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반창고 Feb 25. 2021

글을 채우는 과정

글쓰기란 단단한 바위 같은 글을 깎는 과정이다. 

처음에는 큼직큼직 거칠게 깎는 단계를 거친다. 

날카로운 정을 들고 네모난 글 덩어리를 이쪽저쪽 세게 치다 보면 결대로 쩍쩍 갈라진다. 

때론 이렇게밖에 못 깎는 나를 자책하기도 하고 우연히 쪼개진 생김새에 감격하기도 한다. 

빈 종이를 채우다 보면 어느새 겸손해진다. 





그렇게 부끄러운 초고가 완성된다. 

나는 글의 의도를 알지만 다른 사람은 난감해하는 수준이다. 

헤밍웨이는 초고를 걸레라고 표현했지만 나는 그 말을 공감하지 않는다. 

내게 초고는 순수한 ‘날 것’이다. 

초고가 완성되면 설렁설렁 정을 가볍게 톡톡 치며 형태를 잡아간다. 

고기를 좋아하는 내게는 초벌구이 과정에 해당한다. 

어느 정도 모양을 알아볼 때쯤이면 자신감도 생긴다. 

물론 글 덩어리에 정만 사용하니 투박하기 그지없다. 

그래도 나는 이 단계를 좋아한다. 





내가 브런치에 쓴 많은 글은 이 수준에 머문다. 

세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조금은 글을 가볍게 올리고 싶다는 욕망 때문이다. 

브런치 글마저 출판사에 보내는 것처럼 전력투구로 올리고 싶지 않았다. 

그러면 지쳐서 펜을 놓게 된다. 

둘째, 정을 치는 기본기가 조금은 더 늘었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다.

퇴고의 세밀함도 중요하지만, 큰 그림을 거침없이 그리는 게 나한테는 더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작가님들과 소통하고 싶은 갈증 때문이다. 

작가는 글을 쓸 때마다 고립되기 일쑤이다. 

게다가 자기 글에 관한 피드백을 얻기도 쉽지 않다. 

마치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동굴을 걷는 기분이다. 

그때마다 브런치 작가님이 주는 격려와 반응은 한 줄기의 빛이 된다. 





완성된 글 덩어리가 제법 또렷해지면 본격적인 퇴고 과정을 거친다. 

상을 갖춘 글 덩어리를 정이 아닌 손으로 꾹꾹 누르며 매만진다. 

손으로 모양새를 꾸미는 것은 힘들고 지루하지만, 꼭 필요한 세밀화 과정이다. 

난 고기의 재벌구이를 떠올리곤 한다. 

딱 먹기 좋은 형태로 글을 굽는다. 

같은 문장을 이리 고치고 저리 고치면 한 시간은 그냥 흐르기 일쑤다. 

본 글을 반복해서 읽고 고치는 과정은 매일 같은 배경의 사막을 맴도는 기분이다. 

인내심이 폭발하면 글 덩어리를 두 주먹으로 내리치고 싶은 욕망이 일렁인다. 





사실 퇴고는 끝이 없다. 

출판사로 보내는 마감일이 사막을 빠져나올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마감일. 듣기만 해도 가슴이 떨리는 날이다. 

끝이 있기 때문에 결과 역시 낼 수밖에 없다. 

애증이 깊은 마감일이 자꾸 보고 싶은 건 아마 다음 책에 관한 사소한 호기심 때문일 것이다. 

내가 만든 글 덩어리는 사실 내가 제일 궁금하니까.      


덧붙이는 말. 종일 눈 빠지게 글을 계속 고쳐서 결국 원고를 보낸 나를 격려해본다. 잘했어.

매거진의 이전글 빈자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