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망원동방구석 Feb 12. 2020

"블루 라이트" 공포 마케팅과 실체

실제로 어떤 영역이 유해 해지는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여, 오랜 시간 작업을 하다 보면 눈이 건조하거나 뻐근한 느낌을 많이 받습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요즘엔 블루 라이트 때문이라고 많이 얘기 합니다. 

그래서, 한번쯤은 들어 봤지만, 정확히는  잘 모르는 블루 라이트에 대해서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블루라이트는 말 그대로 파란색을 의미 합니다. 

빛은 파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파장이 길수록 붉은 색을, 짧은 수록 푸른색을 나타냅니다. 그래서, 무지개를 보면 가장 바깥 긴 부분이 빨간색이고, 안쪽으로 들어 갈수록 짧은 푸른 빛을 띄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강하고, 이것이 망막에 닿으면 문제를 일으킨다.”

라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블루라이트는 우리나라말로 유해 청광색 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과연 그러할까요? 사실을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블루라이트는 오래전부터 학계에서 논의 되어 왔습니다. 몇몇 논문에서는 실제로 망막 손상을 일으킨다는 연구 사례를 발표 했습니다. 하지만, 2019년 8월 미국 안과협회에서는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블루라이트의 유해성이 지나치게 과장 되었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자연에서도 블루라이트가 나오는 곳이 있습니다. 그것은 푸른 하늘 입니다.

블루라이트의 위험성이 아래 그림과 같다면

푸른 하늘은 가급적이면 보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 납니다. 눈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공포마케팅을 이용하여 블루 라이트 차단 제품을 판매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 입니다.


그렇다면, 

블루라이트의 위험성은 무시 할 수 있는 정도 인가?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블루라이트는 멜라토닌의 분비량을 억제 시킵니다. 멜라토닌은 수면을 유도하는 호르몬 입니다.. 

일반적으로, 오후가 되면서 푸른 하늘이 되고, 저녁이 되면 석양이 지고 붉은색 하늘이 됩니다.. 푸른색 온도에서 붉은색 온도로 가면서, 멜라토닌 분비량이 증가 합니다. 그러면서 졸음을 느끼는 것이고 우리의 신체는 여기에 맞추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야간에 스마트폰을 하면서 인공적으로 푸른색 온도를 접하게 되면 멜라토닌이 억제가 됩니다. 그렇게 되면, 뇌는 계속 깨어 있으려고 하고 곧 바로 수면 장애로 이어집니다. 

직장인에게 수면장애가 얼마나 위협적인지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블루라이트는 눈보다도 생체 리듬에 더 큰 관여를 합니다. 작업중 눈이 피로하면, 휴식을 취함으로 충분히 완화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만 기억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작업을 할 때는 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깜박인다.
     필요에 따라서 인공 눈물을 사용한다.
     쉬는 것은 하고 있는 작업을 잠시 중단하는 것이지, 스마트폰을 들여다 보는 것이 아니다.
     가능 하면, 잠 자기 2시간 전부터 스마트폰을 보지 않는다.


보다 건강하고, 활기찬 하루 보내시길 응원 합니다!

감사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앤드류 양 과 대한민국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