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시선을 돌려 봅니다.
어린 시절 일기 숙제는 몸이 꼬였다. 일기의 신빙성을 위해 지난 날씨를 기억해 내는 기억력 테스트는 보너스? 그래도 글쓰기에 대한 추억은 대체로 좋다. 일기는 개학을 앞두고 몰아서 썼음에도 선생님은 내 일기가 재미있어서 다음 상황을 묻고 싶다고 친구들 앞에서 칭찬해 주셨다. 과제로 작성해야 하는 글짓기에서 한 장을 채우는 건 어려운 적이 없었고 편지를 써도 언제나 장문을 썼다. 글짓기 대회에서 상도 받았었다.
은연중 '나는 글짓기를 잘하지만 관심은 별로 없어'라는 생각을 하고 글쓰기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며 살아왔다. 그렇게 그렇게 시간이 흘러 더 이상 숙제도 편지 쓸 일도 없는 식상하고 퍽퍽한 어른이 되었다. 그런데 퍽퍽함이 극에 달해서일까? 불현듯 글쓰기가 마음의 숨통을 트이게 해 줄 것이라는 기대가 생겼고 밀린 일기 쓰듯 글을 쓰게 되었다.
타인과 소통이 되지 않아 가슴에 맺혀 빙빙 도는 이야기
누구를 만나든 나누고 싶어 하는 나의 관심 주제
누구와도 대화하기는 좀 생뚱맞아서 혼자 간직한 생각들
결혼 전 내 전문 분야였으나 이제 녹슬고 흐릿해져 가는 지식들
생각은 존재하는데 말을 하거나 실행을 하지 않고 지내니 결국 존재하지 않는 것들이 되어 버렸다. 나를 채우는 경험, 지식, 이야기들이 실체가 없다고 생각되니 내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에 빠져 허망함과 우울감에 빠져 지냈다. 그때 바닥을 딛고 글쓰기에 대한 욕구가 생겨난 듯하다.
오직 나를 위한 글쓰기를 시작했다.
머리와 가슴에 묵혀진, 체한 것처럼 나를 짓누르고 있는 갑갑함과 언짢음을 해소하고 싶었다. 그 생각들을 이고 지고는 사고를 넓히는 일이나 인생의 경험을 확장시키는 기회를 맞을 수가 없어 마치 내 마음이 낡은 갈색 병 안에 처박혀 있는 느낌이었다. 나를 좀팽이 여편네로 너와 내가 인정해야 가정이 평안할 수밖에 없는 주부라는 입장. 난 그럴 수가 없었다. 나이 들수록 더욱더 멋진 나를 갖고 싶기 때문이다.
비밀 일기장이 아닌 공개된 곳에 한 동안 글을 쓰다 보니 학교 선생님처럼 독자가 있다고 상상되어 쓰기가 훨씬 수월했다. 관종인가 싶지만 그랬다. 글쓰기를 통해 마음과 생각이 가벼워지고 새로운 생각이 글감이 되면서 스스로를 가치 있게 느껴지기 시작했다. 체해 있던 생각들을 쏟아내고 가벼워진 머리로 글 속에 담긴 생각과 생각 뒤에 나 몰래 숨어 있던 진짜 마음을 바라보고 내가 정말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무엇인지 들여다볼 수 있게 되었다.
가벼워진 마음으로 바라본 글 속에 나는 이랬다. 타인의 일거수일투족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 사람. 그럼에도 타인을 고려하지 않고 나를 먼저 알아달라고 끈질기게 윽박지르는 사람. 너무 속살이라 남도 안 궁금해하고 나도 민망한데 기여코 끄집어 스스로를 시험하는 사람. 내 상태를 한 줄로 적어보면 이렇댜. '내가 이렇게 힘들게 살았다는 걸 나 말고 네가 알아줘!'
글쓰기를 시작한 덕분에 옹색한 나를 직면해 부끄러웠지만 한 층 성숙한 느낌이다. 홀가분하게 제삼자의 느낌으로 세상을 대하는 내 태도와 입장을 돌이켜 볼 수 있으니 말이다. 일기와 같았던 지난 글들을 통해 내 생각과 감정을 정리하고 인정하는 기회를 삼고 나니 이제 나를 알아달라던 외침을 이제 그만해도 될 것 같다는 마음이다. 내 안에서 이롭고 고운 것만 골라 이웃과 나누고 싶어 졌다. 꽉 묶인 실타래가 살짝 느슨해진 느낌이다.
나를 네가 알아줘! 하는 태도를 털어내고 나 아닌 우리들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 먼저 해야 할 일이 떠올랐다. 생뚱맞게도 방 정리 잘하기.
방 정리의 시작은 비우는 것이라는데 평상시 비우지 못해 싸 짊어지고 정리 못하는 성향이 글쓰기에 비슷하게 담긴다는 느낌을 받았다. 지난 감정과 추억이 소중하고 앞으로의 쓸모가 기대되어 차마 버리지 못한다. 버릴 물건인지, 어디에 둘 물건인지 구분하지 못해 상자 하나에 어수선하게 쌓아 놓는다. 타인에겐 관심 없는 추억과 작은 쓸모를 기대하며 욱여넣은 모양새가 내 글과 닮았다고 느꼈다.
한 톨의 감정과 표현도 아까워 모두 긁어 모아 간직하고 기록하고 싶어 하는 집착을 버려야 한다. 방 정리를 하던 글을 쓰던 내게 어떤 공간이 필요하고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지 그 목표에 집중하고 선택해야만 한다. 더 이상 내 추억과 감정을 박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세상 사는 우리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서 말이다.
40년을 이어온 싸 짊어지기 스타일을 버리는 건 쉬운 일은 아니다. 글쓰기를 위해, 더 쾌적한 나를 위해 필요하다는 건 느끼지만 결단이 내려지지 않아 심호흡으로 마음을 달래고 가만히 잠재의식에게 말을 건넨다.
'지나가는 모든 감정을 마음에 담고 가능하다면 많이 기록해 사람들에게 공감받고 싶지? 그래, 그럴 수 있어. 괜찮아. 다만 기억해야만 해. 너는 시간과 능력에 한계를 갖고 태어난 생명이라는 걸. 그리고 지나가는 감정 말고도 경험해야 할 가치는 정말 많아. 감정과 기회가 스쳐 가는 게 아깝겠지만 계속해서 상상할 수도 없는 감정들이 쏟아지니 네가 감당하고 다룰 수 있는 감정에는 한계가 있다는 걸 인정해야 해. 스치는 감정은 그냥 '그렇구나' 인사 건네고 그대로 흘려보내 주라. 이제 쓸모를 잃은 수북한 이야기 상자에서 정말 귀하고 쓰임새 것만 남기고 과감하게 치워볼까? 네가 버려질까 두렵지? 그럴 수 있어. 익숙해 지기 전까진 선택도 어렵고 큰 용기가 필요할꺼야. 과감한 이번 선택은 한 번뿐인 네 삶에 더 큰 가치를 경험하게 해 줄 거야. 너는 할 수 있어. 할 수 있어'
'내 맘 좀 알아줘!' 묵직하고 낡은 아웃사이더의 외침을 마치고 가장 소중한 이야기만 글로 띄워 이웃과 공감 나누며 사는 나를 상상하니 행복감이 든다. 세상 나만 억울한 감정의 상자들을 깨끗이 걷어내고 햇살 가득한 넓은 마당에서 펄럭이는 실크 같은 가볍고 기분 좋은 이야기꾼이 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