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온 Nov 09. 2022

서른과 어른, 서른은 어른일까.

엄마는 언제부터 어른이었을까.

"엄마는 좋아하는 음식이 뭐야?"

"다 좋아한다."

"엄마는 무슨 색을 좋아해?"

"노랑이랑 분홍색."

"엄마는 누구랑 제일 친해?"

"인영 이모지."


"갑자기 그건 왜 묻는데?"

"음... 그냥 내가 엄마에 대해 아는 게 없더라고."


나는 엄마에 대해 아는 게 없다. 정확히는 알려고 하지 않았다. 나 사는 것에 너무 바빠서, 내 한 몸 돌보기도 힘든데 아이를 셋이나 낳아서, 아이들 챙기느라 부모님은 항상 뒷전이었다.

내가 엄마에 대해 알아가야겠다고 결심한 건, 7살 딸과 매일 마주하는 대화의 순간에서 어릴 적 엄마와 나의 모습이 겹쳐 보였기 때문이다.


어릴 적 언젠가 엄마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긴 적이 있다. 친구들이 우리 집에 놀러 왔을 때였는데, 나도 갑자기 왜 그랬는지 모르겠다. 엄마에게 애정표현을 한답시고 그런 건지, 관심을 표현한 건지. 아무튼 그때 엄마는 나에게 따끔히 혼을 냈다.


나는 아이를 낳고 무릎이 안 좋아졌다. 아직 젊은데 비가 오기 전이나 아이를 많이 안고 다닌 날에는 무릎이 조금 시큰거린다. 8개월 막둥이는 화장대 거울 앞을 가장 좋아하는데, 매일 그곳에 앉혀놓으면 뒤에서 무릎을 굽히고 아이를 잡아줘야 한다.


"아얏!"

갑자기 큰 딸 윤하가 나의 종아리 위로 발을 대고 올라탔다. 자그마치 25킬로그램. 무릎에서 뚜두둑 소리가 났다. 종아리에 배긴 알도 같이 꿈틀거렸고. 순간 너무 아파 억, 소리가 났는데 그 맘을 알리 없는 윤하는 더 세게 한 번 달려들었다.

"아야, 엄마 아파! 그만해!"

그러고는 얼굴이 잔뜩 상기되어 고함을 고래고래 질렀다. 그렇게 화낼 일이었나 싶다가도, 잘못한 건 아니라고 따끔하게 말해야지 하고 잘했다 싶다.


엄마한테 애정표현한 거구나.

아침에 아기와 산책을 하며 유모차에 밟힌 낙엽 하나를 주웠다. 마로니에 공원 은행나무들도 은행잎을 여러 번 뿌려주었다. 그 낙엽들이 어쩐지 지금 내 모습 같아서.


"엄마, 나 낳아준 엄마한테 이런 얘기해서 죄송한데. 요즘 나 너무 못난 거 같아. 왜 이렇게 못생겼지. 주근깨 투성이에 머리도 이상해. 묶어도 이상하고 풀어도 이상해. 잘라도 이상하고. 뽀글 파마하면 너무 아줌마 같으려나? 옷도 봐. 아기 낳고 살은 빠졌는데 뭘 입어도 이상해. 하... 나 어떡해 아직 서른인데. 엄마 나한테 해줄 말 없어? 엄마는 서른에 어떻게 살았어?"


"원래 애 키울 땐 뭘 해도 이상한기라. 지금처럼만 살아. 지금처럼."


아니, 지금이 매우 불만인 사람에게 지금처럼 살라니. 엄마도 참.


서른이 되면 어른이 되는 줄 알았다.

막 스무 살이 되었을 때, 서른 살은 멋지고 대단한 어른처럼 보였다.


"힘들다... 사는 게 왜 이렇게 힘드니."


돈이 없을 때. 주말에 집이 엉망진창이 될 때. 아이 셋이 나만 바라보고 있을 때. 엄마가 나 좀 봐달라고 서운함을 표현할 때. 아빠가 아플 때. 시엄니가 몸이 아프다고 할 때. 시아버님 흉볼 때. 남편이 돈 벌어주면 뭐하냐 푸념할 때. 내가 아무것도 아닌 것 같을 때. 아기가 낮잠을 자는 시간 집 안에 건조기가 돌아가는 소리가 고요하게 들릴 때.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지 생각한다.

왜 나만 힘든 걸까 한다.


어릴 때부터 나는 시시콜콜 엄마에게 나의 속마음을 털어놓는 아이였다.

결혼을 하고 조금은 철이 들고 나는 엄마와의 멀어진 거리만큼 마음도 멀어져 버렸다.

처음에는 엄마가 걱정하는 게 싫어서 딸이 힘들어하는 걸 보여주기가 싫어서 좋은 일만 이야기하고 안 좋은 일은 이야기하지 않았다. 엄마도 역시 내게 그랬다. 좋은 일은 이야기해주었지만, 아프거나 다치거나 안 좋은 일들은 일부러 꺼내지 않았다. 나는 늘 동생을 통해 그런 소식들을 듣곤 했다.


"승희야, 엄마 생일선물로 캐리어 하나 사줘. 5만 원도 안 하더라."

"응, 엄마. 다음 주에 꼭 사줄게."


"승희야, 가족 계모임 통장에 5만 원 넣어라. 아빠 환갑 때 가족여행 가자."

"엄마, 나 생활비 좀 아껴야 해. 나중에 넣을게."

엄마는 뭐든지 나와 함께하고 싶어 했고, 생일이나 특별한 날에도 대단한 용돈이 아닌 '단돈' 5만 원 이하의 작은 선물을 원했다. 예를 들면, 책 한 권, 신발 한 켤레.

그 작은 마음조차도 바로 끌어안지 못하고 항상 미루는 못난 딸.


"엄마, 오늘은 너무 힘이 든다. 사실 나 엄마한테는 힘든 티 안 내려고 했는데. 그냥 애들 키우는 것도 너무 힘들고, 살림도 잘 못하는데 집에 있는 것도 힘들고. 그렇다고 일하고 싶은데 저질체력이고. 돈 있으면 대출이며 보험이며 고정비로 다 나가고. 남편이 일하느라 고생인데 도움도 안 되고. 엄마한테 이렇게 시시콜콜 이야기하기 싫었는데, 그냥 이야기하려고. 나도 어디에다 말은 하고 살아야지. 친한 친구한테 이런 말 못 해."



어른들은 무시하기 쉬운 이러한 상실은 아이의 마음속에 영원히 메울 수 없는 공백을 만든다. 무언가를 잃어버린 적 없는 아이들은 이 감정을 어떻게 다뤄야 할지 모른다. 어른들은 아이가 공백의 자리를 건너뛰고, 상실을 받아들이며 조금 더 어른이 되어 주기를 바란다. - 여름의 피부/ 이현아 p.30 중-


결혼 안 한 친구들이 부러워. 아이가 없는 친구들이 부러워. 혼자 사는 친구들이 부러워. 세계여행을 다니는 친구들이 부러워. 집있는 사람이 부러워. 돈 많은 사람이 부러워. 좋은 차타는 사람이 부러워. 나 말고 다 부러워. 부러워. 부러워. 그 사람이 부러워. 자기 인생의 주인공 같은 그들을 바라보며 내가 가진 것들이 오히려 더 많을지도 모르는데도, 나는 여전히 상실감을 느낀다. 남들보다 조금 일찍 독립하고, 취직하고, 결혼하고, 육아하는 만큼 그 빨라진 속도만큼 빠르게 어른이 될 수 있을 거라 믿었는데.


엄마는 언제부터 어른이었을까.

작가의 이전글 마음을 놓치지 않기 위해 쓰는 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