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누메 Aug 22. 2022

다섯 번째 단어. 책임

"한국 사회는 경쟁적이고 힘들어. 요새 나온 뉴진스 봤어? 걔네 막내가 15살이래. 여자는 젊고 예쁜 게 최고인 이 사회... 안타깝고 숨 막힌다."


주말에 만난 친구는 한 시간 내리 힘없는 푸념을 내뱉었다. 처음엔 무엇이 이 친구를 이렇게 힘들게 하는지 같이 고민하다, 듣다 보니 내 숨도 조여 오는 듯한 감정에 생각이 입 밖으로 나오는 걸 참을 수가 없었다.


"네가 너를 힘들게 하고 있는걸 수 있어. 그런 관념이 사회에서 지배적인 건 사실일 수 있지. 근데 그걸 삶의 잣대로 받아들이는 건 너의 몫이니까"


말을 많이 한 날은 항상 걷는다. 이날도 어김없이 버스정류장 6개를 먼저 내려 내리 걸었다. 하지만 그날은 뭔가 달랐다. 나도 모르게 판단과 평가를 내린 건 아닐까라는 생각에 이른 건 비슷했지만 어째서 입을 연 것에 대한 후회나 다시는 그러지 말아야지라는 다짐이 평소처럼 서지 않았다. 



지난 몇 년 내가 배운 것 중에 가장 중요한 사실은 모든 일은 내 책임이라는 것이다. 마음이 맞지 않는 친구를 10년째 옆에 두는 것, 게으른 것, 싫은 상황에서 웃어버리는 것 등 모든 일은 내 책임이다. 물론 부족함 없이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란 내가, 신체도 정신도 모두 건강하게 태어나 이미 많은 것을 누린 내가 하는 이런 말은 한없이 연약하다. 하지만, 나는 이 말이 누구에게나 해당하는 진리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모든 일을 내 책임으로 받아들이는 건 어렵다. 무겁고 고독하다. 하지만 내 책임이란 말엔 내가 다 바꿀 수 있다는 뜻이 포함되어있다. 한국 사회가 경쟁적이고 얄팍한 미의식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대중의 잣대를 삶의 잣대로 받아들일 것인가는 나의 선택이고 책임이다. 이걸 온전히 받아들이는 순간 다음은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가 어렴풋이 보인다. 처음 회사를 퇴사하며 대리님이 내게 해 준 말이 있다.



"상황을 바꾸는 건 용감한 선택이고 존중해. 하지만 네가 바뀌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거야"

그때는 무슨 말인지 모르고 퇴사가 잘못된 선택이라고 말씀하시는 듯해 서운했다. 하지만, 이제야 조금 무슨 말인지 알 것 같다. 회사에서 감당할 수없을 만큼의 업무가 오는 일도, 사랑하는 사람과 어설프게 헤어져야 했던 일도, 하고 싶은 일이 뭔지 모르겠어서 한참을 흐리멍덩하게 있던 날들도 다 나의 선택이다. 일주일을 고스란히 슬픈 감정에 취하고 세상을 원망하며 절망에 빠지는 순간들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것들이 다 지나가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다음은 어떤 행동을 해야 하고 하지 말아야 할지 알아가는 것. 다 내 책임이었던 걸 알고 다음은 어떻게 해야 나 다운 선택을 할 수 있을지 살펴보는 것 딱 그 정도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네 번째 단어 : 노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