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상희 May 29. 2019

[공개강의]6월 디자인씽킹 강의

디자인씽킹 공개강의

6월 디자인씽킹 강의 소개드려요.
공유오피스 스테이지나인에서 진행하게 되었어요.
3일간 즐거운 시간 만들어보겠습니다.

스테이지 나인 인터뷰 내용 올려봅니다~^^


Q. 강사님 소개를 해주세요.

반갑습니다! 디자인씽킹 전문가 박상희입니다 :)

저는 호텔 디자이너로 사회생활을 시작해 sk에서 15년간 일하며 브랜드 디자인 팀장으로 기업의 웹, 매장, 서비스 등 디자인과 마케팅을 총괄하며 기업의 브랜드 매니지먼트를 담당했어요.

성균관대학교에서 서비스융합디자인학과의 산학교수로 일하며 중소기업의 디자인씽킹 기반 제품-서비스 융합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답니다! 또한 조금은 늦은 나이에 공공기관에 지원해 공공서비스와 마케팅 업무를 하는 전문직 공무원으로 일한 경력을 가지고 있어요.

현재는 일과 삶의 균형을 찾고자 창업을 해서 그동안의 경력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경험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어요. 실무 경험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씽킹 워크숍과 브랜드 강의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Q. '디자인씽킹'이라는 분야가 생소한데요, 설명 부탁드려요.

디자인씽킹은 캐나다 토론토 대학의 로저 마틴 (Roger Martin)이라는 경영학 교수가 창시했는데요. 직관적 사고나 분석적 사고 그 어느 한 쪽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사고 법이 바로 디자인씽킹입니다!

미국의 컨설팅 기업 아이데오를 중심으로 구글, 애플, HP, 인텔, 도요타, 삼성, 현대 등 국내외 기업들의 혁신 창출의 방법론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과학 기술 분야뿐 아니라 정치인, 교육자들의 혁신 등 여러 분야에서 적용되는 방법론으로 인간의 욕구를 처음으로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답니다.

사용자 서비스가 중요시되는 현시대에 필수적인 '통합적 사고'와 '공동의 아이디어'를 결과로 이끄는 창의적 방법론이라고 볼 수 있어요.


Q. 수업에서는 어떤 내용을 다루고 어떻게 진행되나요?

이번 스테이지나인 삼성점에서 6월 12일~14일 3일간 진행되는 디자인씽킹 수업에서는 디자인씽킹 방법론과 디자인적 사고를 돕는 수업으로 방법론과 사례 중심 강의, 그리고 실제 방법론을 다루는 워크숍으로 진행됩니다. 실무 사례를 통해 디자인씽킹 방법론 활용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주제 선정을 통해 공동의 아이디어를 모으는 디자인씽킹 워크숍으로 진행됩니다.


실무자를 위한 디자인씽킹방법론 (2019.01)

Q. 본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이번 수업을 통해 크게 아래와 같은 내용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 새로운 기획 아이디어 도출과 구체화
- 나의 가치를 높이는 퍼스널 브랜딩 과정
- 신규 제품 - 서비스 개발을 위한 프로토타입 개발
- 창업가를 위한 브랜드 컨셉팅 전략 수립
- 구체화되지 않은 아이디어를 시각화하여 결과를 만드는 방법론



Q. 다른 강의와 어떤 차별점이 있나요?

현재 디자인씽킹 방법론은 보편화되어 있고 강의하는 교육업체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 교육 후 실무에 사용하지 못하고 방법론 습득에 그치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이번에 진행하는 저의 강연은 실무와 방법론 활용의 갭을 줄일 수 있도록 실무적 관점에서 활용 가능한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소개 드립니다.

Q. 수강생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올해 21년 차 직업인이 되었습니다.
디자이너로 시작해서 마케터로 브랜드 컨설턴트로 긴 기간 직업의 변화를 겪으며 디자이너들의 사고하는 방식인 ‘공감적 사고’에 대해 고민하며 일과 삶에 접목하며 살아왔습니다.
산업과 기술의 변화로 다양한 직업과 서비스들이 만들어지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많은 정보들과 기술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그 중심은 늘 사람입니다. 그 많은 사람들 중에 나의 고객은 누구이고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는 것이 이 시대를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시작점입니다. 이 시대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개인의 삶이며, 삶을 살아가는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나의 가족, 회사, 동료, 친구들은 나의 삶의 고객이며 그들과의 공감은 즐거움이고 행복이고 재미입니다.


공감의 방법은 창의적이며 유연합니다.


나 스스로 그들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은 주체적 삶을 살아가기 위한 사고의 방식이며 곧 디자인씽킹적 사고입니다. 수업을 통해 단순한 방법론의 습득만이 아닌 공감적 삶의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주체적으로 활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되시길 바랍니다.




 

신청은 스테이지나인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신청하기
https://www.stage9.co.kr/seminars/5cd3d0655bb5734cf9501f22


매거진의 이전글 [서비스 혁신 디자인씽킹 사례] 2단계 문제 정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