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 백 Nov 26. 2018

저니스 엔드 Journey's End, 2017

바이올린의 높은 선율처럼 아프고, 첼로의 낮은 선율처럼 무겁다





【감상 후기(브런치 무비 패스) - 저니스 엔드 Journey's End, 2017

 ⓒ Daum 영화


막이 오르기 전. 소개


바이올린의 높은 선율처럼 아프고, 첼로의 낮은 선율처럼 무겁다.


영화 <저니스 엔드>는 화려한 전투 장면을 소재로 하는 액션 영화가 아니다. 전투 장면은 한 번밖에 나오지 않는다. 오로지 군인들의 참호 속의 생활을 무겁게 보여줄 뿐이다. 그럼에도 이 영화가 ‘볼만한’ 영화인 것은 일단은 잘 만들어졌기 때문이고, 잘 만들어진 이야기를 통해서 전쟁의 현실적인 단면을 잘 보여주기 때문이다. 


<저니스 엔드>는 현실성을 기반으로 하여 전쟁은 먼 나라로부터 뉴스로 전해지는 마치 가상처럼 느껴지는 ‘타인의 고통’이 아니라, 지극한 현실임을 적확하게 제시해주는 영화이다. 주제를 표현해내는 배우들의 연기와 감독의 연출 그리고 적절한 음악의 조화는, 한 정적인 공간과 인물 그리고 단선적인 이야기라는 한계를 오히려 장점으로 변화시켜, 관객에게 ‘전쟁은 지극한 현실’ 임을 설득력 있게 전달한다.  


주제와 결부해서 조금만 더 선명하게 소개하면, <저니스 엔드>는 전쟁이 어떻게 젊은이를 죽이는지, 또 전쟁을 견뎌낸 정신이 어떤 비극 속에서 살아가게 되는지, 그리고 그들의 가족들이 어떻게 슬픔을 전해 받는지를 깊은 눈동자 처럼 전한다.


필자는 전쟁을 절대적으로 불필요한 폭력이라고 생각하는 한 사람으로서, 전쟁의 실상을 알려주는 또 하나의 설득력 있는 논거인 이 이야기를 ‘봐야 할’ 영화라고 추천해 본다.


전쟁/드라마영국 | 2018.11.28 | 107분, 15세이상관람가 | (감독)사울 딥(주연)샘 클래플린, 에이사 버터필드, 폴 베타니 / ⓒ Daum 영화




1막. 1918년 봄, 프랑스 북부 생캉탱 전선

ⓒ Daum 영화

제1차 세계대전은 1914년 세르비아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선전포고로 시작됐고, 4년 뒤인 1918년 독일의 항복함으로써 끝난 전쟁이다. 유럽 중심으로 일어난 전쟁이므로 세계라는 말이 살짝 어울리지 않는 이 전쟁은, 제국주의 국가들의 욕심이 나은 결과였다. 그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조국을 위한다는 명분을 강요받으며, 불필요한 욕심의 틈바구니에 끼여 압살 되고 말았다. 


영화 <저니스 엔드>는 그 강요와 압박의 최전선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를 담은 영화인데, 이 이야기는 원작이 있다. 영국의 작가인 R. C. Sherriff의 희곡인 <여로의 끝(Journey's End)>이 그것이고, 영화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프랑스 북부 생캉탱Saint-Quentin 지방의 최전방 참호에서 4일간 일어나는 일들을 담고 있다. 그리고 원작과 이 이야기 모두 당시에 실제로 일어난 역사적 사건(1918년의 춘계공세로 불리는 독일군의 미하엘 작전Operation Michael)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1차 세계대전 당시에 등장한 현대식 무기는 이전의 전쟁과 차원이 다른 파괴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한 전쟁에서 군인이 자신의 의지만으로 생존할 방법이 없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 현대 과학의 총체들의 무자비함 속에서 군인들의 생명은 마치 소모품처럼 ‘사용’되어갔다. 그 비극적 소모의 현장 중 하나가 바로 참호전이었는데, 그 이유는 참호전의 방식 때문이었다. 


우선은 참호를 파서 두 진영이 대치를 시작하면, 물론 대치가 길어지기에 참호를 파기도 하지만, 그 전선은 상당 기간 동안 고착화된다. 즉, 장기전이 된다. 그리고 영화에서도 묘사되지만, 보병끼리의 전투는 상대 진영으로 ‘돌격 앞으로!’ 하는 무리한 방식이었다. 따라서 오랜 시간 동안 다수를 투입하고 그중에서 소수가 작전을 성공하면 승리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참호전은 그야말로 언제 끝날지 모르는 지독한 시간이었고(그것이 전투이건 자신의 목숨이건), 군인들을 소모품처럼 생각하는 우두머리들이 제공한 참호라는 공간은 열악했다. 군인들의 시체가 참호의 벽으로 쓰이는 진창 구덩이에서, 먹을 것도 제대로 먹지 못한 채로 공포와 답답함을 애써 견디며, 그들은 그렇게 죽거나 미치기는 것만을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2막. 1918년 3월 18일 월요일 ~ 1918년 3월 21일 목요일

(왼쪽) 스탠호프 대위,  (가운데) 롤리 소위,  (오른쪽) 오스본 중위와 스탠호프


이 이야기의 지리적 배경은 앞서 말한 대로 프랑스이지만, 해당 전선에 영국군이 주둔하고 있었으므로 당연히, 등장하고 있는 주요 인물들은 모두 영국군이다. 그리고 이 영국군들은 독일군과 지근거리에서 대치중인데 그 거리는 불과, 500여 미터이다. 그리고 이곳의 참호전에 투입된 군인들의 임무는 앞서 서술한 것과 같다.


그 지옥의 최전선에 ‘스탠호프 대위’의 중대가 배치된다. 그리고 ‘롤리 소위’가 사관학교를 막 졸업하고서 설레는 얼굴로 해당 중대에 전입해온다. 그곳에 이 중대의 정신적 버팀목인 ‘오스본 중위’가 있고, 그가 그들을 아우르면서 이야기는 본격적으로 진행된다. 그렇게 1918년 3월 18일부터 시작된 그 들의 이야기는, 1918년 3월 21일 새벽 4시 40분, 그들의 머리 위로 춘계공세의 시작을 알리는 100만 발이 넘는 포탄이 떨어지기까지 이어진다. 


영화는 그렇게 4일 동안의 참호 속에 갇힌 인물들의 비참하고 무참한 상황과 비극적인 그들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연기와 연출 그리고 음악 모두가 이야기의 주제를 온전히 전달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참호라는 한 정적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인물들의 심경은 연기자들의 훌륭한 연기를 통해 발현되고, 감독의 극적(자극적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적절한 강조라는 의미) 연출을 통해 주목되며, 음악은 주목된 감정을 공명하게 만든다. 그렇게 이 영화는 ‘전쟁은 지극한 현실’이며 전쟁은 ‘결코 우리의 의지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반전反戰의 당위’를 매우 설득력 있게 전달한다.       



3막. 1918년 3월 22일 금요일

ⓒ Daum 영화
ⓒ Daum 영화


22일 금요일. 롤리가 전입 후에 쓴 한 통의 편지가 롤리의 누나에게 전해진다. 롤리의 누나는 스탠호프 대위가 흠모하던 사람이다. 스탠호프는 전쟁이 끝나면 그와 함께하고자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었다. 편지에는 롤리는 그런 그와 함께 고향으로 귀향하길 바라는 희망이 담겨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롤리의 누나는 아마도 그렇게 돌아오는 그 두 사람을 반갑게 맞이할 날이 서둘러 오길 바랐을 것이다. 그렇게 그 들은 사람 냄새나는 소박한 바람을 품고 있었을 것을 우리는 안다.


하지만 그들만이 아니라 어쩔 수 없이 전장으로 떠나고 또 떠나보냈던 사람들이 가졌을 그 단순하고 따뜻한 소망들은, 결국 떨어지는 무거운 포탄과 빗발치는 날카로운 총탄에 짓눌리고 찢겨 나가 버렸다는 것을 우리는 안다. 전쟁은 군인과 민간인을 구별하지 않으며, 전방과 후방의 구별과는 상관없이 시대 전체를 황폐하게 만든다는 것을 우리는 안다. 주요 참전국에서 집계된 전사자는 685만 명이었고 부상자는 약 2000만 명이었다는 사실과 그 외에 집계되지 못하거나 파악되지 않은 자들과 민간인 피해자들, 그리고 삶의 터전을 모조리 빼앗긴 채로 목숨만을 겨우 건져낸 사람들의 절망과 고통이, 셀 수없을 만큼 많이 있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안다.

ⓒ Daum 영화



막이 내린 후. 2018년 11월 22일 목요일, 오늘

전쟁은 이토록 지루하고 지독하다. 전쟁의 슬픔은 지루함처럼 우리에게 다가와, 이내 참호에 떨어지는 포탄처럼 터져 나온다. 그렇게 아프고 무거운 슬픔은 눈물마저 흘릴 수 없게 만든다. 넋을 잃은 얼굴은, 그 슬픔이 현실이 아니길 바라기 때문이다. 그 모든 것이 더없이 간절하게, 꿈이길 바라기에 때문이다. 전쟁의 끝에는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니라, 그 얼굴에 담긴 황폐와 슬픔 그리고 들을 수 없는 수많은 비명들로 가득 차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전장의 비명과 가족들의 슬픔과 같은 전쟁의 상흔들은, 절대로 사라지지 않는다. 우리는 그 것을 알고 기억해야만 한다. 그래서 전쟁 지극한 현실임을 인식해야 한다. 평화는 그러한 기억과 인식 위에서 시작되고 또 유지되는 것이니까. 우리의 기억에 아프고 무겁게 새겨진 비극의 선율, 그 사라지지 않는 상흔들은 그렇게 평화 위에서만 위로 받을 수 있다.

ⓒ Daum 영화














매거진의 이전글 청설廳說 Hear Me, 2018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