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에스더 Nov 05. 2021

여에스더의 영양제 BEST 5 <당뇨, 고혈압 편>

영양제가 간에 부담이 되냐구요?


성인병(생활습관병)이 있는 사람에게 가장 흔하게 듣는 질문 중 하나가 이미 약을 많이 먹고 있는데 영양제까지 먹으면 간에 너무 부담이 되지 않느냐는 것입니다. 아닙니다. 오히려 질병이 있을수록, 또 여러 가 지 약물을 많이 복용할수록 다양한 영양제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제대로 만들어진 영양제는 간에 부담을 주지 않습니다. 영양제가 약물처럼 혈압이나 혈당을 떨어뜨리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영양제는 여러 가지 약물로 인한 영양소의 결핍을 막고 고혈압이나 당뇨 등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체내 염증 반응과 조직의 손상을 막는데 도움을 줍니다. 성인병이 있는 사람들에게 제가 기본적으로 권유하는 영양제는 종합 비타민제, 칼슘과 마그네슘 제제, 오메가-3 그리고 필요한 경우 코엔자임 Q10입니다.


고혈압이 있는 분들은요


고혈압이 있는 이들에게 부족하면 안 되는 세 가지 미네랄이 있습니다. 바로 칼슘과 칼륨, 마그네슘입니다. 이른바 고혈압을 이기기 위 한 미네랄 3총사입니다. 이들 세 가지 미네랄이 부족한 경우 혈압 조절도 안 되고 고혈압으로 인한 각종 부작용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칼륨이 부족하면 부정맥과 심근경색의 위험이 증가합니다. 짜게 먹는 사람일수록 칼륨 결핍이 생길 수 있고 사우나에서 땀을 많이 흘리면 수분이 빠져나가면서 칼륨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미 국립보건원의 고혈압환자 다이어트법


고혈압 환자들을 위해 미국 국립보건원과 영양학자들이 개발한 DASH(Dietary Approach Stop Hypertension) 다이어트라는 식사 요법이 있습 니다. 나트륨과 포화지방, 설탕의 섭취를 낮추고 칼륨, 칼슘, 마그네슘, 단백질, 식이섬유의 섭취를 높이는 식사 요법입니다. 이를 위해 도정하지 않은 곡물을 자주 먹고 과일과 채소는 매일 4~5회, 저지방이나 무지 방 유제품은 매일 2회 정도 먹을 것을 권합니다. 여기에 매일 저지방 육류나 생선, 가금류 중 한 가지를 먹고 씨앗과 견과류, 콩과 같은 음식을 주당 4~5회 이상 섭취하기를 권장합니다. 


이와 같은 식단을 2주 정도 실천하면 고혈압 환자의 경우 수축기 혈압이 11mmHg, 이완기 혈압이 6mmHg 정도 낮아집니다. 정상인도 수 축기 혈압이 4mmHg, 이완기 혈압이 2mmHg 정도 낮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미국에서 발표된 보고에 따르면 이와 같은 식단의 조절만으로도 뇌졸중과 관상동 맥 질환을 15~20% 정도 낮출 수 있습니다. DASH 다이어트는 성인병이 있는 이들에겐 최고의 식사 요법이고, 미국당뇨학회에서 추천하는 당뇨 식단이기도 합니다. DASH 다이어트의 핵심 중 하나가 칼슘, 칼륨, 마그네슘을 충분 히 섭취하라는 것입니다.  

  



고혈압이 있다면 : 종합비타민제, 칼슘, 마그네슘 제제

고혈압이 있는 사람이라면 종합 비타민제와 칼슘・마그네슘 제제를 권유합니다. 혈압약으로 결핍될 수 있는 영양소의 종류가 워낙 많아 한 가지씩 보충하는 것보다 종합 비타민제의 형태로 보충하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미네랄 제제의 경우 칼슘 단독 제제의 과량 섭취는 오히려 심장병에 좋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에 칼슘과 마그네슘이 함께 들어 있는 복합 제제를 하루 1알 정도 섭취하면 됩니다. 


종합 비타민제는 아침 식사 후에 섭취하면 됩니다. 칼슘・마그네 슘 제제는 신경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저녁 식사 후에 먹는 것이 좋지만 복용 시간을 자주 잊어버리는 경우 아침 식사 후 종합 비타민제를 먹을 때 함께 섭취해도 됩니다. 이들 영양제를 먹는다고 혈압 약을 먹 었을 때처럼 혈압이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들 영양소가 부 족하면 혈압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고혈압이 있는 이들에게는 코엔자임 Q10도 도움이 됩니다. 혈압 강하 효과는 크지 않지만 20여 년 이상 고혈압이 있고 특히 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아 심부전증이 생긴 이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심부전증은 수십 년간 고혈압을 앓는 경우 심장 벽이 두꺼워지고 늘어나면서 혈액을 짜주는 심장 근육의 힘이 줄어들어 숨이 차고 심하면 폐에 물이 차오르기도 하는 병입니다. 코엔자임 Q10은 심장 근육에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돕고, 심장 근육이 잘 수축해서 혈액을 심장 밖으로 효과적으로 펌프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당뇨병이 있다면 : 오메가-3, 마그네슘, 크롬, 단백질파우더, 식이섬유

당뇨병은 인체 곳곳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킵니다. 당뇨 합병증으로 알려진 망막 질환, 신장 질환, 발의 궤양 등도 모두 염증에서 시작 됩니다. 당뇨가 있는 이들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양제가 바로 오메가-3입니다. 당뇨 환자의 가장 큰 사망 원인은 심근경색입니다. 오메가-3는 당뇨 환자의 염증 수치와 심근경색으로 급사할 위험을 낮추고, 특히 심근경색을 한 번 앓은 경우 재발할 위험을 낮춥니다. 


오메가-3의 효과는 충분한 양을 섭취한 후 4개월 정도 지나면 나 타납니다. 특히 중성지방이 높은 당뇨 환자라면 오메가-3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1,000mg의 오메가-3라면 적어도 하루에 2캡슐은 꼭 섭취하는 게 좋습니다. 만약 중성지방 수치가 500mg/dl 이상이 라면 1회 2캡슐씩 아침저녁으로 두 번, 하루 4캡슐까지 용량을 늘려서 섭취하기 바랍니다.


마그네슘과 크롬도 도움이 됩니다


당뇨가 있는 이들에게 중요한 두 가지 미네랄은 마그네슘과 크롬입니다. 마그네슘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인슐린 반응을 높이고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을 줄여주는 역할도 합니다. 크롬은 탄수화물과 지방이 대사되는 데 필요한 미네랄입니다. 당뇨를 이기는 인자 즉 내당인자 (耐糖因子)로 알려져 있어 당뇨 환자의 혈당 수치를 개선하고 인슐린 작 용을 강화합니다. 만약 크롬 결핍이 생기면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증가하고 심장에 좋은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은 떨어집니다. 또한 크롬은 체지방을 연소시키고 근육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크롬은 과일이나 채소보다 정제되지 않은 곡물(현미), 맥주 효모, 버섯, 고기에 많이 들어 있습니다. 크롬은 따로 먹을 필요 없이 좋은 종합 비타민제에 들어 있는 정도만 섭취 해도 충분합니다. 마그네슘은 단독 제제보다 칼슘・마그네슘 제제로 보충하는 게 좋습니다. 당뇨약은 체내에서 여러 가지 영양소의 결핍을 일으킵니다. 만한 당뇨 환자에게 처방되는 메트포르민(metformin)은 엽산, 비타민 B12, 코엔자임 Q10을 감소시키고 글리벤클라미드(glibenclamide)와 같은 당뇨 치료 약물도 코엔자임 Q10을 고갈시킵니다. 따라서 고혈압 약과 마찬가지로 당뇨 약을 오랜 기간 먹고 있는 사람이라면 종합 비타민제 와 코엔자임 Q10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백질 파우더 및 식이섬유를 고려해보세요


당뇨가 있는 이들에게 한 가지 더 권한다면 다이어트에 이용되는 단백질 파우더나 파제올라민이 들어간 식이섬유 제제입니다. 단백질 파우더를 식간(끼니와 끼니 사이)에 저지방 우유와 함께 먹으면 과식도 덜하게 되고 근육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같은 당뇨 환자라 하더 라도 허벅지 근육이 많으면 혈당 조절이 더 잘되고 심근경색으로 급사할 위험도 줄어듭니다. 허벅지 근육이 일종의 혈관 청소부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당뇨가 있는 사람들에게 허벅지 근육은 무척 중요합니다. 허벅지 근육이 두꺼우면 체지방 연소가 잘되어 복부비만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혈관도 깨끗해집니다. 


파제올라민은 강낭콩 성분으로 실제 당뇨 약의 원료이기도 합니다. 파제올라민이 들어간 식이섬유를 식사 30분 전에 먹으면 탄수화물이 체내로 들어가는 것을 일부 줄일 수 있고 복부비 만을 줄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이들 제제가 탄수화물의 체내 흡수를 100% 차 단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보조제만 믿고 많이 먹으면 오 히려 혈당이 더 올라갈 수 있으니 식사량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지혈증이 있다면 : 코엔자임 Q10, 미네랄, 오메가-3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영양제는 코엔자임 Q10 입니다. 고지혈증 약물로 가장 결핍되기 쉬운 성분이 바로 코엔자임 Q10이기 때문입니다. 고지혈증의 대표적인 약물인 스타틴 계통의 약물 로 인해 코엔자임 Q10이 부족하면 매우 드물긴 하지만 횡문근변성이라는 합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콜레스테롤 약을 처방받으면 의사는 3개월마다 간 기능과 CPK라고 하는 근육세포 파괴 수치를 체크하라고 합니다. 약물을 복용하면서 간 기능이나 근육이 손상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입니 다. 그러나 실제 혈액검사에서 근육의 손상을 알려주는 CPK 수치가 올 라가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지혈증 약을 오랜 기간 복용하면서 근육에 힘이 빠지고 약해진 느낌을 받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코엔자임 Q10을 매일 100mg 정도 섭취하면 좋습니다. 횡문근변성은 매우 드문 합병증이긴 하지만 마라톤과 같은 오래 달리기나 고산 등반 혹은 장기간 빽빽한 일정으로 외국 여행을 할 때처 럼 갑자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코 엔자임 Q10을 200~300mg 정도로 증량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지혈증이 있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미네랄은 칼슘과 마그네슘입니다. 칼슘은 지방의 장 내 흡수를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그네슘도 칼슘과 마찬가지로 지방과 결합해서 몸 안으로 들어온 지방을 몸 밖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혈액 내 지질 상태를 개선해줍니다. 마그네슘에 붙은 별명 중 ‘천연의 스타틴’이라는 별명이 있는데요, 그만큼 고지혈증이 있는 이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뜻입니다. 오메가-3도 중요한 영양제입니다. 오메가-3는 나쁜 저밀도 콜레 스테롤(LDL)수치를 낮춰주진 못합니다. 그러나 오메가-3는 혈관 청소부 역할을 하는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의 수치를 올리고 중성지방 수 치를 떨어뜨려 고지혈증이 있는 이들의 혈관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줍니다.


 글쓴이 서울대 예방의학박사 여에스더

매거진의 이전글 여에스더의 영양제 BEST 7 <다이어트 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