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로망버드 Jun 24. 2022

7.어느 영장류의 변명

아이를 학원에 보내지 않겠다는 가치관을 견지했다가 중학교때쯤 시험을 처음 보고는 학원 시장에 처음 발을 내딛을 때, 그 영수 학원이라는 것이 피아노 학원이나 미술학원처럼 내가 다니고 싶다고 한다고 무조건 다닐 수가 없다는 점(레벨때문에, 정원때문에..는 이 학원에 다닐 수 없습니다.)에 예상못한 성적만큼이나 충격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는데,나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황당했다.학원을,못하니까 잘하려고 가려는 거 아니야?? 왜 돈을 주고서도 들어가네마네 전전긍긍해야하는거지?


시간이 지나자 여기에 한 가지 나의 모순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학원이라는 것을 여전히 내 짐작대로, 내 잣대로 치부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학원같은 것은 다니지 않을 것으로 학원(과 학원시장)을 폄하해놓고는, 다음에는 태도를 바꿔 바로 그 학원에 의존하려고 하면서도 기존의 학원에 대한 내 기준, 내 생각은 전혀 바꾸지 않은 것이다.학원을 내 마음속 정의에서 변화시키지 않은 것이다. 그때 난 친구에게 전화해서 마치 언제나 기다리고 있어서 만나려고만 하면 얼마든지 만날 수 있을 것 같던 사람에게 바람을 맞은양 당황스러움을 토로했었다.


왜 갑자기 학원인가. 요며칠 이상하게 밤에 집중력이 살아나서 책을 몇권 읽었는데, 그 중 하나인 '파크애비뉴의 영장류'에서 큰 위안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인류학에 조예가 깊은 저자가 한국으로 따지면 서울 청담동+대치동쯤 되려나? 싶은 뉴욕 어퍼이스트사이드 즉 하이엔드 상류층 사회안으로 (아이의 교육때문에) 갑자기 편입하게 되면서 너무도 위화감드는 그(녀)들을 '특수한 부족'으로 규정하고 관찰자 역할을 자임하면서 일어난 일들을 현장 잠복 취재같은 느낌으로 쓴 픽션이기 때문이다.ㅋㅋ그녀는 그 최상류층의 , 모성 몰입형 육아의, 신경증적인 외모집착과 명품지향성을 보이는 전업의 이른바 여성'부족'에 반감과 이질감을 느끼면서도 어느 새 흉내내려고 애쓰고, 어느 정도는 동화되었음을 인정한다.


나 또한 지나친 교육열, 또 그것과 단짝인 학원의존, 선행열풍등이 나와는 다른 세계인듯, 나 혼자 정상인듯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지만 아이가 크고 어느 정도 사교육의 흐름에 발을 담그게 되고 나이가 들면서 조금씩 알아가는 가정이 두 가지가 있다.


첫째, 뭔가 아니다 싶은데 다수가 그럴 때는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둘째,내가 틀릴 수도 있다.


저자에 따르면 인류학자들도 서모아 제도 등 완전히 다른 타 문화를 조사 목적으로 가서는 어쩔 수 없이 동화되버린다고 한다.그러니 우리도 괜찮다, 인류학자들도 그랬으니까.

지금 내 생각이 옳고, 나는 다른 세계에 살고 있고, 또다른 세계를 받아들일 수도 내칠수도 없이 혼란스럽다면, 그게 정상이다. 다르다고 믿는 그 세계와 접하고 있는 이상은 동화란 피할 수 없는 공격 아니 수순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성자가 아니고, 될 가능성도 없음을 인정하자)

이 책의 결론은 사실 처음에는 여자의 적은 여자인가,싶다가 그 기이한 부족(?)조차 어쩌면 근본적으로는 같은 종족이라는 연민인듯 싶지만, 학령기 아이 둘을 키우는 내가 얻은 인사이트는(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지만) 바로 이것이다.우리는 언제나 어떤 사회에 본능적으로 동화 될수 밖에 없다는 것.비록 내 작은 변명일지라도 말이다.어쨌든 내게는 둘째가 남아있기 때문에.

 

그리고 나는, 이제 '왜 인생은 50부터 반등하는가'를 읽으러 간다.


작가의 이전글 1.어느 날 다정했던 사람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