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배 Jun 18. 2021

이미지가 귀한 때가 있었다.

파스칼 다냥 부브레의 <사진관에서의 결혼 파티>

이미지(형상, 사진, 그림)가 귀한 때가 있었다. 핸드폰이라고 해봐야 기껏해야 전화와 문자만 되던 시절, 나는 폰카(카메라가 달린 핸드폰)를 가진 친구가 부러웠다. 그 친구는 자신이 찍고 싶어 하는 모든 것을 사진으로 찍었다. 내가 짝사랑으로 가슴앓이하던 때에도, 그는 아무렇지 않게 내가 좋아하던 소녀와 사진을 찍곤 하였다. 나는 매일 밤 그녀의 얼굴을 떠올려 보려고 애써 머리를 굴려 보았지만 늘 흐릿하게 보이기만 하던 그녀의 모습을, 그 친구는 자신의 핸드폰에 찍어둔 사진으로 아무렇지 않게 대신하였다. 물론 나도 할 수만 있었다면 일회용 카메라를 학교에 가져가, 짝사랑하던 소녀와 사진을 찍을 수도 있었겠다. 하지만 그 당시(2002년)의 사진이란 소풍이나 운동회와 같이 특별한 날에만 찍는 그런 용도의 것이었지, 평일날의 학교 교실에서 아무렇지 않게 찍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필름 카메라였기 때문에 찍을 수 있는 기회가 한정적이었던 것도 있었겠지만, 오늘날의 디지털카메라처럼 바로바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작용했었을 테다.)


오늘날의 우리는 이미지의 홍수, 이미지의 범람 속에서 살고 있다. 개인이 원하는 이미지는 인터넷을 통해 언제든 검색할 수 있다. 자신이 좋아하는 이성의 사진은 그 사람의 페이스 북으로부터, 혹은 인스타그램으로부터 얼마든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이미지들이 넘쳐나니, 이미지들의 지위도 따라 낮아지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공급이 많아지면 희소성이 낮아져 균형 가격이 낮아지는 경제학의 원리처럼 말이다.


 이미지(형상, 그림, 사진)가 귀하던 시절, 이미지는 그 존재 자체로 어떤 상징성을 지녔다. 그래서 어느 종교는 그 상징성을 우려하여 우상숭배를 금지했는지도 모르겠다. 나는 이미지가 넘쳐나는 현상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기쁜 날, 축하해야 할 날, 사랑하는 이들과 그날의 감정을 사진으로 기록할 수 있다는 일은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 이미지가 넘쳐나고, 이미지가 범람하지만 나는 이미지들이 가지고 있는 그 고유의 신비성과 상징성은 아직까지도 어느 정도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난 몇 세기 동안 수행해왔던 그 이미지의 역할들이 오늘날의 디지털기기들과 만나 또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롭게만 느껴질 따름이다.


(P.s 어떻게든 핑클의 사진이 실린 잡지 페이지를 얻어내려고 같은 반 여자아이들에게 아부를 떨던 소년이 있었다. 그 소년은 더 이상 핑클의 화보를 모으지 않는다고 한다. 인터넷에 몇 글자만 입력하면 그가 원하는 이미지들이 수도 없이 검색되니 굳이 여학우들을 따라다니며 아부를 떨 필요가 없어졌다고 한다. 아니, 어쩌면 핑클이 더 이상 방송활동을 하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작용했을 수도 있겠다.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소년은 이제 핑클 사진을 대신하여 잇지와 오마이걸의 사진을 모으고 있다고 한다. 뭐, 사실이건 아니건 그렇다고 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