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에스더 Nov 17. 2021

밀크씨슬, 간에만 좋은 줄 아셨나요?

밀크씨슬 효능

1. 간 손상 방지
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프로파일 개선
3. 면역체계 조절




안녕하세요. 약사 Jinny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간 건강을 위해 섭취하고 계시는 ‘밀크씨슬’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밀크씨슬은 2000년 전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여, 동서양을 막론하고 간염, 간경변과 같은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 데 활용되어 왔습니다. 밀크씨슬이 이렇게 간 건강의 1인자로 활약할 수 있던 이유는 밀크씨슬에 함유된 ‘실리마린’이라는 성분 덕분인데요.


실리마린은 실리빈, 실리디아닌, 실리크리스틴과 같은 여러 플라보노이드의 혼합물로, 체내에서 항염, 항산화 등의 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간 건강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우리 전신에 작용하여 다양한 이점을 줄 수 있는데요. 인체적용시험 연구를 통해 실리마린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간 손상 방지

모든 암이 그렇듯, 간암 또한 하루아침에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오랜 시간, 위험 인자를 방치했을 때 나타나게 되는데요. 바이러스 감염이나 알코올로 인한 간염, 간경변과 같은 질환이 간암의 가장 대표적인 위험 인자입니다.


2017년 Molecules에 게재된 한 논문에서는 그간 만성 간질환, 간경변 및 간세포암종에 실리마린을 사용했던 학계의 연구를 검토했는데요.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보고하였습니다.

“사실, 실리마린은 항염, 항산화, 세포자멸 유도라는 세 가지 중요한 작용을 수행하는데, 이는 간염이 간경변과 HCC(간세포암종)로 진행되도록 하는 손상 메커니즘의 시작과 진행에 대항하는 “기능적 3인조”이다. 하지만 또한 간 병리학의 말기에서도 실리마린은 새로운 섬유 조직의 성장을 제한하고 HCC(간세포암종)을 유발하는 발암성 메카니즘에 대항함으로써 분명히 작용 가능하다.”

참고 논문 : Federico A, Dallio M, Loguercio C (2017). Silymarin/Silybin and Chronic Liver Disease: A Marriage of Many Years. Molecules. 22(2):191.


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프로파일 개선

인슐린 생산이 전혀 불가능한 제1형 당뇨병과 달리,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생산은 가능하나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란, 혈액 속의 포도당을 세포 속에 넣어주는 인슐린에 대해 우리 몸이 제대로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를 일컫습니다. 따라서 혈당이 높은 것은 물론,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죠.


2006년 Phytother Res에는 4개월 간, 51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리마린의 처치가 혈당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각 그룹의 연구 시작 시의 값뿐만 아니라, 위약과 비교하여 실리마린이 처치된 환자들의  HbA₁c(당화혈색소), FBS(공복혈당), 총 콜레스테롤, LDL(저밀도 지방단백질), 중성지방 SGOT(AST)와 SGPT(ALT) 수치가 상당히 감소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4개월 동안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있어 실리마린 치료는 혈당 프로파일 개선에 유익한 영향을 미친다.”

참고 논문 : Huseini HF, Larijani B, Heshmat R, Fakhrzadeh H, Radjabipour B, Toliat T, Raza M (2006). The efficacy of Silybum marianum (L.) Gaertn. (silymarin) in the treatment of type II diabete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Phytother Res. 20(12):1036-1039.


3. 면역체계 조절

올겨울 코로나19와 독감이 함께 유행하는 이른바 ‘트윈데믹’의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관심은 ‘면역’ 관리에 집중될 수밖에 없습니다.


2002년 Med Sci Monit에는 밀크씨슬이 인간의 면역 자극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최초로 연구한 논문이 게재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실험은 밀크씨슬이 자극된 림프구에서 IFN-γ, IL-4, IL-10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밀크씨슬이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될 수 있다.”

참고 논문 : Wilasrusmee C, Kittur S, Shah G, Siddiqui J, Bruch D, Wilasrusmee S, Kittur DS (2002). Immunostimulatory effect of Silybum Marianum (milk thistle) extract. Med Sci Monit. 8(11):BR439-43.




여기까지 연구를 통해 밀크씨슬의 효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학계에서는 지금 밀크씨슬의 보다 다양한 효능을 연구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동물실험에서 암 세포 사멸 유도 및 전이 억제 기전을 확인하여 이를 인간에게 활용할 방안도 연구 중에 있습니다. 저는 학계의 동향에 늘 주의집중하고 있다가, 앞으로도 발 빠르게 좋은 연구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몸도 마음도 건강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이상 Jinny였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서양의 불로초? 논문으로 알아보는 아티초크의 효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