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배 Jun 11. 2021

나무가 많아서 매미도 많다

디에고 리베라의 <병아리와 함께 있는 소년>

시모노세키 항구에서 시모노세키 기차역으로 이동하는 길이었다. 내 앞에서 걷던 꼬마 아이가 할머니에게 물었다.

"할머니~ 일본은 왜 이렇게 매미가 시끄러워?"

나는 내심, 할머니께서 어떤 대답을 하실까 기대되었다.

"응, 일본은 나무가 많아서, 매미가 많아서 그래."


딱히 일본 매미가 한국 매미보다 더 시끄럽다는 느낌은 받지 못하였다. 저 놈의 발정 난 매미들 때문에 수업을 못하겠다고 윽박지르시던 고등학교 은사님 한 분이 떠 올랐기 때문이다. 그나저나 어린아이가 왜 이런 질문을 하였을까 가만 생각해보니 이 아이의 마음이 이해될 만도 싶은 게, 나 역시 서울에 살면서 매미소리를 별로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다. 할머니의 말씀처럼이나 나무가 많아야 매미도 많을 터인데, 서울에서 매미소리를 자주 접하지 못하였던 아이에게는 일본에서의 매미소리가 유난히 더 시끄럽게 느껴졌을 수도 있겠다.


여행을 와서 얼마나 감성이 풍부해졌는지, 이제는 서울에 있는 매미의 번식활동까지 걱정하고 있다. 고작 일주일 남짓, 목청껏 구애 활동을 하려고 7,8년이라는 긴 세월을 땅 속에서 보냈었을 매미! 그러나 서울에서 태어났을 어느 매미를 생각하니, 그의 인생이 그렇게도 딱할 수가 없었다. 7년을 버텨 세상에 나왔는데, 서울에는 자신의 짝이 없다. 서울에는 나무가 없어서 매미가 없단다. 참 가련한 레디 메이드 인생인 셈이다. 그렇다면 이 매미는 자신에게 주어진 그 가혹한 일주일을 어떻게 보내야, 그래도 자신은 인생을 알차게 살았다고 위로할 수 있을까? 듣는 이 하나 없는, 도심의 아파트 숲에서라도 슬픈 구애의 노래를 외로이 불러야 하나? 아니면 자신의 노래를 들어줄 단 한 마리의 매미를 찾기 위해서라도 숨 가쁜 날갯짓으로 온 세상을 떠돌아야 하나.


나무가 많아서 매미도 많다는, 무심한 듯한 그 말 한마디가 그렇게 부러울 수가 없었다. 잠시 스쳐가는 생각뿐이었지만, 나는 일본의 매미가 그처럼 부러울 수가 없었다. (일본에는 나무가 많아서 매미도 많다는데, 일본 경제도 일자리가 많아서 청년들이 많은 걸까?)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초월해야 할 상처. 내가 승화시켜야 할 슬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