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미미 Nov 24. 2022

외노자를 자칭하는 사람들

가끔 동료들 중에, 자기를 외노자라고 소개하며 웃는 사람들이 있어. 그들은 이곳 스위스에서 외국인이고 노동자니까 틀린 말은 아니야. 그래서 굳이 별 말 하지만, 테이블 아래로 슬며시 다리를 꼬아 앉곤 해.


단어의 뉘앙스를 살피려면 이미지 검색 만한 게 없어. 구글 이미지 검색에 외노자를 검색하면 연관검색어엔 공장과 노가다가 떠. 그리고 그 아래론 방글라데시 출신이라는 자막이 쓰인 다큐멘터리 ‘3일’의 스틸 컷, 안전모를 쓰고 작업복을 입은 픽토그램, 지저분한 집 바닥에 앉아 밥을 먹고 있는 사람의 사진, 등등이 나와. 한마디로 말하면, 외국에서 온 가난한 블루칼라 노동자들의 사진이 뜬다고.


내가 나를 ‘외노자’라고 소개한 적 없는 이유는 내가 방금 지저분한 바닥이 아닌 새로산 식탁에서 저녁을 먹었기 때문이야. 외국에서 일하고 있다는 점은 외노자의 뜻에 부합하지만, 그 단어가 내포하는 뉘앙스에는 부합하 않아. 그리고 그 뉘앙스를 소재로 농담하고 싶지 않았어.


요즘 관공서에선 “이주노동자”라는 말을 더 많이 쓴대. 개발도상국에서 온 블루칼라 노동자들이 ‘외노자’나 ‘외국인 노동자’로 불리길 원하지 않기 때문이야. 누구는 외노자로 불리고 싶어 하지 않고, 또 다른 누군가는 스스로를 외노자라고 자칭하며 웃어. 아마 "자신의 외노자 답지 않음"이 그 농담의 웃음 포인트인 거겠지. 너무 재미없. 쉽게 농담할 수 있는 권력의 습습한 냄새만 풍길 뿐이야.


2022.11.23. 한국 출신의 엔지니어 유미가.


매거진의 이전글 로봇청소기의 응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