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덕근 May 15. 2021

강한 사람이 되어야 하는 이유

강하다는 정의를 어떻게 내리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번 글에서 강자의 정의는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기로 했다. 왜냐하면 약자는 옳은 선택지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전쟁이나 기업과의 갈등 등 드러나는 싸움에서 명확하게 나타난다. 힘이 있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을, 자기들이 원하는 것으로 요구하기 마련이다. 미국이나 중국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겠다. 이들은 결코 약자들을 위해 보살피는 협상을 하는 것보다 자국의 이익이 최선이 되는 선택을 주로 한다. 그들이 그렇게 할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강자에 있기 때문이다. 이는 개인의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다. 협상하는 관계라 하더라도 더 많은 패를 쥐고 있는 사람, 더 유리한 사람이 유리한 조건을 가져가게 된다. 


이익이라는 게 모두 윈-윈 하는 것만 있으면 좋겠지만 어떤 환경에서는 어느 한쪽이 가져간 만큼 반대쪽이 포기해야 되는 상황도 자주 일어난다. 대표적으로 영토를 빼앗는 과정이 그렇다. 강자가 더 많은 땅을 달라고 했을 때 반대편은 그로 인한 어떤 요구를 요청할 순 있지만 만약 땅 가치가 절대적으로 중요했던 중세의 경우엔 그것보다 치명적인 게 없었을 정도다.


다만 여기까지 말한 것은 상대적인 강자, 즉 강자와 약자가 구분되는 선에서의 이야기다. 만약 세상 모든 것이 이렇게 돌아간다면 약자는 영원히 노력할 필요가 없다. 어차피 강자가 더 많은 것을 차지하고 더 많은 것을 가지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약자라 하더라도 절대적인 강자가 되진 못하더라도 상대방이 섣불리 대할 수 없는 정도의 강자는 될 수 있다. 가령 지금 반도체가 그렇다. 반도체를 수출해야 하는 입장에서 기업은 누군가에게 약자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전 세계 생산량의 60%를 넘기 때문에 그리 간단하게 판단할 수 없다. 


같은 약자라 하더라도 자신의 핵심 패를 갖고 있는 것과 아닌 것은 천지차이다. 그러나 약자라고 생각하면 대부분 후자라고 생각하며, 전자는 =강자라는 공식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상황상 강자처럼 보이는 약자도 있고, 약자처럼 보이는 강자도 있기 마련이다. 때문에 자신이 지금 약자라고 생각한다면 강자를 이길 수 있는 필살기 한 개 정도는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그 노력을 게을리하면 영원히 약자 입장에 있게 된다.


패가 없는 약자가 되지 말아야 하는 이유. 그것은 바로 약자는 옳은 선택지를 가질 권한이 없기 때문이다. 애초에 협상 자체를 할 수 없는 항상 당하는 입장이 된다. 그러다 보니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반사적으로 수동적인 선택지를 선택하게 된다. 학습된 패배감에 물든다.


강한 사람이 되자. 약자가 되고 그 생활에 익숙해지면 남는 건 불리한 선택의 연속으로 인한 좌절감과 무력감, 그리고 상실감뿐이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매거진의 이전글 매번 한계를 넘는 도전을 하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