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동희 Dec 23. 2023

굶주린 어미 호랑이 '만키알라 스투파'

간다라 이야기 #4

동국대박물관에는 굶주린 호랑이들에게 스스로의 몸을 보시하여 짐승들을 구원하는 보살이 조각된 석탑이 있다. 이는 '보협인석탑'이라 불리는 고려시대의 탑으로 한국의 일반적인 탑들과는 사뭇 다른 형태를 하고 있다.


국보 보협인석탑 (출처: 문화재청 국가 문화유산 포털)


보협인석탑(寶篋印石塔, 국보)
1967년 천안 대평리 탑골계곡 절터에서 발견되었다. 잔존하던 부재들을 수습해서 조립한 것으로 완벽한 형태는 아니다. 그럼에도 탑재 곳곳에 불교와 관련된 이야기가 빼곡하게 조각되어 있어 꽤나 흥미로운 작품이다. 또한 보협인탑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사례이기에, 그 중요성을 높게 평가받아 1982년에 국보로 지정되었다.


탑의 한 측면에 사람과 두 마리의 아기 호랑이가 그려져 있다. 남자로 보이는 사람은 앉아있고, 두 마리의 호랑이는 좌우에서 남자를 향해 그려져 있는데, 얼핏 봐서는 호랑이에게 몸을 먹게 하는 장면이 맞는지 알기 어렵다. 이 장면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사한 사례들이 있다.


일본 호류지 소장 타마무시노 즈시와 우측면 상세도(출처: 나라국립박물관 수장품 데이터베이스, 위키피디아)


일본 나라의 호류지(法隆寺)에 보관 중인 타마무시노 즈시(玉虫厨子, 7세기)이다. 여기 보협인석탑의 장면과 유사한 이야기 좀 더 자세하게 그려져 있다. 그림을 보면 어떤 사람이 절벽 위에서 스스로 옷을 벗고, 뛰어내려 죽는다. 이어 어미 호랑이와 새끼 호랑이들이 그 사람의 몸을 먹는다. 참고로 여기에는 세 시점이 한 장면에 함께 그려져 있는데, 동양에서는 여러 시점의 그림을 한 장면에 그리는 방식이 흔히 사용된다. 


중국 돈황 막고굴(莫高窟, 4-6세기) 254번굴 남쪽벽의 벽화에서도 이 이야기와 유사한 장면을 볼 수 있다.


중국 돈황 막고굴 254번굴 남벽 살타 왕자 이야기 장면(출처: Dunhuang foundation)


이는 '살타(薩埵) 왕자 이야기', 혹은 '사신구사 본생담'이라는 이야기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고대 인도의 어느 왕국에 세 왕자가 있었다. 어느 날 세 왕자는 함께 숲을 거닐다가 절벽 아래에 어미 호랑이와 일곱 마리의 새끼 호랑이가 있는 것을 보았다. 어미 호랑이는 새끼들을 낳은 후 아무것도 먹지 못한 상태로 굶주려 거의 죽기 직전의 모습이었다. 이 모습을 본 왕자들은 호랑이들 돕고자 하였다. 첫째와 둘째 왕자는 호랑이에게 줄 음식을 찾아 떠났고, 셋째 왕자인 사트바 왕자는 호랑이들을 지키게 되었다. 그러던 중, 어미 호랑이가 굶주림을 참지 못하고 새끼 호랑이들을 잡아먹으려 하였다. 이에 사트바 왕자는 자신의 몸을 어미 호랑이에게 먹으라고 주었다. 하지만 호랑이는 왕자를 먹으려 하지 않았다. 그러자 사트바 왕자는 벼랑 위에서 몸을 던져 죽음으로서 어미 호랑이가 먹도록 하였다. 그러자 어미 호랑이가 왕자의 몸을 먹었고, 호랑이들은 살아날 수 있었다. - 사신구사 본생담


본생담 혹은 자타카 이야기(Jataka tails)란 석가모니 부처 전생에 어떤 공덕을 쌓았는지에 대한 이야기로 수백에 이르는 이야기들이 있다. 그중에서도 사트바 왕자로 태어나 굶주린 호랑이들에게 몸을 보시한 이야기는 예로부터 인기가 많았다. 한국의 경우 삼국유사에서 이 이야기와 관련된 구절 찾을 수 있다.


“살을 베어 저울에 달더라도 한 마리 새를 살리려고 했고, 피를 뿌리고 목숨을 끊어서라도 일곱 마리의 짐승을 스스로 가엽게 여겼다. 짐의 뜻은 사람을 이롭게 하는 데 있는데, 어찌 죄 없는 사람을 죽이겠느냐? 네가 비록 공덕을 쌓는다고 할지라도 죄를 피하는 것만 같지 못하다.” - 삼국유사 3권 흥법


이 구절은 법흥왕과 이차돈의 대화로 이차돈이 불교를 수용하기 위해 자신 한 몸을 희생하기로 하자 법흥왕이 만류하며 말하는 부분이다. 앞의 한 마리 새를 살리는 이야기는 시비왕 자타카에 해당하며, 뒷부분의 일곱 마리의 짐승 부분은 살타 왕자 자타카에 해당한다. 이차돈의 순교가 527년이니 우리나라에 이 이야기가 적어도 6세기의 전반 이전에 알려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사신구호도 자타카(Buryatia 19세기)


한편,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장소를 기록한 오래된 문서가 있다. 중국 동진의 법현(法顯, 337-422) 스님은 4~5세기에 인도지역을 방문하고 '고승법현전(高僧法顯傳)'을 남겼다. 책에 남겨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축찰시라(탁실라)에서 동쪽으로 이틀쯤 가면 스스로 몸을 던져 굶주린 호랑이에게 먹인 곳에 이르게 된다. 이곳에도 큰 탑이 세워져 있고 모두 갖가지 보석으로 장식되어 있다." - 고승법현전


법현 스님이 기록한 큰 탑은 오늘날에도 굳건하게 남아 있다. 바로 파키스탄 라왈핀디 주에 위치한 '만키알라(Mankiala) 스투파'이다.


만끼알라 스투파, Monuments de Tous les Peuples (published 1843)


알라 스투파를 찾아가려면, 파키스탄의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G.T.로드(지금도 쓰이고 있는 고대길)를 따라 남동쪽으로  약 40km 정도를 가면 마주할 수 있다. (한국이라면 30분이면 갈 거리겠지만, 파키스탄에서는 대략 1시간 정도 걸린다.)


만끼알라 스투파 위치


스투파가 위치한 곳은 톱 만알라(Tope Mankiala) 라는 마을다. 마을에서 가장 큰 건물 수천 년 전에 지어진 만알라 스투파일 정도 작은 시골마을이다. 분명 이 스투파는 마을의 자랑거리일 것임이 틀림없어 보이지만, 유지관리가 소원하여 다소 방치된 느낌이 든다. 정문은 굳게 닫혀있는데 열어주는 사람이 없다. 동네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항상 펜스 사이의 구멍으로 드나든다고 한다. 아무래도 주민들이 불교도가 아니다 보니 관리에는 다소 소원한 듯하다.


만키알라 스투파


한 가지 더 안타까운 점은 탑의 중심부에 큰 구멍이 뚫린 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는 1830년, 이탈리아의 군인 장 바티스트 벤추라(Jean-Baptiste Ventura)가 실시한 보물 찾기의 흔적으로, 그 이후 그냥 방치된 것이다.


진단 구멍이 노출된 상태로 방치된 만키알라 스투파


기록에 따르면 벤추라는 1830년 스투파의 중심부에서 보물을 찾기 위해 하강조사를 했다. 첫 번째로 3미터를 파 내려갔을 때 철로 된 상자를 발견했다. 상자를 열자 그 안에는 장식된 황금 상자가 있었다. 황금 상자 안에는 카나쥬(Kannauj)의 야소바르만(Yasovarman, 재임 서기 725–752년)의 은화를 비롯하여 해의 신이 그려진 동전이 있었다. 그리고 13.7~19.5미터 깊이에서는 사산제국(Sassanian, 3-7세기) 동화와 금화가 발견되었다. 또한 22.25미터 바닥에서 동으로 된 상자 안에 든 황금상자를 발견했다. 상자에는 쿠샨 제국(Kushan, 1-4세기)의 카니슈카(Kanishka, 재임 서기 127–150년)와 후비쉬카(Huvishka, 재임 서기 150–180년) 시기의 금화 1개 및 5개의 동화가 확인되었다. 이 발견품들은 모두 런던에 있는 영국박물관(The British Museum)에 보관 중이다.


만키알라 스투파 출토 유물들(출처: 영국 박물관)


조사 결과와 출토유물을 보았을 때, 스투파는 쿠샨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카니슈카 대왕은 불교에 대한 적극적인 후원으로 수 많은 기진을 했다. 그라면 사트바 왕자를 기리기 위해서 이 탑을 지었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상부 층위에서도 여러 시기의 유물들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스투파가 완공된 이후에 다른 사람들이 추가적으로 기진을 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1830년까지 잘 보존되어 왔던 스투파가 하루아침에 이탈리아인 군인 한 명의 취미 생활로 빈 껍데기가 되어버린 것이다. 그의 발굴은 고고학적 발굴이 아닌 단순한 보물찾기였고, 보고서도 없다. 다만 한 가지 다행스러운 점이 그가 발견한 유물들이 어둠의 경로로 흘러가지 않고 박물관에 공개전시 중이라는 부분이다.


만키알라 스투파의 복원 입단면도와 내부에서 확인된 유물들 (James Prinsep, recent discoveries in Afghanistan 출판 1844)



참고자료


오동환, 막고굴 254굴의 본생담, 법보신문, 2022.1.

조성금, [조성금의 스토리텔링 본생경] 12. 사신구사 본생담, 현대불교, 2022.6.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Manikyala_Stupa

둔황 파운데이션, https://dunhuangfoundation.us/blog/2018/3/7/jataka-tale-prince-mahasattva



매거진의 이전글 '간다라'는 어디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