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lee Jun 21. 2020

다르게 기억되는 과거들

프랑스 여자의 디아스포라

'프랑스 여자'가 독립영화로서는 드물게 잔잔한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독립영화의 흥행 기준이라 불리는 1만 명 관객을 개봉 일주일 만에 돌파했다. 6월 20일 기준 1만 7천270명이다. 지난 6월 4일 개봉했으니 전국에서 하루 1천15명 정도가 이 영화를 관람한 셈이다. 코로나 정국에서 독립영화가 건져 올린 결과라는 점에서 숫자의 의미가 눈물겹다.  


 '사랑의 불시착'에서 귀때기로 활약한데 이어 '부부의 관계'에서 쉴 새 없이 바람을 피우던 회계사로 나와 눈도장을 강하게 찍었던 김영민, 전원일기의 영원한 복실이 김지영의 독립영화 출연으로 개봉 전 미디어의 주목을 받은 영향도 있을 듯하다.   


감독의 섬세한 연출과 영상미는 잔잔하지만 어딘지 미숙한 느낌이 장점이자 단점이다. 아마 이 주제를 세련되게 연출하고 영상을 뽑았다면 아련한 느낌이 없어져 가슴을 두드리는 노크 소리가 훨씬 작았을 듯했다.


'프랑스 여자'는 한때 배우를 꿈꿨지만 파리로 유학을 떠나 그곳에서 프랑스인과 결혼해 정착해 살고 있는 미라의 한국 나들이 이야기다. 20년 전 배우의 꿈을 안고 공연예술아카데미에서 함께 공부했던 옛 동료들을 만나는 간단한 플롯으로 구성돼있다.

미라는 파리로 연기 공부를 떠났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고 연기 공부를 계속하는 대신 동시통역대학원을 다니며 외국 생활에 정착하게 된다. 꿈을 위해 떠난 유학이지만 어쩐 이유인지 꿈은 이뤄지지 못했고 연기를 갈망하며 아카데미를 다녔던 그때가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때였다고 고백한다.


미라는 비록 지금은 연기를 하고 있지 않지만 꾸준히 공연예술아카데미에서 함께 공부했던 동료들과 연락을 하며 지내고 있다. 영화제 참석을 위해 혹은 연출을 위해 파리에 방문하게 되면 이들 동기들은 미라에게 연락해 파리에서 만나면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미라는 동시통역대학원의 후배와 바람이 난 프랑스인 남편과 이혼을 하고 한국을 찾는다. 프랑스인 남편은 미라를 좋아했던 게 아니라 그저 이국적인 아시안 여성에게 관심이 많았던 걸 알게 된 것이다. 다시 사랑에 빠진 여자가 똑같은 한국 여자, 그것도 미라의 후배다.


충격을 받은 미라는 이혼을 하고 한국을 8년 만에 찾게 된다. 한국에 오자마자 잘 나가는 여성 감독으로 카리스마 작렬 중인 영은과 연극계의 연출자로 꾸준히 연극을 제작하고 있는 성우를 만난다. 이들은 아카데미를 함께 다녔던 동료 중 가장 친했던 사이이기도 했다.  


영화는 미라와 영은, 성우, 그리고 2년 전 자살한 해란 등 4명의 과거가 교차되면서 서로 다르게 기억되고 잊혀진 사실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끊임없이 잊혀진 기억 혹은 무의식 속에서 스스로 삭제한 기억을 확인하고 물어보는 미라는 과거에 갇혀 사는 인간형이다. 꿈을 갖고 외국행을 선택했지만 꿈도 생활도 뜻대로 이뤄진 것이 없다.

만족스럽지 못한 현실은 과거 아름다웠던 그 시절을 함께 했던 이들과 해후하면서 위안받는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들을 만나고 돌아오면 과거의 어느 순간 기억 속으로 홀로 들어가 시간여행을 하게 된다. 이 기억들은 꿈일까? 아니면 망상일까? 혹은 사실일까? 미라의 조각조각 난 기억의 편린들일까?


영화 속에서는 아무도 미라의 불안정이 어떤 것인지 말해주지 않는다.

미라는 타국에서 한국인으로 살다가 프랑스인 남편과 이혼을 하고 나서야 프랑스 국적을 취득한다.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으나 이루지 못한 꿈에 대한 좌절이 곳곳에 묻어나고  현재 이 꿈을 이루고 사는 동료들에 대한 선망의 눈초리가 애잔하다.

경계인, 주변인으로 살고 있으나 마음만은 그 누구보다 뜨겁다. 하지만 거기까지다. 차분히 나를 다스릴 뿐이다.

 

프랑스 국적의 한국 여자, 꿈을 이루고 싶었으나 이루지 못하고 살아내야 하는 미라는 삶의 중심에 스스로 빗장을 걸고 주변인으로 살아가며 스스로를 옥죄 간다. 경계인의 삶을 살아가면서 말이다.


미라가 계속 해란에게 집착하는 것은 해란의 자살이 자신에서 비롯된 것인지 모른다는 죄의식이 남아 있어서다. 해란과 성우는 서로 사귀는 사이였지만 성우는 원숙한 누나인 미라에게 남모를 연정을 계속 구애중이다. 파리로 떠나기 전 바다를 보고 싶다며 함께 떠난 여행을 기억하지 못하는 미라와 이를 일깨워주는 성우, 이 두 사람의 연인도 아닌 친구도 아닌 애매한 관계 속에서 홀로 전전긍긍하던 해란은 자해소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정작 해란의 자해는 그 누구에게도 이유가 알려지지 않는다. 다만 감정의 기복과 변덕이 심한 여배우의 기질로 치부된다. 미라만이 자신과 성우가 키스하는 것을 본 해란이 자해한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물론 이도 그저 미라만의 추측이다. 미라는 이를 해란에게 확인하고 싶지도 않고 그 누구에게 말하고 싶어 하지도 않는다.


개인적인 너무나 개인적인... 그래서 더 프랑스 영화 같은 작품, 영화, '프랑스 여자'다.


우리는 누구와 서로 다르게 기억되는 과거들을 갖고 있을까?   

영화가 끝나고 엔딩 크레디트가 올라가면서 떠오르는 옛 기억들이 나를 어지럽힌다.


매거진의 이전글 메디슨 카운티의 다리로 본 '부부의 세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