 글을 쓰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것 역시 파고 들면 또 다른 나를 향한 갈망이자 기대이기도 했다. 이런 일은 계속 반복되어왔고, 또 앞으로도 그럴 것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드라마는 판타지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