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lice May 03. 2024

CRM 언제 보내야할까?

에이블리와 지그재그 사례로 보는 CRM 발송의 최적 타이밍 찾기

CRM 메시지 도대체 언제 보내야할까요? 


이런 질문을 현업에서 참 많이 듣게 됩니다. 그만큼 언제 보내는지가 성과에 막대한 영향을 주기 때문일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 시간에는 에이블리와 지그재그의 발송 시점 사례를 확인하면서 CRM을 활발하게 하는 곳은 어느 시점에 발송하는 지 확인해볼 것입니다. 두번째로 우리 서비스에서 최적의 CRM 발송 타이밍을 찾는 방법을 소갷려합니다. 



CRM 맛집 에이블리,지그재그는 주로 언제 보내나?


 2024년 1월부터 2024년 5월2일까지 에이블리와 지그재그 카카오톡 채널에서 보낸 문자 메시지를 엑셀시트에 수기로 카운팅해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한땀한땀 수집한 결과물입니다. 


눈물의 시트

그 결과 두집단간에 유의하게 발송빈도와 일시에 차이점이 보였습니다. 우선 지그재그는 123일동안 총 116일을 하루도 빠짐없이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CRM 마케팅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특히 점심 시간대가 그중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요일은 월요일,화요일이 많았지만 주말과 큰 차이는 보이진 않았습니다. 

지그재그(1사진)와 에이블리(2사진) 의 발송빈도 및 일시 요약

반대로 에이블리는 총 123일동안 30%정도만 CRM 마케팅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점심과 오후에 몰려있는 지그재그와 달리 저녁시간대를 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요일또한 주말보다 평일을 더 많이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모든 CRM 메세지의 빈도를 확인한 것은 아니지만 주 채널인 카카오 채널만하더라도 두 회사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그재그는 공격적으로 카카오 매체를 통해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으며 에이블리는 지그재그와 달리 저녁시간을 많이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공통적으로 두 회사 모두 오전 시간대와 주말은 활용하지 주로 활용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우리회사는요?


그래서 우리회사의 CRM 발송 시점도 CRM 맛집들처럼 운영해야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발송 최적의 타이밍은 고객의 특성,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어느 시점 따라 다를 것임으로 정답은 "실험"입니다. 


그렇다면 실험은 어떻게 진행해야할까요? 첫번째로 동일한 메시지를 주말과 주중으로 나누어 보내고 어느 요일이 발송 시점의 적기인지 오픈율을 비교해 확인해보세요. 만약 주중의 오픈율이 주말보다 높다면 주중에 마케팅 리소스를 더 투여해서 성과를 최적화하는 전략을 취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동일한 메시지를 시간대를 나누어 보내어 성과가 좋은 시간대를 찾아내세요. 시간대는 오전 (8시~12시), 점심(12시 ~ 14시) ,오후 (14시 ~18시) , 저녁 (18시~21시)로 주로 4개의 타임으로 나뉘는데요. 각 시간대에 동일한 메시지를 보내어 오픈율을 확인함으로서 최적의 시간대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런 실험은 한번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최소 3번이상 진행해서 통계적으로 시간대별 유의성이 나오는지 확인해야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당신의 마케팅이 효과가 없을지도 모르는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